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잠수함 내부에도 수압이 가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니요. 내부는 수압이 그대로 전해지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잠수함의 몸체가 수압을 견디고 있기 때문에, 내부에는 공기로 차있고 공기의 압력만이 느껴집니다. 만약 잠수함 내부로 물이 침범해 들어오면 그때에는 수압을 그대로 전해지게 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04
0
0
행성은 어떻게 가스로만 이루어져있을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체로 이루어진 행성도 중심 부근에는 딱딱한 고체나 뜨거운 액체상태로 존재합니다. 이러한 중심 핵이 질량체로 자리잡으며 기체를 끌어드리며 거대한 기체행성이 될 수 있는 것이죠.중력이란것은 만유인력으로 질량을 가진 두 물체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하는것입니다. 기체, 그리고 모든 원소들은 질량을 가지고 있고, 중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굉장히 오랜시간에 걸쳐 가스들이 뭉치며 핵을 형성하고, 이 핵이 또 기체를 끌어당겨 점점 크기를 키워 목성이 토성과 같은 기체행성을 만든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4
0
0
지구의 대기권은 여러 권역(층)으로 나눠지는데 왜 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대기권은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나뉩니다.이렇게 나뉘는 이유는 층마다 특징이 있고 온도의 분포도의 차이가 있어 이를 기준으로 나눈 것입니다.대류권(0~11km)은 지열이 태양에너지의 기여도 보다 강해 위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떨어집니다. 그리고 이로 인해 대류현상 및 기상현상이 일어나죠.성층권(11~50km)은 오존층이 존재하며 태양으로부터 오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역할을 해줍니다. 태양에너지를 머금기 때문에 위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올라가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래서 대류현상이 없어 항로로이용하죠.중간권(50~80km)은 성층권의 오존층의 열 에너지에 의존됩니다. 그래서 위로올라가면 올라갈수록 온도가 떨어지죠. 그래서 대류현상이 일어납니다. 하지만 대기가 희박해 기상현상은 일어나지 않습니다.열권(80km~)은 대기가 굉장히 희박하며 이 희박한 기체가 태양에너지를 직접받기 때문에 운동이 활발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높이 올라갈수록 태양에너지를 받는 양이 증가해 온도가 올라가죠. 또한, 전리층이 존재하여 라디오 전파를 반사하는 영역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4
0
0
기체로 된 행성은 어떻게 원을 이루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체로 이루어진 행성도 중심 부근에는 딱딱한 고체나 뜨거운 액체상태로 존재합니다. 이러한 중심 핵이 질량체로 자리잡으며 기체를 끌어드리며 거대한 기체행성이 될 수 있는 것이죠. 중력이란것은 만유인력으로 질량을 가진 두 물체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하는것입니다. 기체, 그리고 모든 원소들은 질량을 가지고 있고, 중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굉장히 오랜시간에 걸쳐 가스들이 뭉치며 핵을 형성하고, 이 핵이 또 기체를 끌어당겨 점점 크기를 키워 목성이 토성과 같은 기체행성을 만든 것이죠. 물론, 태초에 날아간 가스들은 행성을 이루는데 사용되진 않았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4
0
0
진공은 어떤 원리에서 발생합니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진공이라는 것은 기체나 물질이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우리 대기는 산소, 이산화탄소, 질소 등 여러 기체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기체나 먼지, 다른 물질이 없는 아무것도 없는 상태를 진공이라고 합니다. 진공을 이용해 물체를 들어올리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것입니다. 진공상태는 어떠한 물질도 없기 때문에 압력이 0입니다. 즉, 물체와 부착된 부분을 진공상태로 만들어 내부압력을 0으로 만들고 외부의 압력은 대기압으로 1기압이 존재합니다. 이 상황에서 1기압이 진공을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어 힘이 작용하죠. 이 힘이 부착력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러한 부착력으로 물체를 들어올리는 것이죠.
학문 /
물리
22.11.04
0
0
연일 보도되고 있는 북한 미사일 관련하여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탄도미사일(ICBM) : 발사지점에서 목표지점까지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미사일 입니다. 마치 로켓처럼 연료를 태워 분화해 추진력을 얻어 날아갑니다. 대부분 핵무기에 사용되는 미사일입니다.수중(잠수함) 탄도 미사일 SLBM은 ICBM을 잠수함을 통해 수중해서 발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순항미사일(크루즈미사일) : 제트엔진을이용하여추진력을얻고, 미사일에날개가있어양력을얻어날아갈수있는미사일입니다. 이는, 컴퓨터를활용한유도방식으로명중률이높습니다. 초저공비행으로굉장히빠른속도로날아가기때문에레이더포착이잘안된다는특징이있습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1.04
0
0
들고다니는 보냉가방에 음식물 보관용 보냉팩을 만들려면..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이스팩의 경우 쉽게 만들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보통 팩에 물을 담어 얼려 간단히는 만들 수 있습니다. 아이스팩의 주요 성분은 고흡수성 폴리머라는 화학물질입니다. 이는 기저귀나 생리대에도 사용하는 물질로 수분 흡수성이 매우 좋습니다. 그래서 수분을 흡수하면 젤리처럼 변하죠. 이를 아이스팩에 쓰는 이유는 물만 얼린 아이스팩에 비해 냉기의 지속시간이 2~3배 정도 더 높아진다고 하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학문 /
화학
22.11.04
0
0
우주에서 헬륨 풍선을 날리면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 헬륨 풍선의 경우 우주공간에서 버틸 수 있을 정도로 분 것이라면 미량들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풍선을 놓게되면 지구에서와 같이 마구잡이로 움직이다가 바람이 다 빠지면 한 방향으로 계속 날아갈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4
0
0
고도가 높은곳이 추운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있는 지면 근처의 대기인 대류권은 태양으로 인한 열보다 지열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태양 에너지가 지면에서 반사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열도 지면 근처에서 뜨겁고 상공으로 갈수록 차가워집니다. 그래서 산으로 올라갈수록 지열을 받는 양이 적어져 기온이 낮아지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4
0
0
중국 우주선 쓰레기 떨어지는것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만약 피해가 생기면 우주선을 만든 국가가 배상해주어야 마땅합니다. 우주의 쓰레기는 보통 크기가 작아 지구에 떨어지기전에 타서 없어질 수 있지만 크기가 큰 경우 정말 떨어져 피해를 입을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4
0
0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