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너x브에 찬물을 열몇시간 흔드니 라면익힐 정도의 물이 되던데 이건 어떻게 가능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을 흔들면 흔드는 운동에너지가, 물과 물, 물과 보온병 사이에 마찰열로 변하기 때문에 뜨거워 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보온병에 물을 넣고 계속 흔들면 열에너지가 축적되어 온도가 올라가고 김이 나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2.10.31
0
0
전자렌지에 돌려도되는 라면용기와 돌리면 안되는 라면용기는 어떤성분 때문에 차이가 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라면 용기 뚜껑에 있는 알루미늄때문입니다. 알루미늄은 전자레인지에서 나오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화재가 날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스티로폼으로 된 라면 용기의 경우 열에 약하기 때문에 전자레인지에 돌리면 구멍이 날 수 있으며, 몸에 좋지 않은 성분이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학문 /
화학
22.10.31
0
0
소나무의 솔잎은 왜 겨울에도 초록빛을 유지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나무나 다른 나무가 겨울을 나는 방법은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 하며, 당분 등을 합성해 세포로 보내고 세포 내 수분이 어는점을 낮추며 겨울을 보냅니다. 침엽수(소나무처럼 잎이 얇고 뾰족한 나무들)의 경우 온도가 낮은 상황에서도 엽록소가 파괴되지 않고 광합성을 할 수 있으며, 침엽수의 수관(물의 통로)은 얇아 물이 잘 얼지 않으며 설령 얼더라도 조직 피해를 입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잎의 색 변화가 잘 없으며 겨울을 버틸 수 있는 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0.31
0
0
가습기가 초음파로 하던데 초음파가 머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음파를 발생시켜 초음파의 압력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초음파라는 것은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이상의 주파수를 가진 음파를 의미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31
0
0
수소, 전기자동차중 어느것이 더. 친환경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베터리까지 고려하면 수소자동차가 더 친환경적일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소차도 배터리까지 고려하면 완벽한 친환경은 아닙니다. 배터리를 고려안하면 둘다 친환경 적입니다.
학문 /
화학
22.10.31
0
0
에어컨 가동시 물이 나오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에어컨에서 물이 나오는것은 에어컨 작동시에는 제습 기능에 의해 수증기가 쌓여 물로 배출이 되는것이라 순수한 물이 방출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에어컨에 들어간 공기가 냉각되면서, 공기 중 포함된 수증기가 물이 되어 순수한(깨끗한) 물이 걸러지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31
0
0
라면 끓일 때 스프 먼저 넣으면 온도가 얼마나 더 올라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높으면 105도 정도 됩니다! 답변할 수 있는 내용이 작기 때문에 소금물의 끓는점이 높아지는 이유를 설명해드리겠습니다.물은 H2O로 극성을 가진 분자입니다. H는 +, O는 -를 띠고 있습니다. 어릴적 마찰시킨 빗으로 흐르는 물에 가져다 대면 물이 휘는 것을 보셨을 것인데, 그러한 이유가 물의 극성 때문이죠. 그리고 이러한 극성은 물간의 결합력을 만들어주죠(ex 표면 장력). 물의 기체 상태는 물 분자가 자유로워 거의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상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서로에게 결합력을 행사하지 않죠. 물의 액체 상태는 서로 붙어 있기 때문에 결합되어 존재하는 상태이며 기체보다는 덜 자유롭지만 움직일 수 있는 상태입니다. 물의 고체 상태는 서로간의 강한 결합력으로 분자간 6각 모양의 형태로 결합하여 고정된 상태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고체, 액체, 기체의 상태를 변화시켜주는 요인은 온도입니다. 물리적으로 온도라는 것은 입자, 분도의 평균 운동에너지(운동의 활발성)입니다. 즉 온도가 높을 수록 운동이 활발해져 자유로워지죠. 그래서 액체에서 기체가 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열을 흡수해야합니다. 온도를 높여 운동을 활발히 하기 때문에 상태변화를 하는것이죠.본론으로 돌아와, 소금물의 경우를 생각해보죠. 소금은 NaCl로 물에서 전해질 상태로 존재합니다. 물에 녹아 Na+, Cl-가 됩니다. 이 전해질은 물이 자유로워지는 것을 방해합니다. 극성을 가진 물을 끌어 당기죠. 즉, 물(액체)이 기체(수증기)가 되기 위해 주변에서 열을 얻어 운동을 활발히 하지만 Na+, Cl-이 이 운동을 방해하여 쉽게 수증기가 되지 못하게 합니다. 그래서 이러한 방해를 극복하기 위해 더 많은 열이 필요하고, 더욱 높은 온도(더욱 활발해져야함)가 되어야하죠. 그래서 소금물의 끓는점이 높아지는 이유입니다.
학문 /
화학
22.10.31
0
0
가장 쉽게 오로라를 관찰하기 좋은 곳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휴대폰의 경우 성능이 좋은 카메라가 탑재된 스마트폰을 가져가시는게 좋으며, 캐나다 북부 지방, 북극, 아이슬란드 북부, 그린란드 북부, 핀란드 북부, 러시아 북부, 알래스카 북부 지역에서 볼 수 있습니다. 눈으로 봐도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31
0
0
심해어는 어떻게 살아갈수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심해생물의 경우 심해에서 살 수 있도록 진화를 하였습니다. 심해는 높은 압력과 빛이 들지 않는 어두움 속에 있습니다. 따라서 눈보다 다른 감각 기관이 발달한 경우가 있으며 스스로 발광을 하여 먹이를 잡거나 포식자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게 하죠. 심해에 적응하여 진화하다보니 눈이 없는 생물도 존재하며 발광을 하는 생물도 존재합니다. 심해 생물의 경우 몸 내부에도 물로 차 있어 내부압력과 외부압력의 평형을 이루며 고압환경을 견뎌 낸다고합니다. 하지만 심해생물의 세포는 여전히 고압 환경에 노출되어있습니다. 그럼에도 이러한 고압 환경을 버틸 수 있는 이유는 세포간의 물질전달이 원활히 일어나는 구조로 돼있기 때문입니다. 세포 내에는 불포화지방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강한 수압을 견딜 수 있다고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31
0
0
방부제의 습기를 제거시켜주는 원리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껌통에 들어가 있는 방부제의 성분은 실리카겔(Silica gel) 입니다. 실리카겔은 규소와 산소가 주 성분이며, 투명한 낱알갱이의 모양으로 다수의 구멍이 존재하는 다공성 물질입니다. 다수의 구멍으로 물 분자를 포집, 흡수하여 습도를 낮춰 건조하게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죠.
학문 /
화학공학
22.10.31
0
0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