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하늘은 왜 파란색이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공기(기체)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 될 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산란이란 쉽게 생각해 빛의 경로가 바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6
0
0
왜 기체의 증기압은 압력에 영향을 많이 받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증기압의 정의를 잘 아셔야할 듯 합니다! 증기압이란 고체에서 기체로, 액체에서 기체로 증발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즉, 기체는 이미 기체이기 때문에 증기이고 기체에서 기체로 되는 것은 무의미하기 때문이죠.압력이 강한 경우에는, 분자, 입자가 자유로워지기 어렵기 때문에 증기가 되는데 있어 영향을 받기 때문이죠.
학문 /
화학
22.10.26
0
0
수많은 별들이 있는데 우주는 왜 어둡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에는 공기가 없기 때문에 빛이 산란하지 못하기 때문에 우리눈에 들어오지 않게됩니다. 그래서 밤하늘은 깜깜한 것이죠. 또한, 별빛으로 우리 지구를 밝히기 위해선 굉장히 많은 별빛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별은 무수히 많은데 별빛(가시광선)이 없는 이유는 우주가 팽창하고 있기 때문입니다.우리 우주에는 수없이 많은 별들이 존재하고 이 별들은 하늘 어디를 찍어도 보여야 할 것입니다. 즉, 밤 하늘이 별로 가득차있어 밝아야 하죠. 하지만 밤하늘에는 별이 빛나는 부분이 있으면, 어두운 부분도 있습니다. 이것은 우주가 팽창하여 도플러 효과로 인해 적색편이가 일어나 별의 빛이 가시광선이 아닌 적외선 영역으로 바뀌었기에 우리가 볼 수 없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6
0
0
건전지 직렬과 병렬연결시 수명은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직렬의 경우 수명이 짧습니다. 병렬의 경우 수명이 깁니다.이유는 병렬의 경우 전류(전하의 흐름)는 전지 하나를 연결했을 때와 똑같습니다. 하지만 직렬은 전류가 2배가 되버리죠. 그래서 소모되는 속도가 빨라 수명이 짧아집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6
0
0
위에서 듣는 소리가 왜, 더 잘 들릴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밤에 듣는 경우 고층의 소리가 잘 들릴 수 있습니다.저녁에는 지면이 차가운 상태이고 지면과 맞닿는 공기가 차갑게 됩니다. 또한 공기층 상층부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따뜻합니다. 이러한 상황에 소리를 내게되면 찬공기를 타고가던 소리가 따뜻한 공기와 만나 굴절을 하게 됩니다. 이때 굴절은 소리의 속력이 빠른곳에서 느린곳으로 굴절이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소리는 온도가 높은 공기 중에서 속력이 빨라집니다. 왜냐하면 온도가 높을수록 공기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지고 소리의 전달도 잘하기 때문이죠. 따라서, 밤에 소리를 내면 지면과 가까운 쪽의 공기가 차갑고 상층부가 따뜻하므로 소리가 하늘로 퍼지지 않고 땅쪽으로 굴절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밤에 소리가 잘 들리는 이유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6
0
0
계절에 따른 낮시 밤시간의 차이는 왜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낮과 밤의 길이가 바뀌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의한 현상입니다. 또한, 지구의 자전축이 공전 궤도면에 수직하지않고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바뀌는 이유입니다. 또한, 낮과 밤의 길이가 바뀔뿐아니라 계절성도 띠게되죠.자전축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공전 궤도상에 특정 위치에 놓이면 북반구에서 태양을 떠있는 시간과 태양이 져있는 시간이 동일한 위치가 될 수 있습니다. 쉽게 생각해서 자전축이 공전 궤도면에 수직일 경우 적도에서는 낮과 밤의 길이가 항상 갖게되죠. 하지만 자전축이 기울어져있기 때문에, 적도에서 낮과 밤의 길이가 바뀌며 다른 위도에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질 수 있습니다.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로 공전하며 남반구가 태양과 가깝게 놓이게 되면 여름, 가장 멀게 놓이게 되면 겨울, 그 중간을 봄과 가을을 맞이합니다.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아 온도가 높아져 뜨거워지는 여름, 태양 에너지를 적게 받아 온도가 떨어져 추워지는 겨울 등으로 계절성이 나타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6
0
0
비행기가 하늘을 나는건 어떤 원리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유속이 빨라지면 공기의 밀도가 희박해져 압력이 낮아집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작용-반작용은 프로펠러에서 공기들을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비행체가 뜨는것을 의미합니다.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비행체가 뜨는것이죠. 예시로 드론, 헬리콥터가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2.10.26
0
0
양자 얽힘 현상이 미시세계가 아닌 일상 현실에서 적용 되는 상황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실에서는 양자 얽힘 현상이 지금도 일어나고 있지만 우리는 알아채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양자역학의 현상은 원자, 전자, 양성자 단위의 미시 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이기 때문입니다.피부에 와닿는 실생활적 예시는 제비 뽑기가 있습니다. 1이적인 종이와 2가 적힌 종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질문자님과 저와 만나서 제비뽑기를 합니다. 질문자님이 하나 뽑고, 다른 하나는 제가 뽑습니다. 그리고 저와 질문자님은 다시 집으로 돌아갑니다. 그 상황에서 저와 질문자님께서는 결과를 확인하지 않았기 때문에 1인지 2인지 모릅니다. 단순히 확률만 존재할 뿐이죠. 이러한 상황을 양자역학에서는 1과 2가 중첩된 상태로 표현합니다. 그런데, 만약 질문자님께서 너무 궁금해 종이를 펼쳐보게 되었는데 1이 나왔습니다. 그러면 상태는 더 이상 중첩되지 않고 1로 결정되었죠. 그 순간 저의 결과도 2로 결정된 것이죠. 먼거리에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질문자님께서 하신 행동하나로 저의 상태가 결정되버린 것이죠. 즉, 저와 질문자님은 제비뽑기로인해 얽힌 상태가 된 것입니다. 이러한 것을 양자 얽힘이라 합니다.빅뱅이론에 따르면 우리 우주가 한점에서 시작되었고 모든 물질은 한 곳에서 나오게 되었습니다. 그러면, 초기에 있던 물리량 중 보존되는 물리량이 있을 텐데, 이러한 것들이 흩어지면 전부 얽힌 상태가 된 것이죠. 그렇지만 이러한 얽힘을 이용하기에는 세상에 물질은 너무 많고 복잡하여 다룰 수도 없으며, 해석도 힘든 현실입니다.<참고>양자역학에서는 이러한 중첩된 상태가 다수 존재합니다. 조금 어려운 이야기가 될 수 있지만, 실제 예시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흔히 많이 드는 예시로 파이온(π0)을 듭니다. 파이온은 중간자(meson)로 붕괴하게 되면 전자와 양전자(전자의 반입자)로 쪼개집니다. 그런데, 이렇게 쪼개질 때 보존되는 양이 있습니다. 전하량, 스핀량이 보존됩니다. 파이온의 경우 스핀이 0인 파이온입니다. 그리고 파이온이 두 입자로 쪼개지면서 하나가 스핀 up이 되면, 다른하나는 스핀 down이 됩니다. 그래야만 스핀의 합이 0이되어 보존되기 때문이죠. 그리고 스핀을 측정하기 전까지 전자와 양전자에 대해 스핀 up인지 스핀down인지 모르며 중첩되어있습니다. 만약, 전자를 가지고 스핀값을 측정하게 되어 스핀 up인지 down인지 알아냈다면, 양전자의 스핀의 상태도 결정이 되버리는 것이죠. 즉, 파이온이 붕괴되면 전자와 양전자로 나뉘어지며 양자 얽힘이 발생한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6
0
0
반도체는 어디에 사용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반도체는 태양 전지, 이차 전지, 컴퓨터, cpu, 저장 장치, 전자제품, 스마트폰, 자동차, 디스플레이, 모니터 등 굉장히 광범위하게 쓰입니다. 대부분의 전자제품이나 전자기기에 들어가신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6
0
0
체성분 분석기 ‘인바디’는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인바디 측정기의 원리는 사람의 몸 부위 마다 미세한 전류를 흘려보냄으로써 신체의 저항값을 측정하며 지방량, 근육량 등의 비율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지방 부위나 근육(단백질) 부위의 구성하고 있는 물질이 다르기 때문에 저항값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저항값이 다르게 나타남을 이용해 전류를 흘려 보냄으로써 각 부위의 저항을 측정해냄으로써 지방, 근육의 비율을 계산해내는 원리입니다. 지방의 경우는 기름기가 많고 수분이 적어 저항이 높으며, 근육(단백질)의 경우 수분이 많고 기름기가 적어 저항이 낮습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0.26
0
0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