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등산을 갔습니다. 정상에서 바라본 울산이 이상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의 오염이라면 스모그가 생겨 띠를 이루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게 아니라면 안개나 구름이 우연찮게 만들어졌을 수도 있을 것이라 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0
0
0
기차는 코너돌때 왜 자리에서 한쪽으로 쏠리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차의 커브길은 차량의 커브길보다 급격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기차의 모양이 얇고 높게 되있어 커브할 때 급격하면 전도(기울어져 쓰러짐)가 될 수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커브길에서 몸이 쏠리는 현상이 거의 없는 것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20
0
0
수소폭탄은 방사능이 발생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폭탄은 핵융합 반응으로 원자폭탄에 비해 방사능이 덜 발생됩니다. 하지만 아예 발생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수소폭탄의 핵융합 과정에서 고에너지의 중성자가 발생되므로, 이것이 사람이나 자연 생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수소폭탄 주변을 감싸는 물질은 우라늄인데, 고에너지의 중성자가 우라늄을 타격하여 핵분열이 일어나 방사선 물질이나 방사능이 나올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0.20
0
0
지구 내부는 왜 뜨거운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외핵과 내핵은 아주 뜨거운 고온 상태이며 압력이 강한 고압 상태입니다. 외핵과 내핵에는 방사선 동위원소가 존재하여 핵분열 반응이 일어납니다. 이 핵분열 반응에 의해 지구 내부가 뜨겁게 유지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0
0
0
바다의동물중 고래는 포유류인것으로 아는데요 고래외에 비다속동물중 포유류는 또무엇이있습니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래는 새끼를 낳습니다.바다사자, 물범, 수달, 해달 등이 포유류에 속합니다. 이 들도 새끼를 낳죠.
학문 /
생물·생명
22.10.20
0
0
소름 돋는 상황과 추운 겨울에 갑자기 닭살이 돋는 이유는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추위나 더위는 우리 피부의 온도보다 낮거나 높을 때 느끼는 것입니다. 우리 표면 피부의 온도는 대략 30도정도 됩니다. 그리고 환경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느끼기 때문에 30도보다 낮으면 시원함이나 추위를 느끼고, 이보다 높으면 따스함이나 더위를 느끼죠. 그런데, 추위의 경우는 30도보다 훨씬낮은 온도일 때 느낍니다. 우리의 체내의 온도는 36.5도 정도를 유지(항상성 유지)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추위에 의해 체온을 뺏기기 시작하면 뇌에서 온도를 유지하려는 작용을 합니다. 즉, 교감신경이 작용하죠. 몸을 떨게하여 운동을 유발해 온도를 높이가나, 혈관, 땀구멍 등을 수축시켜 체온이 빠져나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죠. 이 때 수축이 일어나며 닭살이 돋는 것이고 털이 곤두서는 것입니다.소름 돋는 상황, 공포, 무서운 상황에서도 마찬가지로 교감신경이 작용하여 혈관, 땀구멍 등이 수축하게 되며 모공이 조여져 털이 곤두서고 닭살이 돋는 것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20
0
0
밤에 음식을 먹고 자면 얼굴이 붓는데 왜 이런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잠을 자는 동안은 누워있기 때문입니다. 평소 음식을 짜게먹거나 하면 체네 염분량이 높아져 수분량도 증가합니다. 평소 활동하는 시간에는 주로 서있거나 앉아있게 되는데, 이 때 중력에 의해 대부분의 수분은 신체 아래에 위치합니다. 하지만 누워서 잠을 자게 되면 수분이 몸에 골고루 퍼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대부분 신체 아래에 있던 수분이 얼굴까지 올라오게 되면서 얼굴이 붓게 되죠. 활동을 하면서 수분이 빠지는 이유는 서거나 앉으면서 상체에 있는 수분을 아래로 보내기 때문입니다
학문 /
화학
22.10.20
0
0
껌과 초콜릿을 같이 먹으니 껌이 녹아 없어지던데 무슨 원리인지 알고 계신분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저도 그런적이 있어 찾아본적이 있네요... 아찔합니다...껌에 접착성(?), 찐득함을 유지해주는 성분이 기름에 녹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초콜릿은 유분이 풍부한 과자기 때문에 껌과 초콜릿을 같이먹으면 초콜릿의 기름성분이 껌의 접착력을 떨어뜨려 녹듯이 흐물해져 사라집니다.
학문 /
물리
22.10.20
0
0
투명망토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메타물질을 이용한 것입니다. 메타물질은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을 혼합하여 굴절률을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끔 만든 물질입니다. 보통 물체의 굴절률은 양의 굴절률을 가지며 휘어져 투과하지만, 메타물질의 경우 음의 굴절률을 가지며 빛이 물체 주변을 둘러가기 때문에 마치 없는 거처럼 느껴져 투명성을 띠는 원리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0
0
0
중3과학 역학적에너지와 운동에너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운동과정에서 역학적에너지(운동에너지+퍼텐셜에너지(위치에너지))는 보존됩니다.그래서 꼭대기에서는위치에너지+운동에너지=4*5*10+1/2*5*10^2 입니다.바닥에서는 위치에너지+운동에너지=0+1/2*5*v^2 이죠.꼭대기와 바닥에서 역학적에너지가 동일하니 두식을 등호해서 풀면 속력이 나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10.20
0
0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