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양자컴퓨터는 어떤 용도로 쓰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양자 컴퓨터는 큐빗 체계를 사용하여 기존 비트 체계의 컴퓨터에 비해 연산이 굉장히 빠릅니다. 그래서 양자 컴퓨터의 경우 복잡한 연산 문제, 수학 문제, 물리 문제 등 과학, 공학 분야에 사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빠른 연산속도는 암호 해독하는데 장점이 되기 때문에 군사적으로나 국가정보보안 차원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2
0
0
항공기에서 용변처리기술 아시는분?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항공기에서 용변을 공중으로 방출해 하늘에서 분해시킨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사실 항공기의 화장실에서 용변을 보고 버튼을 누르면 흡입하듯이 빠져 한 곳에 모아두고 착륙시 수거하여 비우게 됩니다. 흡입하듯이 빨아들이는 것은 항공기 변기에는 항공기의 흔들림에 승객에게 물이 튈 까봐 물로 차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용변을 흡입하듯 빨아들여 변기를 깔끔하게 만드는 것이죠. 궁금한게 해결 되셨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2
0
0
최근에 보게 된 유튜브에서 호문쿨루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조작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직 과학적으로 그러한 생명체의 존재해 대한 연구결과나 어떤 근거도 없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2
0
0
사람들의 성격과 지능은 왜 이렇게 다양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성격의 다양성과 지능의 차이는 유전자의 다양성에 의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유전자의 정보는 모든 사람이 동일한 것이 아닌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이에 내향적인 성격, 외향적인 성격, 수학을 잘함, 달리기를 잘함, 수영을 잘함, 악기를 잘 다룸, 조립을 잘함 등 여러가지 특성이 눈에 띨 수 있죠.
학문 /
생물·생명
22.10.02
0
0
리모컨의 원리와 신호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리모컨은 버튼에 따라 각기 다른 적외선 신호를 발생 시킵니다. 이 적외선 신호를 리모컨에서 TV로 보내고, TV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적외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버튼에 따른 명령을 처리하여 반영해주는 원리입니다. 적외선은 인체에 해롭지 않으며, 우리도 체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몸에서 나오는 빛이 적외선입니다. 또한, 적외선은 낮은 전압에서 구동해 출력을 높일 수 있어 효율적이기에 사용됩니다. 리모컨의 앞부분에 적외선이 나오는 LED를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우리눈은 적외선이나 자외선을 볼 수 없지만 핸드폰 카메라로 이를 비춰보면 반짝임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는, 핸드폰 카마레에서 적외선을 받아 가시광선으로 표현해주기 때문에 보실 수 있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2
0
0
구름의 수증기는 왜 안떨어 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이 형성될 때 공기의 한 부분이 상승기류를 만나 상승하여 구름이 되었고, 바람이나 다른 기류를 통해 이동하기 때문에 집단이 흩어지지 않고 움직입니다. 하지만, 아주 강한 바람이 분다면 구름도 나눠질 수 있으며, 흩어질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2
0
0
금속탐지기의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금속 탐지기는 전자기 유도 현상으로 금속을 감지합니다.전자기 유도 현상이란 코일(도선)이 있고, 코일 주변에 자석(또는 전자석)이 움직이거나 자기력이 변화하고 있을 때 코일(도선)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금속 탐지기는 하나의 코일입니다. 이 코일에 변화하는 전류를 흘려보내 변화하는 자기장을 만들어 내죠.그리고 이 변화하는 자기장이 외부 금속에 닿게되면, 금속의 입장에서는 외부의 자기장에 변화로 전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합니다. 즉, 금속에 유도 전류가 흐르죠. 그렇게 되면 금속 또한 하나의 자석이 됩니다. 이 금속이 자석이 되어 자기장을 만들고, 만들어진 자기장이 금속 탐지기에 영향을 미쳐 예상과 다른 전류가 흐르게 되죠. 이 때 경고음이 작동함으로써 금속을 탐지하는것입니다.- 탐지력 정도는 얼마나 되나요? 깊이, 탐지 능력: 깊이는 3m도 가능하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02
0
0
별은 도심지 보다 시골이 더 많이 보이는 데 왜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도심지에는 가로등, 아파트 불빛, 건물 불빛 등 밤에도 빛이 많습니다. 이러한 빛에의해 주변이 밝거나 빛이 밤하늘의 공기중에서 산란되어 별빛을 뚜렷하게 보는데 방해를 하죠. 그래서 빛이 거의 없는 시골에서 별이 뚜렷히 더 많이 잘 보이는 이유입니다. 또한, 미세먼지와 같은 영향도 있을 수 있습니다. 도시는 시골에 비해 대기에 먼지가 많아 별을 보는데 제한적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2
0
0
질량과 무게는 똑같은게 아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질량은 물체에 고유한양으로 kg, g과 같이 나타냅니다. 무게는 질량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로 질량에 중력가속도(지구의 경우9.8m/s^2)를 곱한값으로 N, kgf 단위로 나타냅니다.그런데, 우리는 저울에 올라가 몸무게를 재면 kg값을 보게되는데, 이는 실제로 중력의 크기(무게)이지만 과거부터 써온 값이며 중력의 크기와 질량이 비례하기 때문에 여전히 사용해오는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무게와 질량이 같은지 다른지 혼동이 올때가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10.02
0
0
스마트 워치에 있는 수면 측정 기능은 어떻게 측정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스마트 워치에 심박수를 재는 기능과 이동을 측정하는 기능이 있는데, 이동이 멈추고 심박수가 안정적으로 될 경우 수면시간으로 인식합니다. 수면시 심박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패턴을 분석해 수면시간을 추정해 내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1
0
0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