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핵 연료는 영구적 에너지를 만들수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핵 연료는 불안정한 원자(우라늄-235)에 중성자를 충돌시켜 불안정한 원자가 다른 원자로 변하며 결손되는 질량이 발생하는데, 이 결손된 질량이 에너지로 전환됨에 따라 에너지를 얻어지는 것입니다. 불안정한 원자에 중성자를 충돌 시킴으로써 붕괴를 시키는데, 이 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나 많은 양에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연쇄 반응이 끝나면 에너지는 더 이상 나오지 않기 때문에 불안정한 원자(우라늄-235)가 원료로 필요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4
0
0
도파민에 중독되면 벗어나기가 힘든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중독이라는 것은 벗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중독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도파민 같은 중독을 이겨내기 어렵지만 이겨내기 위해서는 운동을 꾸준히 하거나 활동성이 강한 취미를 가지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주 강한 의지가 필요하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4
0
0
물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수압이 세다는데 왜그런건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압이 세지는 이유는 중력에 의한 것입니다. 우리가 무거운 짐을 들거나 운동기구를 들 때 그 무게를 들기 위해 힘을 써야하죠. 이것과 마찬가지로 물속에 잠수하게되면 우리 머리위로 쌓여진 물을 우리의 온 몸으로 드는것이라고 생각하면됩니다. 이를 압력이라고하죠. 그래서 깊은 물에 갈수록 더 많은 물을 견뎌야 하므로 압력이 세지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4
0
0
전기세가 또 오른다고 하는데..절약할 수 있는 팁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세를 아끼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제품의 사용량을 최소로 하며, 사용하지 않는 제품의 경우 코드를 뽑아 놓는것이 좋습니다. 대략적인 전기사용량을 적어드리겠습니다. 제품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건조기 시간당 2000W스타일러 시간당 1500W에어컨 시간당 1500W전자렌지 시간당 1050W전기밥솥 시간당 1000W세탁기 시간당 300W비데 시간당 250WTV 시간당 150W컴퓨터 시간당 100W냉장고 시간당 100W공기청정기 시간당 50WLED 조명 시간당 15~30W 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4
0
0
알루미늄 포일에 고기를 구어먹으면 유해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알루미늄 호일은 열에 약한 특징이 있어 음식을 감싸 조리하게 되면 알루미늄의 미량이 음식에 녹아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알루미늄이 녹는 양은 인체에 무해할 정도로 양이 적습니다. 또한 알루미늄을 우리 몸에 필요없는 성분이기 때문에 체내 흡수율이 낮으며 배출됩니다. 그리고 혹여나 흡수됐다 하더라도 신장에서 걸러져 체외로 배출됩니다. 그래서 크게 걱정안하셔도 될듯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4
0
0
주유소 정전기 패드 원리가 뭐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몸에는 미세하지만 전류가 흐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전류는 전자(-)의 흐름으로 형성되고 있죠. 그리고 정전기 패드는 전도가 잘되는 재질이며 전자(-)를 잘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정전기 패드에 손을 대게되면 우리 몸에 존재하는 전자(-)가 정전기 패드로 이동하죠. 그러면 우리 몸은 중성 상태가 되어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고, 정전기의 스파크를 통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4
0
0
종이컵에 비닐코팅이 뜨거운 물에 환경호르몬이 나온다는데 맞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환경호르몬의 작용으로 호르몬 분비의 불균형, 생식기능 저하, 생식기관 기형, 성장 저해, 암, 신경계와 면역계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환경도 생각하고 건강도 생각하신다면 텀블러를 들고 다니며 차를 타 드시기를 권장드립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4
0
0
곤충이 가지고 있는 형광물질과 화학 형광물질은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반딧불이는 몸에서 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을 내뿜는데 이 루시페린이 공기중 산소와 만나 화학반응을 하며 빛을 냅니다. 그리고 반딧불이는 공기가 맑은 지역에 서식하고 있어서 도심에서 보기가 힘든게 아쉬운 점입니다. 논이 많은 곳이나 숲이 우거진곳, 산이 많은곳에 가야 볼 수 있게되었습니다. 반딧불의 밝기는 3㏓(럭스) 정도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집의 밝기는 300~400㏓ 정도입니다.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형광 물질이라하는것은 외부의 빛에 의해 밝게 빛나는 물질을 의미합니다. 형광 물질에 높은 에너지의 빛을 비춰주면 형광 물질 내의 원자가 들뜬 상태(에너지가 높은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이 들뜬 상태가 얼마지나지 않아 다시 안정된 상태(들뜬 상태보다 낮은 에너지)가 됩니다. 이때 들뜬 상태에서 안정된 상태가 되면서 에너지가 감소되는데, 이 에너지가 빛으로 발산되는것이죠. 그래서 형광물질이 밝아지는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4
0
0
드라이 아이스는 어떤 방식으로 만드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체에서 고체로 되는 과정은 존재하지만 우리는 흔하게 접할 수 없죠. 이유는 우리는 보통 상온 상태에 있으며 대부분의 고체가 액체나 기체로 상전이 하는 과정만 지켜볼 수 있습니다.기체를 고체상태로 만들기위해서는 강한 압력과 극 저온의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기체는 급격히 압축되고 급격히 온도가 떨어져 고체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를 관측하기 위해서는 실험 장비가 필요하며, 연구소나 공장에 있는 장비를 통해 관측이 가능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4
0
0
전자렌지의 작동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레인지에서 나오는 마이크로파는 특정파장과 진동수를 가지고 있는데 이 빛이 물 분자를 진동시키는데 적합한 진동수와 파장이기 때문에 물만 데워집니다. 유리잔을 떨리게 하는 진동수와 파장이 아닙니다. 그리고 마이크로파가 물 분자를 진동시키는 원리는 물분자는 전기적 극성을 가지고 있는데, 극성을 가진 물 분자는 마이크로파(전자기파=빛)와 상호작용하며 빠른 속도로 왕복운동을 하며 진동을 하는 원리입니다. 물분자가 운동을 하며 온도가 올라가 열을 발생시키는 원리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4
0
0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