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모기가 뚫을 수 없는 옷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기피제를 바르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실내에 모기 퇴치제를 설치하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모기가 뚫지 못하는 어려운 옷은 청바지, 청자켓류가 있습니다. 또한 가죽 재질도 잘 뚫지 못하구요.모기로 고생이 많으신거 같은데 좋은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여 모기없는 생활 하시길 바랍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09.06
0
0
집 마당에 시멘트 포장을 해놓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크랙이 발생하는 이유는 물질이 굳을 때 균일하게 굳지 못하고 일부가 빨리 굳거나 일부가 느리게 굳게 되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그래서 시멘트와 모래가 제대로 잘섞였는지 확인하시는게 좋으실 듯합니다. 또다른 원인으로는 굳는 수축 정도가 부분부분 다르면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수분이 적을때 크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06
0
0
금속(철판이나 아연도강판)에 샌딩을 하고 난 후..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만약 코팅처리가 되어있었다면 긁은 부분의 코팅이 벗겨져 녹이 빨리 피어있을수도 있습니다. 코팅문제가 아니라면 긁혀진 부분이 거칠어져 표면적이 넓어질 수 있는데, 표면적이 넓어지면 외부 산소나 물과 반응이 더 잘 일어납니다. 그래서 녹이 더 빨리 피었을 수도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06
0
0
해수의 부피는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해수의 부피는 전지구적으로 바다를 탐사한 자료를 기반으로 계산이 가능합니다. 인류는 바다의 깊이와 바다의 표면 넓이 등을 끊임없이 탐사하고 연구해왔죠. 바다는 지구 표면적의 70.8%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를 이용해 해양의 면적을 계산하면 3억 6105만 km^2이 됩니다. 또한 바다의 깊이를 끊임없이 탐사하였는데, 현재까지 인간이 잠수정을 타고 도달했던 최대 깊이는 10908m입니다.최대 깊이는 11034m이며 아직 도달한 깊이는 아닙니다. 바다의 깊이를 조사하여 평균을 낸 결과 바다 깊이의 평균은 4117m입니다. 평균깊이와 넓이를 곱하면 바다의 부피를 구할 수 있는데, 바다의 부피는 13억 7030만 km^3 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6
0
0
시골 촌집 지붕,벽체 색 바램 현상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색이 변하는 이유는 햇빛에는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이 포함되어있는데 자외선에 의해 주로 변색이 됩니다. 그래서 빛 바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페인트를 사용하여 변색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을 한번 문의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06
0
0
전기저장장치 ESS의 화재가 잦은데 주요 원인이?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ESS에 의한 화재는 생각보다 잦지 않습니다. 원인은 베터리 과열로 인한 화재이죠.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베터리 사용시 과열의 정도를 파악하고 누적사용시간등을 규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생산하는 ESS의 과열이 없다면 불량품이 포함되어있을수도있으니 불량품을 잘 확인해 내는것이 관건일듯 싶습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06
0
0
수소로 에너지원을 사용한다면 화석 연료처럼 고갈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는 화석연료보다 더욱 풍부한 자원이고 물과 공기에서부터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훨씬 많은 양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한한 자원은 없기 때문에 고갈시점은 반드시 존재하죠. 지구에는 물의양과 공기의 양이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학문 /
화학
22.09.06
0
0
네비게이션에 목적지까지의 거리는 직선거리인가요 아님 실제 경로의 합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중간중간 거리가 안맞을 수 있는것은 gps신호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gps도 완벽히 정확하진않고 오차가 어느 정도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중간중간 맞지 않아도 도착지까지 가면 신호지연과정이 사라져 주행거리가 일치할 수 있습니다. 완벽히 일치하지않는것은 오차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06
0
0
태풍의 발생부터 소멸까지의 과정이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6
0
0
광통신 기술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광통신 기술은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전파(빛)를 송신하여 신호를 주고받는 원리입니다. 보통 전선을 사용하여 전기 신호를 흘려보내는것보다 빠른 장점이 있습니다. 광케이블은 빛이 케이블의 시작점부터 끝점까지 이동하게끔 설계가 되어있습니다. 이때 사용되는 원리는 빛의 전반사의 원리입니다. 전반사란 매질의 굴절률이 작은곳에서 매질의 굴절률이 큰곳을 지나면서 발생되는 현상입니다. 빛이 매질 경계를 투과하지 않고 모두 반사되어버리는 현상이죠. 이렇게 두개의 매질로 구성된 광케이블을 빛이 지날 수 있으며 손실없이 빛의 속도로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09.06
0
0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