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달의 색깔이 다양한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이 붉어보일때도 있고 노랗게 보일 때도 있는것은 지구에 대기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달은 태양 빛을 반사하여 빛을 냅니다. 그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위해서는 지구에 있는 대기를 통과하죠. 대기를 두껍게 통과하는 경우인 달이 떠오르거나 질 무렵에는 달이 붉게 보입니다. 이는 두꺼운 대기를 통과할때 짧은 파장의 빛이 산란되고 살아남은 긴 파장의 빛이 눈에 도달하기 때문이죠. 노랗게 보이는 이유는 태양 빛이 노란색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30
0
0
사람마다피부색이 다른이유는무엇인지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유전자 때문입니다. 쌍커풀이 있고 없고, 손톱이 둥글고 뾰족하고, 피부색이 다르고 하는것들은 전부 유전자에 의한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08.30
0
0
봄이랑 가을이 다른 이유를 모르겠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을 지난 봄에 잎이 돋아나기 시작하고 잎에 있는 엽록소가 만들어지면서 초록 잎을 유지합니다. 가을이 되면서 이 엽록소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고 엽록소가 분해되어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어 단풍이 지는것이죠. 겨울에 모든 잎이 떨어지고나서 봄을 맞이하며 새로운 잎이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곤충과 새의 도움을 받아 열매를 맺는 이유도 있기 때문에 봄과 가을이 구분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30
0
0
전자레인지의 원리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물 분자를 진동시키는 원리로 음식을 데우게 됩니다. 전자레이지로 음식을 데우게 되면 모든 부분이 데워지는 것이아닌 마이크로파가 세게 지나는 특정부분들이 데워집니다. 그래서 전자레이지안에 회전판이 있는데 회전하여 최대한 많은 부분이 마이크로파와 닿게하기 위해서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8.30
0
0
휴대폰 충전선은 왜 종류가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업마다 각자 기술의 개발 방식이 독립적이고 충전선에 대한 통일된 규정이 없기 때문에 종류가 다릅니다. 이 부분에 대해 하나의 방식으로 통일시켜 충전선을 만들라는 규정을 만드려고 해도 어느 기업을 따라야할지가 문제가 되기 때문에 여전히 통일되지 않고 각자의 방식으로 생산하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8.30
0
0
탄산음료는 물보다 적게 담겨져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탄산음료 속에 녹아 있는 이산화탄소기체가 빠질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 것입니다. 탄산음료는 온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온도가 높으면 탄산이 많이 빠지고 온도가 낮으면 탄산이 음료에 더욱 많이 녹게 되죠. 그런데 음료를 구매하고 상온에 둔다면 탄산이 빠져나갈것인데 빠질 공간이 없으면 패트병이 팽팽해져 터질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차가운 상태라도 우리가 실수로라도 음료를 흔들게 되면 뚜껑을 열시에 음료가 바로 뿜어져 나옵니다. 그래서 약간의 빈 공간을 둔 이유입니다.
학문 /
화학
22.08.30
0
0
비누 방울이 생기는 원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에 비누를 섞음으로써 물의 표면장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비누에 있는 계면활성제는 물의 표면에 정렬된 상태로 놓입니다. 그래서 약화된 표면장력으로 인해 비눗물 속에 기포가 들어와 커지게 되면서 표면에는 계면 활성제가 정렬되기 때문에 비눗물이 기포 주변으로 얇게 퍼져 구형을 이루며 비누방울이 되는것이죠.
학문 /
화학공학
22.08.30
0
0
북극곰은 사람을 찢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북극곰의 힘과 발톱으로는 사람과 같은 신체를 찢을 수 있으며, 뼈도 아작 낼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8.30
0
0
국가별로 주파수가 다른건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국가별로 전기를 사용하기 위해 전기 제품을 만들때 어떤 주파수를 사용했는지에 의존하기 때문에 각 국가별로 주파수가 다른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30
0
0
영화 인터스텔라에서 해일이 일어나는 장면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파도가 치는 원리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지구는 태양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 바다와 호수에 작용하므로 물결이 이는걸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넓고 깊은 바다에 비해 호수는 좁고 얕으므로 파도가 크게 일렁이지 않습니다. 만약 큰 태풍이나 바람이 분다면 호수에도 파도가 칠 것입니다.다시 본론으로와서 인터스텔라에서 큰 해일이 칠때 중력이 아주 강한 밀러 행성으로 탐사를 간 상태입니다. 이때 지구에서와 같은 원리로 주변에서 중력의 행사로 인해 파도가 치게 되는데 밀러 행성의 경우 주변에 중력이 아주 큰 물체가 있기 때문에 파도가 해일처럼 클 수 있던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30
0
0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