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계이름 도레미파솔라시의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계이름의 유래가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도레미파솔라시도라는 계이름의 기원을 마련한 이탈리아의 성직자 구이도 다레초는 대략 991년 경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됩니다(990년, 992년이란 얘기도 있음).
학문 /
음악
24.03.04
0
0
소설에 3인칭 시점은 뭘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설 밖에 존재하는 서술자를 흔히 3인칭 시점이라고 말합니다. 우리가 3인칭이라고 부르는 까닭은 다른 게 아니라 서술자가 작품 속 인물로 등장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서술자가 소설 속에 일어나는 사건을 겉으로만 알고 있고 사건에 대해 아무런 평가도 내리지 않은 채 인물의 외양이라든가 행동만 묘사하고 있다면 그것이 바로 작가 관찰자 시점입니다. -서술자가 인물의 성격이나 가치관, 내면에 대해서 속속들이 들여다보고, 사건에 대해서 분석적으로 서술할 경우, 우리는 이를 전지적 작가 시점이라고 부릅니다.
학문 /
문학
24.03.03
0
0
고려시대 상원수는 어떤 직책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 전기의 상원수는 상설 관직이 아니었다고 합니다. 외적 침략과 같은 유사시에 5군 또는 3군이 편성되면 군사 전체를 지휘하는 사령관 역할을 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4.03.03
0
0
디드로효과가 뭔가요?책을읽다보니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디드로효과는 하나의 물건을 사고 나서 그에 어울릴만한 물건을 계속 구매하며 또 다른 소비로 이어지는 현상을 일컫는 용어라고 합니다. 18세기 프랑스 철학자 드니 디드로(1713~1784)는 친구로부터 선물 받은 멋진 실내복 때문에 책상, 의자, 시계 등을 모두 교체했습니다. 이러한 디드로의 일화를 계기로, 새로운 물건을 갖게 된 후 새 물건과 어울리는 것들을 갖고 싶어하는 것, 이것을 디드로 효과라고 합니다.
학문 /
문학
24.03.03
0
0
노랭이라는 말은 어디에서 유래된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노랭이의 사전적인 정의를 보면 ‘규모가 좁고 인색한 사람’을 의미합니다. 구두쇠, 수전노, 자린고비 등과 유사한 말입니다.
학문 /
역사
24.03.03
0
0
성경에 등장하는 므두셀라는 어떤 인물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므두셀라는 가장 오래 산 사람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므두셀라는 구약 성경의 창세기 5장 21절에서 27절에 등장하는 인물로 '창 던지는 자', '하나님께 예배하는 자'라는 뜻입니다. 므두셀라는 969세에 죽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4.03.03
0
0
거란이 역사에 등장하는 것은 언제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거란의 역사, 기원이 궁금한 것 같습니다. 거란의 족원은 대체로 흉노와 동호설로 대비됩니다. 거란사와 요사를 연구한 학자들은 대체로 거란족이 동호계 선비족 중 우문선비의 분파로써 우문선비, 고막해와 함께 원 선비족에서 분리되었다고 인식합니다. 4세기경 거란은 모용선비의 전연의 영향력 아래 있다가 전연이 중심지를 남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고막해의 영향력하에 있게 되었습니다. 388년 고막해가 탁발선비의 북위에 토벌당해 부족들이 흩어지면서 독립하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4.03.03
0
0
고려 왕조 왕의 근친혼은 언제까지 이어졌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의 근친혼이 언제까지 성행했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고려시대는 초기에 친족혼 제도가 있었으나 유교의 도입으로 친족혼 제도가 소멸되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4.03.03
0
0
고려시대에 남매끼리도 결혼한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에는 초기에 친족혼 제도가 있었으나 유교의 도입으로 친족혼 제도가 소멸되었습니다. 왕규의 두 딸이 태조와 혜종의 왕비가 되면서 태조와 혜종은 부자지간이자 동서지간이 되었습니다. 견훤의 사위인 박영규도 태조와 정종에게 두 딸을 출가시켰다고 합니다.친족혼은 왕권의 유지와 재산을 지키기 위함이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4.03.03
0
0
우리나라에 있는 팬더의 이름에 '바오'의 의미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어로 '바오'는 '宝'로 쓸 수 있으며, 뜻은 보물, 소중한, 귀중한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4.03.03
0
0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