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한국인이 '빨리빨리'를 좋아하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빨리빨리를 좋아한다기보다예전에 경제가 낙후되었을때짧은 시간에 복구하기 위한 운동으로 전개된 일종의 생존전략이아니었을까요?
학문 /
역사
22.11.17
0
0
‘주마등’처럼 스쳐지나간다 의 주마등은 뭘 뜻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등의 바깥 틀에 종이나 천을 붙이고 중간 틀에 말이 달리는그림을 붙인 주마등은 촛불의밝기에 따라 빠른속도로 돌았기때문에 생긴 말이랍니다.
학문 /
역사
22.11.17
0
0
일엽편주라는 사자성어의 어원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일엽편주'란 험한 풍랑앞에 선 작은배, 혹은 의지할 곳없는 외로운인생을 뜻하는 조선의 속담입니다.
학문 /
역사
22.11.17
0
0
한국에서 설날에 떡국을 먹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나이를 더해주는 음식'이라는첨세병(떡국 )은 긴 가래떡으로 늘려뽑아 먹는데 이는 장수와 재물운이늘어나길 바라는 마음에서 입니다.옛날에는 떡국에 쇠고기 대신 꿩고기를넣엏는데 꿩은 좋은 기운을가져다주는 새로 여겼답니다.
학문 /
역사
22.11.17
0
0
'치사하다'의 어원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치사하다'란 말은 형용사로써어원 '치사'에 하다가 더한 단어입니다.행동이나 말따위가 쩨쩨하고남부끄러울때 쓰입니다.
학문 /
철학
22.11.17
0
0
놀랐을 때 간 떨어질 뻔 했다고 표현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혼백'이란 말에 혼은 '간'에백은 '폐'에 머물러 있다합니다.그래서 간이 떨어졌음은 죽음이고,떨어질뻔 한것은 기적적인소생을 뜻한답니다.
학문 /
역사
22.11.17
0
0
같은 언어에서 방언이나 사투리는 왜 생겨났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높은 산맥이나 강, 바다에가로막혀 다른 지역과 왕래가 없어고립된 생활을 하다보니, 그 지역사람들만의 생각과 감정이 담긴 말.통상 말하는 사투리가 생겨난것이라 합니다
학문 /
역사
22.11.17
0
0
유명 독립운동가를 보면 의사와 열사, 선생이 있는데 무슨차이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열사란? 나라와 민족을 위해 외세나 독재에 항거하다 죽음을당한사람의사란? 목숨을 걸고 무력을 동반하여항거하다 죽음을 당한 사람지사란? 나라와 민족을 위해 목숨을 걸고 뜻을 이루려고한 사람모두 우리민족의 훌륭한 분들입니다.
학문 /
역사
22.11.16
0
0
유아도서중에 오로지 감정만 다룬책이 있을까요? 출판사마다 다 다르긴하지만 감정책들이 있는데 행동교정이라던지 감정과 함께 있어서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책도 음식과 같이 편식을하면 안되겠죠? 특히 아이들은다양한 책을 접하는 기회를 줘야하지않을까요? 아이들도 스스로자기에게 맞게 책을 흡수할거예요.물론 부모가 선별해 줘야겠죠.
학문 /
음악
22.11.16
0
1
사람들은 왜 생일을 챙기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굳이 케익을 준비하지 못했어도탄생을 축복하였지 않았을까요?생일은 챙긴다는 의미보다기억한다는 의미가 더 행복합니다.그래서 축복된 날을 기뻐하는게아닐까요?
학문 /
역사
22.11.16
0
0
946
947
948
949
950
951
952
953
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