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왕위에 오르지못하는 왕자들은 궁에 거주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왕위에 오르지못하고 왕이 세자가 있으면대군들은 전부 궐밖으로 나갑니다 궐내 거주 못합니다.
학문 /
역사
23.07.31
0
0
조선시대 호패는 언제부터 부여받을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호패를 차는 대상에는 16세 이상의 모든 남자가 포함되었지만, 오늘날의 주민등록증과 같이 모든 사람이 똑같은 호패를 차고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현재의 주민등록증은 남녀는 물론 그 지위나 신분에 따른 차별이 전혀 없지만, 조선시대의 호패는 그것을 차는 사람의 신분에 따라 호패의 재료나 기재 내용은 물론 각인의 위치나 주관하는 관서도 달랐습니다
학문 /
역사
23.07.31
0
0
조선시대 '통리기무아문'에서는 어떠한 일들을 하였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군국기밀과 일반정무를 총괄하기 위해 1880년 설치된 조선 후기의 중앙행정기관을 말합니다.근대문화의 수입 및 외국과의 통상 확대 등을 위해 청나라의 제도를 모방해 만든 통리기무아문의 장관은 총리대신으로 불렸으며, 그 밑에 12사를 두어 사무를 분담케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31
0
0
원효대사의 업적으로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원효는 앞서가는 불교를 배우려고 661년 의상과 함께 당나라로 떠나게 되었다. 산 속의 무덤 사이에서 잠을 자던 원효는 심한 갈증을 느껴 바가지에 고인 물을 달게 마셨는데, 이튿날 아침에 그것이 해골에 고인 빗물이었음을 알고 뱃속이 메스꺼워 토하기 시작하는 순간, 불현듯 모든 것을 깨달았다. 태종의 딸 요석 공주와 맺은 인연으로 아들을 두게 되었는데 그가 바로 이두 문자를 만든 신라 대학자 설총이었다. 스스로 계율을 어긴 것을 뉘우치며 불교의 대중화를 위하여 전국을 돌며 불도를 전하고, 당나라에서 들여온 <금강삼매경>을 왕과 고승들에게 강론하여 신라 최대의 승려로 존경을 받았다.그리고 여러 파로 나누어진 불교를 통일시켜 우리나라 고유의 불교로 발전시켰다. 라는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7.31
0
0
왜! 곤충이나 새 소리를 운다라고 표현할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짐승, 벌레, 바람 따위가 소리를 내다.물체가 바람 따위에 흔들리거나 움직여 소리가 나다. 라는 뜻입니다. 사람도 만찬 가지입니다.즉 소리를 내는것을 운다 웃는다로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개가 웃으면 우리가 개도 웃네 하는 것은 표현으로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학문 /
음악
23.07.31
0
0
서울 4대문이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4대문 동대문 흥인지문 서대문 돈의문 남대문 숭례문 북대문 숙정문 4소문 동소문 동북 혜화문 수구문 동남 광희문 서소문 서남 소덕문 북소문 서북 창의문
학문 /
역사
23.07.31
0
0
직장 하급자의 부인을 뭐라고 호칭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냥편하게 자네 부인이라면 편할 것 같습니다.또는 아내 되시는분은 잘계신가 같은 표현이 어떨까 합니다.친하게 되고 나이가 어리면 재수씨라고 해도 좋습니다.
학문 /
역사
23.07.31
0
0
도망친 노비의 얼굴에 글자를 새겼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노비가 도망가다 잡히면 왼쪽빰에 남자는 '노', 여자는 '비'자를 새겨 도망친것에 대한 형벌로 삼았습니다. 이마나 얼굴에 바늘을 찌르고 먹물을 넣어 영원히 변하지 않게 하는 이른바 자자형이라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7.31
0
0
7번 해안국도를 가면 바로 바다를 바라보며갈수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바다로계속 갈수 없습니다.그러나 울진으로 갈수록 거의 바닷길입니다.그러나 중간중간 완전 바닷길은 아니고 거의 바다라 보시면 무리가 안닙니다.
학문 /
미술
23.07.31
0
0
조선시대에 역모를 행했을 때 어린아이는 어떻게 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모를 범했을때 역모죄에서는 3대를 멸한다고 하는데, 보통은 아버지-아들-손자는 기준으로 삼고,나머지 처벌 대상은 때에 따라서 조금씩 예외가 있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학문 /
역사
23.07.31
0
0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