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고대 중국에 있었다는 순장 풍습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순장은 죽은 지도자가 사후에도 그 지위를 누리며 살기를 기원하며 다른 사람을 같이 묻는 것을 말합니다.
학문 /
역사
23.06.23
0
0
고려장은 정말 우리나라 역사가 맞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에 나이든 부모를 다른 곳에 버려 두고 오던 풍습이 있었다는 설화 입니다.해당 설화는 19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나 고려장이라는 용어가 해당 설화와 결합한 것은 19세기 말~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시기이며 이에 따라 일본제국의 역사 왜곡설이나 단순한 루머가 확산된 것이라는 등 다양한 설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3
0
0
신라에 화랑은 왜 얼굴을 흰색으로 칠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화랑들이 화장을 한 것은 화랑 주위에 언제나 수많은 낭도들이 뒤따랐고 이 낭도들을 잘 지휘하기 위해 권위를 보여줘야했기 때문입니다. 또 화장을 함으로써 다른 낭도들과 쉽게 구별이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학문 /
미술
23.06.23
0
0
코뿔소가 멸종위기에 처한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재 지구에 남은 코뿔소는 총 5종이며 모두 멸종 위기입니다.코뿔소의 뿔은 인간 손톱을 구성하는 케라틴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져있는데 일부 지역에서 뿔에 항암 효능이 있다는 잘못된 소문이 퍼졌고 이에 무차별적인 사냥이 행해지며 결국 멸종위기에 처한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6.23
0
0
영락제가 수도를 베이징으로 옮긴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치적으로 수도를 남경에서 자신의 세력 기반이었던 북경으로 옮겼는데 본래 남경은 건문제의 세력 기반이었으나 북방에서 들어온 영락제로서는 찜찜했고, 아직 북장에서 몽골족의 침입이 계속되던 상황이다보니 중간쯤에 위치한 곳으로 수도를 옮긴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6.23
0
0
고려 후기문학에서 경기체가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서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 중엽 이후 발생한 문학 장르로, 노래 말미에 景긔엇더하니잇고, 또는 景幾何如라는 구가 붙어 경기체가라 부릅니다.한림제유의 한림별곡이 널리 알려져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3
0
0
조선시대 때 대비마마 및 상궁마마라고 부르던데 마마의 어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마마는 원래 중국어의 백화로 엄마를 뜻하는 말로 조선시대 후기에 들어 한반도의 궁중용어로 자리잡은 왕실 내 구어체 호칭으로, 궁중 최고위 존칭인 마노라가 후기~말기에 접어들며 마마로 대체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3
0
0
칸트의 정언 명령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칸트 철학에서 행위의 결과에 구애됨이 없이 행위 그것 자체가 선이기 때문에 무조건 그 수행이 요구되는 도덕적 명령을 말합니다.칸트는 의지에 주어지는 모든 명령을 두가지 종류, 즉 가언적인 것과 정언적인 것으로 구별하는데 가언적 명령이 가능한 행위의 실천적 필요성을 다른 사람들이 의욕하는 어떤 다른 것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상하는 것이라면 정언적 명령은 한 행위를 그 자체로서 어떤 다른 목적과 관계없이 객관적-필연적인 것으로 표상하는 명령입니다.즉 가언명령이 기술적인 숙련의 규칙이거나 실용적인 영리함의 충고라면, 정언 명령은 그 자체로 윤리성의 법칙으로 법칙의 보편성과 이 법칙에 맞게 행위해야 한다는 준칙의 필연성만을 포함하고 있는 정언 명령의 순전한 개념이 자신의 정식을 우리에게 제공합니다.
학문 /
철학
23.06.23
0
0
다른나라들은 마차를 많이 이용했는데, 왜 유독 조선에서는 마차를 많이 이용하지 않았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가 되면서 마차는 점차 쇠퇴하고 대신 소가 끄는 달구지로 화물을 운송하거나 강과 바다를 통해 화물을 나르게 됩니다.이유는 말 부족으로, 고려 말기 왜구가 한반도를 초토화하면서 목장들도 큰 타격을 입으면서 말이 부족했고, 이를 타파하고자 조선은 여진족을 통해 말을 지속적으로 수입하면서 양마장을 전국 곳곳에 설치해 말을 늘리고자 하나 평야가 적고 산지가 많은데다 가축을 위협하는 호랑이, 늑대, 표범 등 맹수가 많은 한반도의 특성상 말을 늘리기 어려웠습니다.또 시대가 지날수록 인구가 늘어나게 되는데 말을 역축으로 제대로 부리려면 초원지대처럼 풀이 풍부한 곳이 아니면 건초에 곡물을 먹이는 것이 필수이나 성인 1명분의 곡물만 먹여도 되는 소와 달리 말은 성인 3명분의 곡물을 먹여야 제대로 부릴수 있었습니다.양란 이후 인구가 늘어나 목장을 둔전이나 농장으로 바꾸고 화전까지 성행한 조선 후기 말을 더 늘리기 힘들었고, 말 자체가 부족하니 당연히 마차를 쓰기 어려웠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3
0
0
젓가락의 기원이나 유래에 대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쌀을 주식으로 삼는 식문화권에 맞추어 만들어지고 사용해온 도구로 오래 된 도구라 어디서 어떻게 나타났는지에 대한 확실한 자료는 없습니다.초기 아시아 사회에서는 요리에 사용하는 연료가 대단히 귀했고, 그래서 사람들은 음식을 더 빨리 익히기 위해 음식 재료들을 잘게 잘라서 요리했는데 그 과정에서 연료로 사용하는 잔가지 1~2개를 이용하면서 이 작은 음식 조각을 쉽게 집어 먹을수있다는 사실을 발견, 이것이 약 5000년 전 중국에서 젓가락으로 알려진 식사 도구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가설입니다.두번째 가설로는 칼이 살생의 욕구를 불러일으킨다고 믿었던 한 열렬한 채식주의자가 있었는데, 그는 식탁에서 칼이 전혀 필요없도록 재료를 잘 다듬어 요리 후 음식을 내놓았고 이를 본 공자가 군자는 도살장과 부엌을 멀리해야 한다. 그러므로 식탁에도 칼이 올라와서는 안된다고 말했다는 것 입니다.
학문 /
역사
23.06.23
0
0
1054
1055
1056
1057
1058
1059
1060
1061
1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