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 역사상 마지막으로 기록된 내시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왕실의 마지막 내시는 이병직 입니다.1973년 사망한 실질적인 조선의 마지막 내시였던 송은 이병직은 1896년 강원도 홍천에서 태어났다고 하며, 그는 자신의 의지로 남성을 제거한 것은 아니고 어려서 사고를 당해 고자가 된 후 서울의 내시 집안에 양자가 되었고, 양자로 간 내시 가문은 재산이 많아 쌀 7000석꾼으로 불리던 부자였습니다.이병직은 내시였던 양부에게서 물려받은 재산을 바탕으로 경기도 양주에 땅을 사 더 큰부를 이루고 강원도 홍천에서 가난한 소작농으로 살 운명이었던 이병직은 내시가 되었지만 곧 내시제도가 폐지되게 되며 궁에서 나와 서예를 배웠으며 그 후 서화가로 활동하면서 고서화와 골동품을 모아 수장가로서 이름을 날리게 됩니다.그러나 그는 내시의 외모를 지녔기 때문에 스트레스와 자격지심을 가졌고, 이용우에 의해 많은 사람들 앞에서 놀림감이 되는데, 이용우는 이병직의 그림 옆에 일부러 괴상한 춘화를 그려 놓았는데, 고자인 이병직을 대놓고 놀릴 생각으로 한 행동입니다.이용우는 사람들 앞에서 이병직에게 이게 무엇인지 아느냐 놀리며 웃었고 수치심에 이병직은 화도 한마디 못내고, 도망쳤다고 합니다.그는 고자라고 심하게 놀림을 받았지만 대한민국 국보인 일연의 삼국유사와 이승휴의 제왕운기를 수집했고, 추사 김정희의 글과 난초 그림, 단원 김홍도와 겸재 정선의 산수화 등 을 수집했습니다.또한 교육에 관심이 많아 1937년 경기도 양주에 초등학교를 지은 후 무상으로 기증했고, 1939년 현 의정부중고등학교 전신인 양주중학교를 설립하면서 자시의 전 재산인 40만원을 기부합니다.
학문 /
역사
23.06.21
0
0
그리고리 라스푸틴이 믿었던 종교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리고리 라스푸틴의 종교는 러시아의 정교회 입니다.러시아 정교회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좌를 보유하는 기독교 교단으로 전 세계 정교회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자치 교회입니다.
학문 /
철학
23.06.21
0
0
노벨상은 누가 수상하는건가요? 노벨상 역사에 대해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노벨상은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한 알프레드 베르나르드 노벨이 기부한 유산 3100만 크로나를 기금으로 해 노벨재단이 설립 된 후 1901년부터 매년 인류의 복지에 공헌한 사람이나 단체에게 수여되는 상입니다.노벨은 스톡홀름에서 태어나 상트페테르부르크, 프랑스, 미국 등지에서 기초공학, 화학을 수학했고 이후 스웨덴에 돌아와 폭발성이 강한 위험 물질인 니트로 글리세린에 관한 수차례 실험 끝에 1867년 다이너마이트를 발명, 다이너마이트는 영국, 미국 등지에서 특허를 받았고 노벨에게 세계적인 명성을 가져다 주었으며 굴착공사, 수로 발파, 철도 및 도로 건설에도 사용되었고 노벨은 계속해서 다른 폭탄들을 개발해 전 세계에 판매해 막대한 재산을 모으게 되었습니다.노벨은 사망 1년 전 재산을 헌납한 후 5개 부문에 걸쳐 전년도 인류에 가장 큰 공헌을 한 사람들에게 매년 상을 수여하라는 유언장을 남겼고 유언장에는 900만불상당의 유산을 기금으로 하고 전 년도에 인류에게 가장 큰 혜택을 제공한 사람들에게 상금으로 매년 분배하도록 적혀있었으며 수상자 선정은 평화상을 노르웨이 노벨위원회가, 나머지 부분은 스웨덴의 3개 기관이 맡도록 지목했습니다.노벨수상자 대상은 생존해있는 사람이며, 수상자로 선정된 후 사망한 경우에도 수상 자격 유지, 수상자는 수상 후 6개월 이내 수상 업적에 대한 강연을 해야하며 강연 내용의 저작권은 노벨재단에 귀속됩니다.노벨상 수상자 발표는 매년 10월 이뤄지고 시상식은 노벨이 사망한 날인 12월 10일이며, 수상자에게는 900만 크로나의 상금과 금메달, 상장이 주어집니다.
학문 /
역사
23.06.21
0
0
역사적으로 시대별로 음모론이 지속적으로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음모론은 인간의 여러 본능, 심리와 관련되는데 특정 사건 또는 현상이 발생하면 인간은 본능적으로 의미나 원인을 찾으려 하며 단순히 찾는 것을 넘어 빨리 알길 원하고 빨리 판단하길 원합니다.복잡하고 불확실한 일들을 서둘러 종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사건, 현상의 규모가 클수록 이러한 습성이 잘 나타나며 음모론은 이런 본능과 심리를 교묘하게 파고 들어 그럴듯한 의견을 제시함으로 빨리 결론내리길 바라는 이들을 혹하게 만듭니다.
학문 /
역사
23.06.21
0
0
2030엑스포 개최하면 과연 이점만 있을까요? 왜 이렇게 목메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2030엑스포 개최시 기대효과로는 43조원의 생산유발효과, 18조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국가위상제고, 50만명 일자리 창출입니다.생산유발효과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최종 수요가 발생이 직, 간접적으로 전 산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으로 하나의 최종 수요를 맞추기 위해 여러 사업들이 연쇄적으로 생산활동에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부가가치 유발효과는 생산유발외에 대한민국에 대한 관심이나 이로 인한 경제적 효과 등을 부가기치 효과라고 합니다.또 엑스포 개최에 있어 건설, 부대시설 등 관련 일자리가 약 50만명 창출되어 긍정적인 측면을 기대합니다.
학문 /
역사
23.06.21
0
0
징기스칸의 묘의 행방은 알 수 없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여러 설이 있으나 확실한 증거는 없습니다.칭기즈 칸의 무덤을 옮기는 과정에서 마주친 살아있는 것을 몰살시켰고 칭기즈칸의 무덤은 묻은 후 파헤쳐지는 것을 막이 위해 기병대가 수없이 짓밟음으로 무덤을 평지로 만들어 아무도 찾을 수 없도록 만들었다고 하며 돌아온 기수들도 미리 준비해둔 자들에 의해 몰살되었다고 전해집니다.또 화려한 무덤이 아닌 유해를 그의 충복이 소박하게 평범한 몽골식 장례로 치워 , 소박한 무덤이 세월이 지나며 자연스럽게 사라지거나 잊혀졌다는 주장이 있으며, 칭기즈칸이 화장이나 풍장 등을 해 무덤 자체가 없었을 가능성도 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1
0
0
시일야방성대곡의 사설은 어떤 내용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시일야방성대곡은 이날, 목놓아 통곡하노라 라는 뜻으로 1905년 11월 20일자 황성신문 사설란에 실린 장지연의 논설입니다.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기 위해 11월 17일 대신들을 압박해 강제로 체결한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알리고, 조약 체결에 찬성하거나 이를 적극적으로 막지 못한 대신들을 비판하는 내용입니다.
학문 /
역사
23.06.21
0
0
옛날 결혼식때 연지곤지는 왜 찍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연지곤지를 찍는 이유는 혼례를 치르는 경사스러운 날 나쁜 잡귀들이 신부 주변에 꼬이지 못하도록 막기 위해서 입니다.이마에 동그랗게 치레하는 것을 곤지하고 하는데 이 역시 연지를 사용하며 연지화장의 최초 기록은 서기전 1150년 중국 은나라의 주왕때, 약 3000년의 역사를 가지고있으며, 우리나라 사람들이 언제부터 연지를 치레에 이용했는지 확실하지 않으나 신라의 여인들이 연지화장을 하였다고 합니다.5,6세기 경 축조되었을것이라 추정하는 수산리 소재의 고구려 벽화 인물상에도 볼과 입술이 발려져있는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에서도 1500~2000년 쯤부터 사용된 것이라 추정합니다.
학문 /
역사
23.06.21
0
0
우리나라의 최초 뉴스 앵커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한민국 최초 앵커는 봉두완 입니다.1969년 중앙일보 논설위원 겸 동양방송 논평위원으로서 안녕하십니까! 봉두완입니다의 앵커를 맡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1
0
0
우리나라 노비제도가 완전히 사라진건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86년 노비세습제를 폐지하면서 노비의 자녀들은 자동으로 양인이 되었고, 1894년 갑오개혁으로 신분제를 폐지하면서 노비제도 완전히 폐지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1
0
0
1072
1073
1074
1075
1076
1077
1078
1079
1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