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군함도에서는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제 강점기 많은 조선인들이 강제 징용되어 석탄을 캤던 곳입니다.태평양 전쟁 당시 많은 식민지 주민들과 전쟁 포로들이 군함도에 강제 징용되어 끌려왔고 그 중 조선인 징용 및 요시다 합숙소 노동자가 도합 500~600명정도였으며 자의로 온 조선인 노동자가 추가적으로 80명 정도있었으며, 파도가 들이피는 바닷가 집에 강제로 살게 했고 햇빛도 안들어오는 아파트 지하층에 살게 했으며, 군함도를 탈출하려다 총살당하는 경우가 대다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0
0
0
현재 정부에서 공들이고 있는 부산엑스포는 언제 유치가 확정됩니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2030엑스포는 올해 11월 경 개최지가 최종 확정된다고 알려져있습니다.엑스포를 우리나라 부산에서 시행하게 될 경우 지역경제 활성화 뿐만 아니라 다양한 광고 효과, 문화의 다양성, 관광의 활성화로 인한 경제 성장 등 다양한 면으로 이점을 얻게 됩니다.
학문 /
음악
23.06.20
0
0
수능에서 킬러 문항은 무엇을 말하는 것입니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초고난도 문항으로 정답률이 10% 안팎으로 최상위권과 상위권을 가르는 문제로 파악합니다.
학문 /
음악
23.06.20
0
0
딱지치기 유래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딱지치기의 정확한 유래는 알수 없으며 조선시대부터 있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으나 화투처럼 근대에 생긴 놀이일 가능성이 크며, 1926년 동이일보에 딱지치기 란 제목의 글이 있는 것으로 보아 1920년대 딱지치기가 이미 어린이 놀이로 일반화 되어있었음을 알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0
0
0
오지랖이 넓은 오라버니 때문에 집안이 조용할 날이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순 우리말로 웃옷이나 윗도리에 입는 겉옷의 앞자락을 뜻하며 , 이는 오지랖이 넓으면 그 안의 옷을 다 가리니 남들 앞에 나서서 간섭할 필요도 없는 일에 참견하며 따지는 모양새가 이와 닮아 나온 말입니다.의미를 살펴보면 부리다 보다는 넓다의 표현이 맞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0
0
0
유신정권에서 금지된 노래나 영화는 어떤 것이 있고, 그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침이슬은 태양은 묘지 위에 붉게 떠오르고 라는 가사가 붉은 태양이 북한의 지도자를 떠올리게 하기 때문에 금지기러기 아빠는 베트남 파병을 떠난 아버지를 떠올리게 한다는 이유로 금지 되었습니다.
학문 /
음악
23.06.20
0
0
우리나라 피아노는 언제 생긴 악기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 피아노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1907년 4월 황성신문에 새문밖 법인여관에서 피아니스트 신나피아헌트 양이 한국인과 함께 음악회를 가졌다는 내용의 기사가 실렸는데, 이것이 피아노와 관련된 최초의 기록으로 1907년 경 피아노가 들어왔을 것으로 추정합니다.우리나라에서 처음 피아노를 생산하기 시작한 것은 1956년, 지금의 영창악기 회장인 김재섭이 외국에서 부품을 들여와 피아노를 조립, 생산하면서 부터 입니다.
학문 /
음악
23.06.20
0
0
바보 온달과 평강공주에서 온달이 정말 바보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바보 온달의 바보의 의미는 지능적인 의미가 아닙니다.그는 집이 몹시 가난해 항상 밥을 빌어 어머니를 봉양했고, 떨어진 옷과 신발을 걸치고 길거리를 돌아다녀 그의 차림새를 보고 바보 온달이라 불렀습니다.
학문 /
철학
23.06.20
0
0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음원은 어떤게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82년 11월 발매한 마이클잭슨의 6집 Thriller로 판매량은 6,600만장 입니다.
학문 /
음악
23.06.20
0
0
대동여지도는 어떻게 만들어 진걸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정호가 우연히 고을의 지도를 얻게 되었는데 지도와 실제 지형을 비교해보니 많이 달라 실망하게 됩니다서울에 정확한 지도가 있다는 말을 듣고 서울로 올라가 규장각에 있는 조선 팔도 지도 한벌을 얻었지만 이 역시 차이가 커 결국 직접 지도를 만들기로 결심하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6.20
0
0
1072
1073
1074
1075
1076
1077
1078
1079
1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