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금궤요략이라고 하는것은 무슨 책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금궤요략은 3세기 초 장중경이 지었다고 전해지는데 주로 고대의 내과 잡병의 증후와 치료법을 기술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30
0
0
세책점이라고 하는 것은 뭘 하는 기관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책점은 소설을 필사해 책값의 10분의 1정도의 금액을 받고 책을 빌려주는 곳이었습니다.17세기 후반 도시를 중심으로 소설 읽기 문화가 형성되면서 소설책을 사고팔거나 빌려보는 시대가 열렸으며 이에 세책점이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30
0
0
효종이 급사하고 왕위에 오를 현종의 업적은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리민복을 추구하면서 민생과 국가경제를 중시하였고 수리산업을 발전, 대규모 개간사업을 했으며 황하의 식량 운반 방식을 개혁, 농업 생산의 총체적 발전을 도모했습니다.관료 제도를 정예화하고 정돈해 불필요한 관직을 폐지, 무능한 관리 수천명을 파면했습니다.
학문 /
철학
23.05.30
0
0
가지산파라는 종파는 어떤 단체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며 본산은 전남 장흥군 유치면에 있는 가지산 보림사 입니다.가지산파의 개산조 도의는 당나라로 건너가 지장의 법을 받고 821년 귀국합니다 . 신라에 돌아온 그는 당시의 사람들이 선법을 이해하지 못하므로 설악산으로 들어가 진전사에 은거하면서 제자를 가르쳐 염거에게 법을 전했으며 염거는 설악산의 억성사에 오래 머물렀으며 체징에게 법을 전했고 체징은 837년 당나라로 건너가 여러 곳을 다니며 많은 선사들을 만나보았으나 도의가 물려준 법 밖에 따로 더 구할것이 없음을 깨닫고 840년 귀국해 보림사를 세우고 형철 등 800여명의 제자를 배출해 가지산의 한 선파를 이루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30
0
0
민영환은 어떤 인물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본관은 여흥이며 1861년 민겸호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아들이 없었던 백부 여성부원군 민태호에게 입양되었으며 민태호는 음직임 참봉을 지내다 민씨가 왕비로 책봉되자 출세가도를 달렸던 인물이며 1877년 5세의 어린 순종을 가르치는 동몽교관에 임명되고 1878년 대과에 민씨 척족의 후광을 입고 장원급제하여 초고속 승진을 시작했으며 그 뒤 정자, 수찬 등을 거쳐 1881년 동부승지, 1882년 21세에 성균관대사성으로 승진했습니다. 그 해 세간의 평판이 좋지않던 생부 민겹호가 임오군란 때 살해되자 벼슬을 버리고 3년간 거상했으며 이런 이유로 후일 그는 동학농민군의 척결대상이 됩니다.이조참의에 임명되었으며 세 차례에 걸쳐 사직상소를 올리나 허락되지 않고 일단 관계로 돌아와 약관의 나이로 도승지, 홍문관부제학, 이조참판, 한성우윤 등을 지냈으며 조선 최초의 신식해군인 해방영을 설치, 1886년 고종의 밀명을 받고 러시아와 밀약을 추진하였으나 친청세력인 민영익의 반대로 무산되었으며 1887년 상리국총판, 친군전영사를 거쳐 예조판서가 되었습니다.1888년 , 1889년 두 차례에 걸쳐 병조판서를 역임, 1893년 형조판서, 한성부윤을 지냈고 1894년 내무부독판사 및 형조판서를 다시 역임했습니다.1895년 주미전권공사에 임명되나 을미사변이 일어나 명성황후가 시해되자 부임하지 못하고 사직, 이듬해 특명전권공사로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에 참석했는데 고종의 특명을 받아 청나라와 일본을 견제하기 위해 러시아와 밀약을 맺기 위한 목적이었으며 러시아 외무대신 로바노프를 만나 협상을 벌이지만 미미한 성과를 얻는데 그칩니다. 이때 민영환은 중국, 일본, 캐나다, 미국, 영국, 네덜란드, 독일 등지를 두루 거치면서 서구문명을 처음 접했으며 그는 당시의 경험을 해천추범이라는 기행문으로 남겼습니다.귀국 후 의정부찬정 , 군부대신을 지낸 후 1897년 또 다시 영국, 독일, 프랑스, 러시아,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등 6개국 특명전권공사로 겸직 발령을 받고 외유합니다.이때 영국 여왕 빅토리아의 즉위 60주년 축하식에 참석, 잦은 여행으로 새 문물에 일찍 눈 떠 개화사상을 실천하고자 유럽제도를 모방하여 정치제도를 개혁, 민권신장을 꾀할것을 상주하였고 군제의 개편만이 채택되어 원수부를 설치, 육군을 통할하게 했으며 1896년 독립협회를 적극적으로 후원, 시정의 개혁을 시도하다 민씨일파에게 미움을 사 파직되었고 후 다시 기용되어 참정대신 등을 지내고 훈 1등과 태극장을 받았습니다.친일적인 대신들과의 대립, 일본의 내정간섭을 성토하다 시종무관장의 한직으로 밀리고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조병세와 함께 백관을 인솔하여 대궐에 나아가 이를 반대하였으며 일본 헌병들의 강제 해산으로 실패, 다시 백목전도가에 모여 상소를 논의하던 중 이미 대세가 기울어짐을 보고 집에 돌아가 자결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30
0
0
전국 교직원 노동조합은 언제 만들어졌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86년 한국 YMCA 중등교육자협의회 산하 교사들이 교육민주화선언을 발표, 이 선언에 참여한 교사들이 1987년 민주교육추진전국교사협의회를 설립했으며 1989년 5월 28일 전교협을 모체로 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민족, 민주, 인간화 교육을 통한 참교육 실현과 교육민주화 실현 등을 내세우며 창립되었습니다.이승만 정부 시절 일어난 3.15부정선거에 대항하면서 교원 노조의 필요성이 처음 제기, 4.19혁명 직후 4월 29일 대구에서 60명의 교사가 모여 처음으로 중등교원노조를 세웠으며 같은 해 7월 서울에서 한국교원노동조합총연합회가 결성됩니다.이 단체는 전교조의 효시로 평가받으며 이후 한국교조는 평교사의 노동권 보장, 어용 단체인 대한교련의 해체를 주장하며 활동을 시작, 그러나 5.16군사정변이 터지면서 군사 정부에 의해 한국교조는 강제 해산되며 이후 제 3공화국은 교원과 공무원의 노동조합 결성을 금지합니다.1987년 만주화 운동이 확산되면서 초, 중, 고 평교사들이 모여 전국교사협의회를 결성, 전교협은 세워진지 1년만에 전국 평교사의 10%에 이르는 3만 명의 회원을 확보, 1989년 전교협을 모태로 전교조가 창립 대회를 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30
0
0
육군 상록수 부대가 만들어지게 된 배경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91년 대한민국은 유엔에 가입하고 평화유지군 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소말리아에 진행된 제 2차 유엔 소말리아 임무에 건설공병대대 252명을 파병했습니다. 1993년 7월 창설되어 소말리아에 도착한 상록수 부대는 소말리아 평화유지활동 사령부의 지시에 따라 도로를 보수하고 민사 활동에 착수, 1994년 3월 15일 철수했습니다.이 부대 명칭은 1999년 10월 파견된 동티모르 상록수부대에도 그대로 계승되어 흔히 상록수부대 하면 동티모르에 파견되어 4년간 활동한 부대를 지칭하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30
0
0
국가보안법은 언제 처음 시행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모델은 일제강점기 당시 치안유지법으로 치안유지법의 주요 조항, 조문을 그대로 사용했으며 애초에 치안유지법도 일본 내의 공산주의자 처벌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었고 당시 한국에는 일본에서 법을 배운 사람들이 대부분이어서 그대로 가져다 썼습니다.여수, 순천 10.19사건 이후 1948년 12월 국헌을 위배하여 정부를 참징하거나 그것에 부수하여 국가를 변란할 목적으로 결사 또는 집단을 구성한 자 에 대해 최고 무기징역의 형벌을 가하는 등 10개조로 구성된 법률도 제정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30
0
0
원 간섭기에 많이 언급되던 충렬왕의 가장 큰 업적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충렬왕의 가장 큰 업적은 부왕 원종이 세조 쿠빌라이 칸에게 받아낸 불개토풍의 약속과 고려의 존속을 구체적으로 확약받고 온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5.29
0
0
일제강점기에 1938년 국가총동원법이라는 것을 발표했던데 이게 정확히 어떤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38년 4월 일제가 인적, 물적 자원의 총동원을 위해 제정, 공포한 전시통제의 기본법입니다.전시 또는 준전시적 사변의 경우에만 적용되는 한시법이었으며 일체의 인적, 물적 자원에 대한 작위의 전체를 일황의 위임명령, 집행명령에 복속시킨 독재적인 법률입니다.
학문 /
역사
23.05.29
0
0
1135
1136
1137
1138
1139
1140
1141
1142
1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