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불교가 들어올때는 사찰이 사람과 가까이 있었다는데 산속으로 들어간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불교가 융성한 시기에 사찰이 도심과 산속 모두있어 도심 가까운 곳은 주로 왕과 귀족이 다니며 산속 사찰은 가끔 여행가듯 다녔는데 조선시대로 넘어오면서 불교를 억압하고 유교를 숭상하는 시대가 오며 숭유억불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도시의 절이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7
5.0
1명 평가
0
0
부활절날 교회에서 계란을 나눠주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독교에서 부활절은 예수님의 부활을 기리는 날로 생명과 재생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계란은 생명의 시작을 상징하는 것으로 이러한 의미에서 부활절에 계란이 주요 역할을 합니다.
학문 /
역사
23.05.27
0
0
숭유억불 정책은 언제 시행된 제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숭유억불은 유교를 건국이념이자 통치사상으로 숭상한 조선왕조에서 전대 왕조인 고려의 국교였던 불교를 억압한 정책으로 조선을 개국한 태조 이성계는 고려의 귀족 세력을 경계하고 제거하기 위해 그들이 추숭한 불교를 견제하기 시작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7
0
0
조선시대 원찰의 역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진영을 모신 건물 중심으로 할때 원당이라고 하고 대궐 안의 원당은 내불당 또는 내원당이라 합니다. 신라에는 불교 공인 전 소지왕 때 내불당이 있었으며 544년 완공된 대왕 흥륜사, 신궁을 지으려던 계획을 변경해 553년 완성한 황룡사, 635년 창건한 영묘사 등은 왕실 원찰이었습니다.또, 감은사는 문무왕의 명복을 , 봉덕사는 무열왕의 명복을 , 봉은사는 진지왕, 동화사는 민애왕, 보림사는 헌안왕의 명복을 비는 원찰이었고 송화방은 김유신, 장의사는 장춘랑 및 파랑, 자추사는 이차돈의 명복을 빌기 위해 건립되었고, 감산사는 김지성 일족의 명복을, 김ㄹ효양이 세운 무장사는 그 작은 아버지의 복을, 법광사는 김균정의 복을 비는 원찰이었습니다.신라시대 왕실의 사원관계 기구로 원당전이 있어 원찰에 관여했으며 중대 초기 성립, 내성에 속했다가 후 어룡성에 편입된 이 기구에는 대사 2인, 종사지 2인의 관원이 있었습니다.고려시대에도 왕실 및 귀족들에 의해 계속 원찰이 건립되었고 왕실에서 왕과 왕비의 진영을 모신 진전을 사원에 세웠는데 진전사원은 왕실의 원찰이었습니다.이들 진전사원에는 왕과 왕비의 진영을 봉안, 기일마다 불교식 재를 올려 명복을 빌었고 기일에 흔히 국왕이 행차하였으므로 시설을 화려하게 하고 중요시했습니다. 이 밖에 고려시대에 귀족들의 원찰이 있었는데 1245년 강화에 건립된 선원사, 벽란강변에 세워졌던 이지영의 원찰 보달원, 충렬왕 때 조인규가 과천에 세웠던 청계사, 고용봉이 전주에 중창했던 보광사가 있습니다.원찰의 건립은 조선시대까지 계승되었고 태조는 계비 강씨가 죽자 1405년 정릉에 장사지내고 그 옆에 흥천사를 세워 원찰로 삼았으며 이를 시작으로 왕이나 왕비의 능 근처 대부분 원찰이 건립되었습니다.1776년까지 원찰에서 생기는 폐단이 많아 원당을 일정 금할 것을 법전화하여 사실상 원찰의 건립은 금해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7
0
0
공식적으로 인정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은 몇살까지 살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네스북 공식 기록으로는 1875년 2월 21일 태어나 1997년 8월 4일 사망한 총 122년 164일을 살았던 프랑스 여성 잔 루이즈 칼망입니다.
학문 /
역사
23.05.27
0
0
남한산성은 언제부터 만들어진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축조되어 조선시대 수도 한양을 지키던 성곽입니다.북한산성과 더불어 서울을 남북으로 지키는 산성 중의 하나로 신라 문무왕 때 쌓은 주장성의 옛 터를 활용해 1624년 인조 2에 축성했습니다.남한산성은 군수 물자를 저장하는 특수 창고를 설치한 중요한 거점성이었고 조선시대에는 외성과 옹성을 갖춘 전형적인 산성이며 산성의 변화 과정과 기능을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됩니다.
학문 /
역사
23.05.27
0
0
옛날에 처가집이 멀수록 좋다고 한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처갓집이 멀수록 좋다는 말의 의미는 남정네가 처갓집 신세를 지지 않으려는 의미와 염려스러운 문제가 생겼을 때 처가에 까지 쉽게 알려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을 의미합니다.
학문 /
역사
23.05.27
0
0
야매는 어디서 나온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어원은 제대로된 허가를 받지 않은 암시장, 엄거래 정도의 의미가 있는 일본어 야미 인 것으로 추정하며 본 뜻은 어둠이지만 야미이샤라고 쓰면 무면허 의사가 됩니다. 일제강점기부터 미군정 시기까지 시행되었던 배급제와 물가통제로 암거래가 크게 성행했던 것을 계기로 퍼져 지금까지 쓰이게 된것으로 보입니다.
학문 /
미술
23.05.27
0
0
투생 루베르튀르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생도밍그 출생으로 노예의 아들이었으나 독학으로 높은 교양을 갖추고 1790년 이래 노예해방전쟁을 지도했으며 이 섬에서는 프랑스혁명 때 흑인노예의 반란이 일어나자 1793년 혁명정부는 노예해방령을 선포, 혁명정부를 지지한 그는 1795년 소장으로 임명되어 사령관으로서 영국, 프랑스군과 싸웠습니다.1799년 아이티가 내란상태에 빠지자 전도를 통해 혁명적 통일정부를 수립, 스스로 총독이 되어 1801년~1802년 섬을 지배했으나 1802년 나폴레옹이 보낸 진압군에 패해 프랑스로 이송, 프랑스령 포르드주에서 감금당한 채 사망했습니다.
학문 /
미술
23.05.27
0
0
무하바하? 마하바하? 실화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맨헌트 유나바머 말씀하시는거 같은데요이 작품은 실화를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5.27
0
0
1144
1145
1146
1147
1148
1149
1150
1151
1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