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강화도 조약의 계기가 된 윤요호 사건에 대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 군함 운요호가 1875년 9월 20일 조선 해안을 탐측하기 위해 왔다고 핑계를 대고 강화도 앞바다에 불법으로 침투해 해안 경비를 서던 조선 수군의 방어적 공격을 받자 이에 대한 보복으로 함포공격을 가하고 영종진에 상륙하여 조선수군을 공격하고 인적, 물질적 피해를 입히고 퇴각한 사건입니다.
학문 /
역사
23.05.26
0
0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우리나라 산에 말뚝을 박았다고 하던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제강점기 시기 토지조사사업에 사용된 삼각점일 확률이 있으며 여기에 당시 상당한 반일감정과 풍수지리가 실존하던 시기, 이를 보고 분개한 농민들에 의해 일제가 조선의 정기를 끊으려 한다고 구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5.26
0
0
강화도 조약이 불평등 조약임에도 체결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강화도 조약은 일본의 군사력을 동원한 강압에 의해 체결된 불평등 조약입니다.즉 나라 밖, 외부적 강압입니다.
학문 /
역사
23.05.26
0
0
독립운동을 펼쳤던 문학가들 중 이육사 시인의 가장 유명한 작품들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육사의 대표 시로는 황혼, 절정, 광야, 꽃, 교목, 강 건너간 노래, 자야곡, 청포도 가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6
0
0
미술용어에 쓰이는 매너리즘은 어떤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520년경부터 17세기 초 주로 회화를 중심으로 유럽 전체를 풍미한 미술 양식으로 매너리즘이라는 용어는 17세기 이후부터 미술에 관한 문헌에 쓰이기 시작했으며 역사적, 비평적 의미가 함축된 복합적인 의미로 문학 비평 및 신학에도 통용되었습니다.보통 미술사의 시대 구분에서 르네상스 미술, 바로크 미술로 이행하는 사이 이탈리아에서 나타난 과도기적 미술양식으로 성숙기 르네상스 고전주의의 쇠퇴를 뜻하거나 고전주의에 대한 반동을 일컬으며 성숙기 르네상스와 바로크를 이러주는 교량적 역할을 하는것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스타일, 양식을 의미하는 이탈리아어 마니에라에서 유래, 개성적인 양식이 아닌 모방이나 아류 등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합니다.
학문 /
문학
23.05.26
0
0
조선은 왜 일부다처제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은 일부일처제였고, 처첩제를 병행한 것입니다.첩제도는 첫 배우자인 본처와의 혼인관계는 그대로 지속하면서 비공식적으로 첩을 두고있는 관습입니다.
학문 /
역사
23.05.26
0
0
직업공무원제도라는게 구체적으로 어떤 제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직업공무원제도는 젊고 유능한 인재가 공직에 근무하는 동안 생애 보람을 느끼고 자기 직업을 천직으로 생각하고 자긍심을 갖고 일할수 있도록 공직관을 확고하게 심어주는 인사제도 입니다.현행 국가공무원법은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신분보장, 공무원의 권익보장등을 명시합니다.
학문 /
역사
23.05.26
0
0
우리나라 독립문제를 다룬 회담이 카이로회담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카이로 회담에서 일본에 대한 공동 대응이 결정되었고 식민지에 대한 포기를 결의, 이로써 우리나라의 독립에 관한 논의를 처음 국제적으로 합의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6
0
0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땅에 떨어진 왕실의 권위를 바로 세우기 위해 흥선대원군은 경복궁을 다시 짓기로 합니다. 조선의 중심 궁궐이던 경복궁은 임진왜란 때 불탔는데 다시 짓는 것이 큰 사업으로 어느 왕도 선뜻 나서지 못한 일이었습니다.대원군은 나라가 바로 서려면 왕실의 권위가 바로 서야하고 그러기 위해 경복궁이 다시 세워져야 한다고 생각해 경복궁을 다시 짓기로 합니다.그러나 경복궁을 다시 짓는데는 큰 돈이 필요해 대원군은 원납전이라는 기부금을 거두어 부족한 경비를 해결하려 합니다.이는 반강제적인 것으로 사람들의 불만이 높아졌고, 또한 경복궁 중건 경비 마련을 위해 당시 사용하던 화폐인 상평통보의 100배 가치를 지닌 당백전 발행으로 금융질서를 무너뜨리게 됩니다.또 백성들은 반 강제로 동원되어 일했고 건물의 기둥에 쓰일 큰 나무들을 양반들의 묘지 주변에서 강제로 베어 사용해 양반들까지 불만이 높았습니다.결국은 국가 재정악화와 백성들의 불만으로 대원군의 정치 생명이 단축되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5.26
0
0
1934년에 있었던 조선학운동은 어떤 내용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25년 일제는 조선총독부 직속으로 조선사편수회를 설치해 관의 주도 아래 조선 연구를 집대성하고 그 성과를 확산하고자했고, 1932년 간행되기 시작한 조선사는 정체성론, 타율성론으로 상징되는 식민사관에 기초해 왜곡된 하국의 역사상을 담아내고 있었습니다. 또 일제 식민사학자들은 청구학회를 조직해 식민주의적 조선 연구를 더욱 심화, 그 논의를 확산해 나갔는데 이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연구를 통해 자신들의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고 한국인의 독립의지를 꺾으려는 의도였습니다.조선학운동은 이러한 일제의 연구를 비판하고 극복하려는 운동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 고유의 역사와 문화 전통을 부정하고 서양의 근대 사상과 문화를 무비판적으로 추종하는 태도에 대한 비판도 담고 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6
0
0
1153
1154
1155
1156
1157
1158
1159
1160
1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