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슈베르트의 가곡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슈베르트 가곡의 특징은 시와 음악의 예술적인 조화와 반주에 시 전체의 기분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선율의 다양성과 아름다움을 표현했습니다.
학문 /
음악
23.05.16
0
0
우리나라의 토속신앙에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토속신앙은 도깨비, 저승사자, 삼신( 아이를 점지해주는 신), 칠성 (나비로 날아오는 신)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16
0
0
조선시대에 나오는 ‘이’,‘기’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는 모든 사물의 존재와 생성과 관련된 법칙, 원리 또는 이치라는 뜻을 나타내므로 모든 사물은 이러한 원리 또는 이치에 의해 지배받는다는 것입니다.기는 모든 구체적 사물의 존재와 생성과 관련된 질료, 형질이라는 뜻으로 모든 사물을 이루는데 있어 필요한 현상적 요소 입니다.
학문 /
철학
23.05.16
0
0
대학을 상아탑이라고 표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상아탑은 세속적인 생활에 관심을 갖지 않고 정적, 고고한 예술지상주의 입장을 취한 19세기의 프랑스 시인 A.드 비니를 평론가 생트뵈브가 평할 때 사용한 말에서 비롯되었습니다.속세를 떠나 조용히 예술을 사랑하는 태도나 현실도피적인 학구 태도를 이르는 말 입니다.
학문 /
문학
23.05.16
0
0
조선시대 서원의 보급으로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최초 서원은 조선 중종 때인 1542년 풍기 군수 주세붕이 세워 이곳에서 유학자 가운데 안향을 모시고 제사를 지냈으며 백운동 서원이라 불렀습니다. 이후 지방에 내려간 사림들이 곳곳에 서원을 세운 뒤 옛 성인들을 기리면서 성리학을 보급해 유학자를 길러냈습니다. 훈구파에 맞서다 사회를 겪으며 몰락했던 사림파가 재기할수있었던 것은 서원을 통해 지방을 장악, 후계자를 양성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5.16
0
0
유명해져라, 그러면 똥을 싸도 박수를 쳐줄 것이다라는 말을 앤디 워홀이 한게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 말은 한국에서는 작가 앤디워홀이 한 말로 알려져있지만 출처를 아직 모른다고 하는 것이 정확한 표현이 되겠습니다.
학문 /
역사
23.05.16
0
0
과거 조선시대 이전에는 충치관리를 어떤식으로 했을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충치가 심하면 이를 뽑았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뚜렷한 치료법은 없었으나 삼국시대는 충치가 치아, 이를 넘어 안구를 침범한 사례가 있고 고려 이후부터 이러한 사례가 없는 것을 보아 치료법이 있었을 것으로 짐작됩니다.
학문 /
역사
23.05.16
0
0
세계에서 가장 먼저 화약을 발명한 나라는 어디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화약은 중국의 연단술사들이 단약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명되었습니다.8세기부터 군사무기로 사용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14세기 최무선이 화약을 최초로 개발했으며 13세기 서방으로도 전래되어 15세기 프랑스를 중심으로 화포의 성능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후 유럽에서 화약무기가 널리 사용되면서 전쟁의 성격이 공격 중심으로 전환되며 공성용 무기의 상징인 화포는 봉건제의 몰락을 촉진하는데 기여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16
0
0
엘 에스코리알은 무슨뜻인지?.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엘에스코리알은 스페인 마드리드 교외에서 북서쪽으로 45km떨어진 산 로렌소 엘 데스코리알에 위치한 광대한 규모의 복합건물군으로 정식 명칭은 산 로렌소 데 엘 에스코리알 왕실 수도원 입니다.
학문 /
역사
23.05.16
0
0
대조영은 정말 우리민족 사람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조영이 어디 출신인지, 어떤 가문 출신인지는 파악되지 않고 있습니다.흔히 걸걸중상과 부자지간으로 알려져있지만 이것이 사실인지 알수 없고 사서에 대중상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된 것은 2020년대까지 전혀 없어 대조영의 아버지 시절에 따라 대씨라는 성씨를 썼는지도 불분명합니다.대조영이 고구려계인가 혹 말갈계인가에 대해서도 알수 없습니다.
학문 /
역사
23.05.16
0
0
1225
1226
1227
1228
1229
1230
1231
1232
1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