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과거에 호랑이 사냥은 어떻게 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호랑이를 잡는 방법은 화살, 창, 함정, 우리, 그물, 노도, 쇠뇌 등이있었으며 임진왜란 후 조총이 추가되며 호랑이 사냥의 대표적인 사냥법이 되었습니다.화살과 창은 고대로부터 호랑이를 잡던 방법으로 총포가 출현하기 전까지 대표적인 호랑이 사냥방법으로 최소 3발 이상, 활을 쏘거나 창으로 찔러야 잡을수 있었습니다.함기는 호랑이를 덮어 잡는 나무 우리로, 구덩이를 파고 그 위에 통나무를 뗏목처럼 엮어놓거나 두터운 덮개를 만들며, 덮개는 비스듬히 세워 활대로 버텨놓았습니다.함기는 호랑이가 잘 다니는 길목에 설치하고 우리 안에 개를 매어 두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국보 지정은 어떤 기준으로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보로 지정되려면 우선 만들어진지 오래되고, 그 시대의 표준이 될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제작 기술이 우수하며 흔하지 않은것, 이름난 사람이 만들었꺼나 유서가 깊은 것, 역사를 알아보는데 필요한 것으로 기준을 삼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영국은 왜 신사의 나라라고 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사는 영어로 젠틀맨인데 이것이 중세시대 귀족계층인 젠트리에서 파생된 것이며 젠트리 계층의 사람들이 주로 입는 옷이 영국에서 유행하며 신사의 나라 라고 불렸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최초의 올림픽은 어디서 시작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올림픽은 기원전 8세~5세기에 올림피아에서 열린 경기에서 19세기 말 피에르 드 쿠베르탱이 올림픽이라는 개념을 성립했습니다.최초의 올림픽은 1896년 아테네에서 개최된 1회 올림픽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조선시대에 왜 데릴사위가 있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시대의 흐름에 따라 생산력이 증가하는 반면 노동력의 중요성은 그와 반비례해 낮아졌기 때문입니다.생산량이 낮던 시대에는 경제활동에 노동력이 매우 중요했기 때문에 과년한 딸과 그 딸이 낳을 자식들의 노동력을 사위 집안에서 가져가는 것은 치명적이었으므로 남성이 결혼 후 한동안 처가에 살면서 노동을 하여 딸이 시가로 가면 여성의 집안에서 잃게 될 노동력을 미리 보상한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우리나라에 당구가 들어온 역사적 배경이 어떻게 되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당구는 한국에는 구한말 개회기때인 1884년 일본으로부터 당구대를 수입해 제물포의 외국인 접객업소에 설치하면서 처음 들어왔습니다.조선에서 최초로 당구를 친 것으로 보이는 사람들 중 윤치호가 있는데, 청나라 상하이에서 유학중이던 1885년 그는 타구집에 가서 공치기를 했다는 기록을 자신의 일기에 남겼으며, 국사편찬위원회에서는 타구를 당구로 봅니다.최초로 당구를 친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이자 한국사의 마지막 군주인 순종은 망국 이후 이 당구를 상당히 즐겨 창덕궁에 일본에서 주문해서 만든 옥돌로 만든 포켓당구대 2개를 두고 하루에 2시간씩 당구를 쳤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페미니즘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페미니즘은 남정중심주의적 사고에서 탈피하여 여성의 권익신장을 논하는 사회적운동입니다.페미니즘이라는 용어는 1837년 프랑스의 유토피아 사회 철학자 샤를 푸리에가 만들어냈다고 알려져있으며, 1872년 프랑스와 네덜란드에서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이상문학상이 왜 권위있는 상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상문학사은 소설가 이상의 작가정신을 계승하고 한국 소설계의 발전을 위해 197년 문학사상사가 제정한 문학상입니다.매년 가장 탁월한 작품을 발표한 작가들을 표창함으로 한국 문학 발전에 기여할 것을 목적으로 하기때문에 가장 권위있는 문학상으로 부릅니다.
학문 /
문학
23.01.28
0
0
부르주아가 무슨뜻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르주아는 사회, 정치, 경제적 입지를 가진 상류사회를 구성하는 인간을 지칭하는 단어 입니다.부르주아 라는 말은 중세 성기인 11세기부터 등장했으며 옛 프랑크어인 부르그는 군읍 및 성읍을 뜻하는데 11세기부터는 농업 및 상업적 성장에 힘입은 군읍들이 자체적으로 성벽을 쌓거나, 성 주변에 이곳을 피난처로 삼는 사람들이 정착하며 마을이 자연형성되어 영주가 이를 보호하고 세금을 걷고자 새로 성벽을 쌓으며 중세도시가 발생하고 이곳에 거주하는 사람, 특히 상공인 계층을 프랑스어로 bourgeoisie라 불렀습니다.이때 bourgeoisie는 시민이 아니라 도시인, 성민 으로 부르는데 근대적 개념으로 시민의 기원은 중세도시가 발전한 이래 근대까지 이곳에 사는 사람들, 자연인구증가, 해방농노의 후손, 타지에서 이주해 온 사람, 도시 근교에서 사는 사람들을 포괄합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르네 상스 시대의 미술 화가에는 누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로는 안드레아 타피, 가도 가디, 치마무에, 마르가리토, 두치코, 지오토, 피에트르, 타데오 가디, 자코보 카센티노, 지오티노,바르나 다 시에나, 아그놀로 가디, 스피넬로 알레티노, 로렌쵸 비치, 게라르도 스다르니나, 타데오 바르토로 , 안토니오 베네치아노 등이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01.28
0
0
1864
1865
1866
1867
1868
1869
1870
1871
18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