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뮤지컬 배우들은 왜 화장을 엄청 짙게 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뮤지컬 배우들은 드라마, 영화 배우보다 화장이 짙은데, 이유는 뮤지컬은 TV나 스크린 등 대중매체를 통한 중계가 아니라 공연이 열리는 장소에서 직접 연기해야 하므로 무대에서 멀리 떨어진 관객에게도 배우의 모습이 잘 보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음악
23.01.26
0
0
문신(타투)는 언제부터 새기기 시작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대 사회의 문신은 일종의 증표였습니다.문신이 증표로 통하게 된것은 주술적인 뜻을 가졌기 때문이며 원시문명에서는 이 주술적인 의미를 연장시켜 성인식을 통과한 이에게 문신을 새겨 부족의 구성원이라는 의미를 부여했고, 마오리족처럼 신분을 상징하기도했습니다.인류의 역사상 가장 오래된 문신의 증거는 기원전 3300년경 사망한 청동기 시대 인간 남성의 미라인 외치이며 고고학자들이 조사한 결과로는 관절염을 앓고있던 무릎 부위를 포함해 몸 전체에 많은 문신이 있었다고 합니다.
학문 /
미술
23.01.26
0
0
멍석을 말아 때리는 이유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멍석으로 돌돌 말려있어 사람을 팬다는 느낌이 나지 않으며, 맞는 사람은 때리는 사람을 보지 못하므로 형벌의 강도가 심해져 장애를 입거나, 사망도 했습니다.멍석으로 말려있으면 몸을 웅크리거나 충격을 흡수하기 못하며, 시야가 가려져 공포심이 배가 되는 효과, 누가때리는지 몰라 후 보복 예방, 때리는 사람의 죄의식이 없도록 하는 이유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6
0
0
잘못 들은 것이 아닌가 하고 귀를 기울이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잘못 들은 것이 아닌가 하고 귀를 '기울이다' 의 순 우리말은 '귀재다' 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6
0
0
여러 갈래로 길이 통한 곳은?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여러 갈래로 길이 통한 곳을 순우리말로 하면 난달 입니다난달에 해당하는 한자말로는 사통팔달 이 있으며 여러길이 교차한다는 뜻입니다.
학문 /
미술
23.01.26
0
0
피사의 사탑이 기울어진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울어져 비스듬하게 서있는 것으로 유명한 탑으로, 1173년에 공사를 시작했는데 기울어져 난리가 납니다.이 기울어진 원인은 원래 피사지방이 고대에는 저습지였다가 관개로 개발된 지역이라 지반이 매우 부드러웠던 데다가 높은 탑을 쌓았음에도 불구하고 아래로는 고작 3m밖에 파지 않아 하중을 견디지 못했기 때문입니다.전쟁 등으로 공사가 지연되면서 지반이 조금 더 다져지는 효과를 얻게되었고 탑의 형태가 휘어있는것도 공사 중 기울어져 이를 보완하기 위함으로, 위층은 그 기울어진 각도를 반영하여 수직으로 탑을 쌓고 또 기울어지니 그 위층도 다시 한번 수직의 탑을 세운것입니다.
학문 /
미술
23.01.26
0
0
책을보다가 민며느리에 대해나오던데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데릴사위와 반대의 의미로 집안끼리 아이들의 결혼을 약속하고 10세 가량이 되었을때 여자가 결혼할 남자의 집으로 가 살다가 혼기가 차면 일단 집에 돌려보낸 뒤 다시 결혼하는 제도입니다.민며느리는 지금까지 '민머리'의 '민-'과 '며느리'가 결합된 단어로 봅니다.
학문 /
역사
23.01.26
0
0
세계 최초의 병원이 어디였는지 그것이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 최초의 병원은 인도에 위치했습니다.기록에 남아있는 사상 최초의 병원은 B.C.5백년 경 인도에 세워졌으며 오늘날의 스리랑카 지역입니다.규모는 지금의 의원수준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6
0
0
도깨비가 메밀묵을 좋아한다는 설은 어디서 유래가 되었는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도깨비는 위장이 없어 소화가 잘되는 메밀묵을 좋아한다고 합니다.조선시대 많은 백성들이 현실의 궁핍함에서 벗어나고픈 바람으로 도깨비를 믿었다고 합니다.그래서 사람들은 도깨비에게 풍어를 기원하며 메밀묵을 바다에 뿌리거나 밤에 들판이나 강둑 근처에서 보이는 도깨비불의 움직임을 보고 다음 해 농사에 비가 얼마나 많이 올지 점을 치기도 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26
0
0
태자와 세자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황제의 적장자이자 후계자를 태자, 군왕의 적정자이자 후계자를 세자라고 합니다.
학문 /
철학
23.01.26
0
0
1882
1883
1884
1885
1886
1887
1888
1889
1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