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가수들 고음을 부르면 성대가 손상되지않나.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무래도 고음을 계속 사용하다보면 성대에 무리가 생깁니다.쉽게 생각하면 주변에서도 말을 함으로 일을 하는 사람들을 보면 주로 성대에 문제가 생기는 사람들이 많습니다.대표적인 것이 성대결절 입니다.
학문 /
음악
23.01.24
0
0
병자호란의 결과로 조선이 받은 피해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병자호란은 1636년 12월 ~ 1637년 1월까지로 한반도 북부지역일대에서 일어나 조선의 패배로 끝났습니다.이에 전사1만명, 민간인 21만명, 포로 60만명으로 피해를 입었고, 청나라는 피해가 없었다고 알려져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4
0
0
조선시대에 양반 및 백성들을 위해 운영되었던 교육기관들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교육기관으로는 서당, 향교, 성균관, 서원 등이있었습니다.서당은 지금의 초등학교 수준의 사교육 기관, 향교는 지금의 중고등학교 수준 공립 교육기관, 성균관은 지금의 공립대학 수준, 서원은 사립대학 수준으로 보면 됩니다.
학문 /
역사
23.01.24
0
0
고종황제가 구입했다는 군함은 어떤 군함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종이 들려온 군함은 양무호 입니다.한국 최초로 도입한 근대식 증기선으로 대한제국 말기 1903년 들여왔습니다.대한제국의 해군 양성을 위해 고종이 들여온 선박으로 길이는 105미터, 무게는 3,432톤으로 당시 세계적 추세로는 작지 않은 크기의 선박이었습니다.그러나 그 크기에 비해 무장은 대포 4문과 총2정으로 빈약한데, 처음부터 군함으로 만들어진 배가 아니라 화물선으로 만든것이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4
0
0
이황과 이이의 주요 저서들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이 와 이황의 저서입니다.이이: 동문호답, 인심도심설, 성학집요이황: 전습록변, 예안향약 (중국의 여씨향약을 본떠 만든 향약)
학문 /
철학
23.01.24
0
0
영조의 탕평정치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조의 개혁정책으로는 탕평책, 개혁정책으로탕평책은 이조 전랑의 권한 축소, 탕평비 건립, 붕당에 관계없이 탕평파 육성, 붕당의 기반이었던 서원 정리개혁정책으로는 균역법 실시 (백성의 군역부담을 줄임) 지나친 악형 금지, 신문고 제도 부활
학문 /
역사
23.01.24
0
0
가을을 왜 '독서의 계절' 이라고 표현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환경적으로는 선선한 바람이 불어 독서하기 좋은 조건이기 때문입니다.또, 수확의 계절인 가을은 그동안 키웠던 곡식들을 수확해 비축하는데, 이렇듯 책을 통해 지식들을 머리에 쌓아두라는 의미로 가을이 독서의 계절로 불리는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4
0
0
영국식 영어와 미국식 영어가 다른 이유가 무었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가 영국 영어라고 알고있는 것은 18세기 당시 영국의 법원, 정부, 문학, 교육 등에 쓰이던 고급 영어입니다.18세기 프랑스는 국제 공통어 수준으로 프랑스는 전세계 하이클래스, 상류층의 전형으로 여겼는데, 이 상황에서 영국은 프랑스어를 영국에 적용하고 싶어하였으며 영국의 상류층을 노동자 계급인 하류층과 구분짓고 싶어합니다.이런 이유로 accessorize 라는 단어와는 달리 영국에서는 accessorise라 씁니다.영국 영어는 그 시대에 하이클래스처럼 보이고 싶어하는 욕구를 반영한 것으로 봅니다.미국영어는 영국에서 넘어온 많은 이주민들이 사용하던 언어로, 미국 영어는 현재의 영국 영어보다 더 오래되고, 전통있는 영어입니다.미국 독립혁명으로 미국은, 영국에서 벗어나 새로운 국가를 형성하려 했고, 1783년 새로운 국가로 태어나게 된 미국은 영국과는 다른 미국만의 정체성을 갖고 싶어했기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4
0
0
신라 화랑도에 마복자라는 관습이 실제로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마복자는 신라의 독특한 대부 풍습입니다. 이는 필사본 화랑세기에 기록되어있으며 하위계급에 해당하는 임신한 여성이 상위계급에의 남성과 관계 후 자식을 낳으면 그 자신을 배를 쓰다듬어 낳은 자식이라는 의미의 마복자라 불렀으며 이 풍습은 신라시대 왕족과 화랑 사이에서 행해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4
0
0
우리나라 문화중에 족보도 중국에서 들어왔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족보의 시초는 중국으로 제왕연표라는 황족의 형통계보 책에서 비롯되었습니다.개인이 족보를 가지게 된것은 한나라때 현량과 제도를 통한 인재 선발에서 응시생의 가족 내력을 확인하는데서 시작되었습니다.한반도에 족보가 처음으로 건너온것은 1562년의 문화유보라고 하나, 전하지는 않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4
0
0
1891
1892
1893
1894
1895
1896
1897
1898
18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