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최근 CES박람회 관련 기사를 보다가...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 최대 규모의 산업박람회는 하노버산업 박람회 입니다.1947년부터 시작된 하노버메세는 75개국 6500여개의 많은 기업들이 참가하며 매년 20만명 이상이 참관하는 산업 기술 관련 세계최대 전시회입니다.
학문 /
역사
23.01.06
0
0
힐링 할 수 있는 영화 추천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힐링에 도움이 되는 영화로는 리틀포레스트, 비긴어게인, 라라랜드, 어바웃타임, 싱스트리트, 언터쳐블1%의우정,지금만나러갑니다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01.06
0
0
중국에서 동북공정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북공정은 현 중화인민공화국 내지 청나라 영토에 흥했던 중국 동북방, 만주의 나라들이 처음부터 중국에 속해있었다고 주장하는 정부 주도의 수정주의 역사 왜곡 시도입니다.동북공정은 2007년 공식적으로 끝났지만 대한민국에서는 해당 프로젝트 뿐만 아니라 근현대 중화민국 시절부터 2020년대까지 현재진행되고있으며 동북방의 모든 역사를 중국의 역사로 규정하려는 역사왜곡 시도를 전반적으로 일컫는 것입니다.이유는 다민족국가인 중국이 하나의 중국 지향 하에서 단일민족 이념을 도입하여 중국인=중화민족으로 만들고자 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일환으로 시작된것이 동북공정입니다.중국인 이란 현재 중국내에 살고있는 모든 사람이며 이는 다민족 국가인 중국이 중국내 모든 민족을 통합하겠다는 내부 집안단속의 정치적 의도에서 시작되었으며, 정치적 의도가 있기때문에 순수하게 속지주의적으로 중국사를 기술한다는 접근을 하지 않고 하나의 중화민족이라는 관념 형성에 유리해 보이는 속인주의적 시작, 중화적 시작, 수정주의적 시각 등을 쓰는것입니다.즉, 하나의 중국을 위해 소위 중화민족으로 대표되는 소수민족 분쟁 단초 제거입니다.
학문 /
역사
23.01.06
0
0
바퀴를 사용하기 시작은 시대는 어느시대입니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고학적 증거들에 따르면 바퀴가 처음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4000년 경으로 탈것에 부착된 것이 아니라 도공들이 토기를 만들때 사용하는 물레에 사용되었으며 바퀴달린 탈것을 사용했다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3500년경 메소포타미아였습니다.유사한 시기에 인도와 중국에서도 바퀴를 사용한것으로 보이며 중국에서는 황제 헌원씨가 만들었다는 설이 있습니다.이는 이름이 '軒轅'에 부수로 수레 거 가 들어간 것이 그 때문이라는 말이 있으며, 바퀴는 빠른 속도로 북서유럽으로 전파되었습니다.처음 바퀴 달린 탈것은 의식이나 행사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곧 전쟁에 이용되었습니다.바퀴 달린 탈것이 물건을 나르는데 이용되기 시작한 것은 그로부터 약 1000년이 지난 이후부터입니다.
학문 /
역사
23.01.06
0
0
당나라가 멸망하게 된 과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당나라의 현종은 44년 동안 통치하였으며 초기에는 세금 수입을 늘리고, 국제무역을 활발히하여 나라의 재정을 튼튼하게 하는 주역이었으며 대평성대를 이룬 이 시기를 현종의 연호를 따 개원의 치 라고 부릅니다.그러나 741년 쯤 현종은 양귀비에 빠져 나라를 돌보지 않고 재상 이임보에게 국정을 맡깁니다.재상이 된 이임보는 독재정치를 펼치며 당나라를 지탱했던 세금제도인 균전제가 흔들리기 시작합니다.균전제는 나라에서 준 땅을 70세가 넘거나 죽으면 다시 국가에 반납하도록 하였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제대로 회수되지 않았습니다. 이에 국가가 나누어줄 땅이 없어 백성들은 땅을 받지 못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세금을 내야했으니, 세금을 피하기 위해 살던 곳을 떠나버리는 농민이 증가, 농민수가 줄어들며 균전제가 흔들립니다.또 농민의 감소는 농한기에 군복무를 할 병사의 감소를 의미하니 균전제의 붕괴가 부병제까지 흔들리며 당나라 군사력이 약화된것입니다.그래서 당나라는 약해진 군사력을 보충하기 위해 절도사라는 관직을 만들고 모병제를 실시하는데 절도사는 나라 변경을 다스리는 군 사령관으로 변방의 농민을 직접 다스리며 세금을 거두고, 그 돈으로 군사들을 모집했습니다.절도사 중 현종의 신뢰를 받은 안녹산은 세 곳에서 절도사를 겸했는데 이는 당나라 군대의 40%를 차지했습니다. 이러한 안녹산이 반란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유는 재상이 된 양국충이 안녹산을 몰아내기 위해 혀종에게 모함을 했고, 이에 격분한 안녹산이 타락한 간신을 토벌한다는 명분으로 반란을 일으킵니다.이에 현종은 급히 수도 장안을 떠나 남쪽의 쓰촨성으로 피난을 가고 안녹산을 몰아내기 위해 절도산을 임명후 병사를 모으고 반란이 시작된 후 8년 만에 수도 장안을 다시 되찾았습니다.그러나 그 간 나라는 황폐해졌으며 반란 진압을 위해 늘어난 절도사들이 각 지방을 독립적으로 다스리게되면서 나라는 분산된 격이 됩니다.혼란한 정국에서 왕은 환관에게 의지하였고 세력이 커진 환관들이 마음대로 황제를 바꾸며, 균전제가 붕괴되어 더이상 세금을 거둘수 없게되자, 당나라 조정은 세금확보를 우선으로 하여 양세법을 실시합니다.또한 소름 전매제를 실시하여 소금 가격이 30배 이상 오르니 백성들이 통탄합니다. 그러자 농민에게 소금을 싸게 공급하는 밀매업자가 생겨나고 번진에서 일하던 병사들이 봉급을 제대로 받지 못하여 반란을 일으키게 되는데 농민들과 소금 밀매업자까지 반란에 동참합니다.그중 황소 라는 소금 밀매업자가 일으킨 반란이 가장 컸는데 황소는 나라에 불만인 백성들을 모아 당나라 전역에서 약탈을 합니다.당시 황제였던 희종은 쓰촨성으로 피하고 황소는 왕이 비운 수도 장안을 차지, 스스로 황제의 자리에 올랐으며 쓰촨성으로 몸을 피한 황제는 각 지방에서 병사들을 징발해 황소군에 반격, 다시 3년만에 장안을 찾습니다.이때 관군을 도와 황소의 난을 진압하는데 공은 세운 주온은 황제로부터 주전충이라는 이름을 하사받고 여러 지역의 절도사를 겸하였으나 주전충은 반란 진압 후 23년만에 황제를 몰아내고 후량을 건국하였습니다.원래 주온은 황소의 심복으로 황소의 난에서 황소는 주온을 출병시켜 관군을 격퇴하려했으나 주온이 당나라에 투항하였으며 주온은 당나라편이 되어 황소군과 싸웠습니다.황소군을 진압하느데 공을 세운 주온이 황제의 신임을 얻고, 이후 당나라까지 멸망시킨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1.06
0
0
옛날 우리나라 암행어사는 어떻게 착출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암행어사는 비밀에 부쳐 은밀하게 시찰하는 일을 하기때문에 아무나 뽑히는것이 아니고, 대개 당하관에 젊은 시종신들 중 대체로 왕이 평소에 눈여겨 보고있던 충직한 신하들이 암행어사로 발탁되었습니다.암행어사는 민심을 시찰하기 위해 민간인으로 위장하여 여러 지방을 순행하면서 부패하거나 백성들에게 횡포를 부리는 고을 수령이나 탐관오리들을 잡아내는 임무를 맡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6
0
0
안동도호부라는건 왜 옮겨갔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안동도호부는 당나라 6도호부 중 하나로 당은 668년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고구려를 효과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고구려의 영토를 9도독부, 42주, 100현으로 나누고 옛 고구려의 수도인 평양성에는 안동도호부를 설치합니다.그러나 신라가 이에 반발하며 나당전쟁이 발생하여 분노한 신리와 고구려 유민들이 연합하여 당나라군의 침략을 저지하였으며 이후 안동도호부는 신라에서 가까운 평양을 떠나 요동으로 치소를 옮기고 758년 안록산의 난으로 폐지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6
0
0
우리나라 한복의 기원은 어디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복은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며 처음 한복의 흔적을 발견한 것은 고구려 시대 왕과 귀족들의 무덤 속 벽화이며, 고구려는 중국 당나라 시대의 의상과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그 후 우리나라 왕과 몽골 공주와의 혼사로 중국 용안시대의 옷이 한국에 들어왔으며 이것이 한복의 시초입니다.그러나, 단군, 부여시대에도 우리 민족은 흰 옷 입기를 좋아하였고, 소매가 크고 넓은 흰색의포를 착용하고 가죽신과 바지를 입었다는 기록이 있어 한복의 유래를 삼국시대 이전으로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6
0
0
1925년 백두산에 어떤 일이 있었나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백두산은 1925년 마지막으로 분화하였으며 이때 산에서 용암과 화산재가 분출되었고 분화구 바닥에 작은 용암 돔이 형성되었습니다.산 근처에 사는 사람들이 분화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지만 정확한 특성과 범위는 기록되어있지 않으며, 산 근처에 사는 사람들은 호흡기 문제를 일으키고 농작물과 기반 시설을 손상시키고 교통을 방해 할 수 있는 화산재를 경험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6
0
0
군대 거수경례의 유래를 알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거수경례의 유래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거수경례는 무기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행동으로 옛 사람들은 칼을 차고 다니는 경우가 많아 상대에게 나쁜 감정이 없다는 표시로 손을 들어 보여주었다는 설중세 유럽에서 기사들이 머리에 쓴 투구의 바이저를 올리던 행동이었으며 중세의 기사들은 결투전 자신의 가문을 소개한 후 시작하였는데, 이때 얼굴을 보여주기 위해 바이저를 올리는 동작이 군대 거수경례의 유래라는 설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6
0
0
1954
1955
1956
1957
1958
1959
1960
1961
1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