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와 같이 유교의 영향을 많이 받은 나라는 어떤 나라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 유교의 영향을 받은 국가로는 조선, 베트남, 일본, 류큐 왕국 이 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2
0
0
유교가 처음 들어온 한반도 국가는 어떤 국가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은 삼국시대부터 유학의 기본 개념이 수용되었으나 관학이나 외교문서, 고대 문헌의 해석 수단 정도였을 뿐 백성들 사이에서는 불교, 도교 만큼의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2
0
0
영국과 140주년이라고 하는데 어떤것 기준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83년 조선과 조영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하여 미국에 이어 조선과 외교를 수립한 2번째 서양국가가 되며 주 조선 영국 영사관이 설치된 시점을 말합니다.
학문 /
역사
23.11.22
0
0
미국 국무부가 우리나라로 치면 어떤 부처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 국무부는 미국에서 외교 업무를 담당하는 국가행정조직으로 타국의 외무부에 해당합니다.국무부는 미국 외교정책의 책정과 실시에 종합적인 책임을 가진 대통령에게 조언하며 해외에서 미국의 권익을 평가하고 정책 및 장래의 활동에 대해 권고하며 이미 정해진 정책의 실시에 중요한 조치를 취합니다.또 미국과 여러 나라 사이의 연락과 관계를 유지하며 새로운 국가나 정부의 승인에 대해 대통령에게 권고하고 외국과의 조약이나 교섭을 행하며 유엔 등 다른 주요 국제기관에서 미국의 입장을 대변합니다.
학문 /
역사
23.11.22
0
0
대학학위가 없던 갈릴레이가 수학과의 대학교수가 될수있던 배경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갈릴레오의 아버지는 집안의 재정난을 극복하기 위해 갈릴레오가 보수가 많은 직업인 의사가 되기를 원했고, 의학 공부를 시키기 위해 피사 대학으로 보내나, 여기서 갈릴레오는 의학보다 수학에 흥미를 느껴 본격적으로 수학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습니다.그러나 경제적 궁핌합으로 4학년때 대학을 그만둘수 밖에 없었고 그는 1585년 피렌체로 돌아가 개인적으로 연구를 계속하면서 학생들에게 수학을 가르쳐 생활비를 벌어야 했고 교수 자리를 얻기 위해 몇몇 대학에 편지를 보냈고 결국 피사의 모교에서 수학 교수직을 제안받았습니다.
학문 /
철학
23.11.22
0
0
유대교에 있는 랍비는 어떤 역할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랍비는 나의 선생님, 나의 주인님 이라는 뜻의 히브리어로 유대교의 현인을 말합니다.랍비들은 성서를 바탕으로 한 유대교의 율법을 가르쳐 후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주로 종교와 관련된 상담을 맡는 목회자의 역할 역시 담당합니다.또 유대인 자치단체의 법률을 규정하거나 해당 사회 내의 분쟁 조정이나 징계 등과 같은 조정자, 판단자의 역할도 맡았으나 18-19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유대인 제재 조치의 철폐, 이른바 유대인 해방이 일어난 이후 이 역할의 비중이 줄었고 종교적 사항들을 잘 지키고 있는지에 대한 감독이나 예배의 지도를 맡기도 합니다.
학문 /
역사
23.11.22
0
0
세계에서 가장 분량이 긴 책(만화책 제외)은 어떤 장르이고 몇권까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에서 가장 두꺼운 책으로는 장르가 에세이인 엄지의 기적이 있습니다.페이지수는 1만 5730페이지 입니다.
학문 /
역사
23.11.22
0
0
3.15 아트센터 건립 취지와 의미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3.15의거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 3.15의거의 정신을 계승하고 창원지역의 문화 예술 창달을 위해 만들어진 공공문화시설입니다.지역 문화 에술의 발전과 시민 문화 향유권 신장이라는 가치를 내세우며 창원 지역 공연 예술의 중심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11.22
0
0
탈무드라는 책이 유대인들의 생활지침서라고 하던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탈무드는 교육적인 차원에서 유대인이면 필독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가르치는 것 자체가 전통적인 가정교육이기 때문이며 현재까지도 유대인의 생활 일부입니다.
학문 /
역사
23.11.22
0
0
조선시대의 전염성 질병 중 가장 치명적이었던 것은 무엇이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크게 발생해서 문제되었던 질병은 두창, 홍역, 콜레라 등 입니다.당시 전염병에 대한 공포를 신앙으로 극복하고자 했고 조선왕조실록 기록에 의하면 감염자들은 무인도에 모으거나 한데 모으는 것이 여의치 않으면 죽이기도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2
0
0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