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영조의 아들 효장세자는 왜 묘호를 얻게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조는 죽기 전 정조에게 효장세자를 추존하라는 유언을 남겼고, 정조는 즉위하자마자 할아버지의 유언을 지켜 효장세자를 왕으로 추존하고 묘호는 진종이라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7
0
0
삼국시대 노숙은 실제 어떤 인물이었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임회군 동성현 사람으로 자는 자경이며 선비의 가정에서 태어났고 어려서 부친을 여의고 조모의 손에서 성장합니다.체격이 크고 성격이 호방하며 독서를 좋아했고 활쏘기에 능했습니다. 당시 천하가 크게 어지러워지고 분란이 끊이지 않자 주유가 노숙에게 양식을 청하는데 도와주었으며 197년 노숙은 손권에게 강동의 전략을 마련, 208년 조조대군이 남하하자 노숙과 주유는 결사항전을 할 것을 주장하고 유비와 연합해 적벽에서 조조의 군대를 물리쳤습니다.217년 45세로 사망, 손권은 애도하고 장례식도 직접 참가했으며 제갈량 역시 그의 죽음을 사흘 동안 슬퍼했다 전합니다.
학문 /
역사
23.11.17
0
0
단종의 왕비 정순왕후는 단종이 죽고나서 어떤삶을 갖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순왕후는 궁궐을 쫓겨나며 한양 도성 안에도 들어가지 못하며 친정 마저 풍비박산 난 상태에서 왕후는 동대문밖 청룡사 근처에 초암을 짓고 시녀들과 함께 살았습니다.단종 사후 신분으로 서인으로 전락했으나 세조가 노비로 사역하지 못하게 햇고, 시녀들이 동냥해온 것으로 끼니를 잇고 염색업을 하며 어렵게 살았는데 이를 안 세조가 집과 식량 등을 내리나 받지 않았으며, 그를 가엾게 여긴 동네 아녀자들이 조정의 눈을 피해 그의 집으로 먹을 것을 건네주었는데 궁에서 이를 알고 말렸다고 합니다.정순왕후는 명주를 짜 댕기, 저고리 깃, 옷고름 등을 만들어 시장에 내가 팔아 생계를 이어갔고 중종 재위 초기 사림파인 조광조 등에 의해 복위가 주장되나 중종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현종 때 송시열과 김수항 등이 단종과 왕후의 복위를 거듭 건의 , 그 건의로 1689년 정순왕후로 복위되고 종묘 영녕전에 신위가 모셔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7
0
0
후백제의 멸망의 원인은 어떻게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견훤은 건국하면서 중국의 오월과 통교를 하는 한편 영토를 확장하기 바빴고 901년 대야성을 공격하고 918년 왕건의 건국을 하례하여 외교적으로 유대를 가지려 하나 920년 견훤이 대야성을 공격하고 진례성으로 진격할 때 신라는 왕건에게 구원을 청해 도움을 받습니다. 이로 인해 후백제와 고려와의 사이는 좋지 못하게 되고 반대로 신라, 고려의 관계는 친밀하게 되면서 후백제에게 공동의 적으로 종종 군사 행동을 가했습니다. 이에 견훤은 먼저 신라를 징벌하려하고 927년 10월 대병을 거느리고 신라의 수도 금성에 쳐들어가 포석정에서 잔치를 벌여 흥에 취하고 있는 틈에 수도 경주를 습격합니다.이때 경애왕을 죽이고 왕족 김부를 경순왕으로 추대하게 하며 왕제 , 재상, 역대진보, 병장, 자녀, 백공 등을 취해 군사를 돌이키고 고려 왕건은 이 소식을 듣고 크게 노하여 친히 정병을 거느리고 공산에서 견훤군을 맞아 싸우나 김락 , 신숭겸 등 장군을 잃고 겨우 몸을 피해 돌아갑니다.이후 후백제와 고려는 충돌이 잦았고, 그 중 934년 왕건의 운주 친정으로 웅진 이북의 30여성을 잃게 된 후백제는 큰 타격을 받게 됩니다.그 이듬해인 935년 후백제의 내부에는 부자 형제의 불화로 파탄이 생겼는데 즉 여러 명의 아내로부터 수십명의 아들을 낳은 견훤은 넷째 아들이자 서출인 견금강을 사랑해 왕위를 전하려 하자 적출 장자 신검이 불쾌히 여겨 그 아우 두 사람과 모의해 반란을 일으켜 아버지인 견훤을 금산사에 유폐하고 견금강을 죽이고 신검이 대왕이 됩니다. 견훤이 절에서 빠져나와 고려에 투속하게 되니 후백제는 완전히 분열되어 고려로 하여금 통일 사업에 좋은 기회를 주던 중 그해에 신라의 경순왕은 왕건에게 항복 합니다.또 견훤의 사위이며 후백제의 장군 박영규도 사람을 왕건에게 보내어 내응하니 왕건은 10만 대군으로 선산 부근에서 신섬의 후백제군을 격차, 다시 서로 진격해 황산 부근에 진영을 칩니다. 그러자 신검이 다시 항거할 의기를 잃고 그 아우 양검, 용검과 문무의 관리를 이끌고 나와 항복, 후백제는 결국 44년만에 멸망하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11.17
0
0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서 죽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조의 아동학대는 어릴적부터 시작되는데, 기대가 컸기 때문에 엄격하게만 키워집니다.혜경궁 홍씨의 주장에 따르면 둘의 성격이 너무 극명해 충돌이 잦았다고 전하고 있습니다.한중록에서 두 사람의 성격을 말하는데 영조는 꼼꼼히 살피고 재빠른 성품인데, 세자는 덕성은 거룩해도 과묵하고 행동이 빠르지 못하다고 기록합니다. 그래서 세자의 모든 일이 부왕의 마음에 들지 않았는데 평소 묻는 말에도 즉시 대답하지 못해 머뭇거리며 대답하고 영조는 매번 갑갑하게 여겼습니다.사도세자와 영조가 이러한 갈등을 빚은 것은 영조가 정통성 문제로 신하들에게 오래 시달렸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는데, 영조는 왕세제를 거쳐 즉위한데다 어머니 숙빈 최씨 마저 무수리 혹은 그에 준할 정도로 신분이 미천했고, 오죽하면 게장으로 이복형 경종을 암살했다는 항간의 소문에 까지 시달려야 했습니다.오히려 사도세자의 정통성에 문제가 있다면 어머니가 비록 후궁일지언정 양인 출신으로 추정되는 궁녀 출신이었고 별다른 사건을 일으키지 않아, 오로지 아버지 영조뿐이고 이때문에 일각에선 영조가 사도세자를 질투했다 혹은 열등감을 느꼈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합니다.부왕의 가혹한 학대를 견디지 못한 사도세자는 결국 미쳐 대낮에 내관과 종들을 죽이고 궁녀들을 겁탈하는 등 세자로서 절대 보여서는 안될 온갖 범죄를 저지르기에 이르는데 이 사실을 안 영조는 격분하며 끝내 정신병자가 된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줄 생각을 포기, 후계자로서 모자람이 없는 손자 세손에게 왕위를 물려주기로 결심하면서 이에 방해만 되는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둬 죽이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11.17
0
0
옛날에는 생일 때 어떤 음식으로 생일 잔치를 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생일상은 계절에 따라 재료가 달라지거나 아침에는 흰밥과 미역국, 점심은 국수장국으로 손님을 대접하기도 했습니다.실제 구한말 어른의 생신상을 차려본 노부인의 말에 따르면 아침상은 식구끼리 나눠먹는 상이므로 점심상에 비해 비교적 간소했다고 하며, 조자호가 제시한 생일상에도 밥과 국, 김치를 제외하고 나물과 구이, 자반, 조치 등 8종류의 반찬이 오른 반면 점심 장국상은 장국이나 김치 외 갖은 어육류와 과실종류, 정과나 떡, 약식, 화채 등으로 화려하고 다채롭게 꾸민것을 알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7
0
0
인조의 아들 소현세자의 사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현세자는 귀국 후 3달도 못되어 학질로 세상을 떠나는데, 조선왕조실록만 보면 독살로 추정되나 승정원 일기, 심양일기를 토대로 한 결과 지병 악화로 인한 돌연사 가능성도 제기 , 따라서 사망 원인은 여전히 명확히 판명되지 않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7
0
0
순두부찌게는 언제 부터 우리나라에서 먹기 시작 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왕조 기록보관소에서 나온 기록들은 순두부찌개가 제공되고 있는 초기 형태를 보여주며 일부 역사학자들은 조선시대 두부 사용이 대중에게 퍼졌다 추정합니다.
학문 /
역사
23.11.17
0
0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요동정벌이 단행될 때 수문하시중 이성계는 4불가론을 제시하면서 반대하지만 우왕과 최영이 강력히 주장해 요동정벌이 시작됩니다.여기서 4불가론은 여름철에 군사를 동원하는 것이 부적당하고, 요동을 공격하는 틈을 타고 왜구가 창궐할 것이며, 무덥고 비가 많이 오는 시기이므로 활의 아교가 녹아 풀어지고 병사들이 전염병에 걸리 염려가 있다는 것입니다.수행 중, 도망치는 군사가 속출, 큰 비를 만나 압록강을 건너기가 어렵게 되자, 이성계는 이러한 실정을 보고하면서 요동정벌을 포기할 것을 우왕에게 요청하나 우왕과 최영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계속해 요동정벌을 독촉하자 결국 회군을 단행합니다.
학문 /
역사
23.11.17
0
0
우리나라 노예제도는 언제 없어졌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노예제는 갑오개혁 당시 없어졌다고 알려지나 개념 자체는 근대화가되며 사라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7
0
0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