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이슬람에서 말하는 지하드가 정확히 무엇이고 지하드 관련해서 왜이리 분쟁이 많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지하드는 이슬람교 전파를 위해 이슬람교도에게 부과된 종교적 의무로, 아랍어로 성전을 말합니다.이슬람교는 지하드의 의무 수행을 마음에 의한것, 펜에 의한것, 지배에 의한 것, 칼에 의한 것 등의 4가지로 구분합니다.그러나 지하드가 폭력, 선동의 이미지를 갖게 된 것은 급진적 이슬람 무장조직들이 자신들의 테러활동을 알라신의 계시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사용 , 서구 역시 이슬람을 자신들의 문명 사회에 대한 도전으로 정치 도구화하여 사용한 결과입니다.성년이 된 모든 남자 이슬람교도는 지하드에 참가할 의무가 있는데 싸움에서 죽은 사람은 순교자가 되고 천국이 약속된다고 믿습니다.
학문 /
역사
23.10.29
0
0
백제의자왕이 거느린 삼천궁녀는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의자왕 삼천궁녀는 사실이 아닙니다.삼천궁녀가 처음 언급되는 것은 조선 초기이며, 진짜 정확히는 궁녀 3천명이 아닌 궁녀를 많이 거느렸다는 문학적인 수사 입니다.백제 말기 수도 사비성의 인구가 대략 5만명 내외로 추정, 한반도의 고대 국가에서 한 도시에 비노동 인구 3천명을 먹여살릴 능력이 있을리 만무하며 5만명 중 여자는 절반, 어린이와 노인 등을 제외하고 궁녀로 재직할수있는 나이 적당하고 건강한 여자는 1만 5천명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합니다.만약 삼천궁녀가 사실이라면 한 도시에서 결혼해 자식을 낳을 나이 여자 중 20%인데 이로 인구가 유지되거나 이들을 먹여 살릴수없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0.29
0
0
과거 중국에서 일본을 왜나라로 언급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7세기 이전까지 야마토 정권이 지배하던 일본의 공식 대외 국명이 왜국 (倭國)이었고 그 이후에는 왜 대신 일본이라 불러달라 공표해 옛 한국과 중국의 공식문서에서는 일본이라 불렀으나 19세기까지 일상적으로 왜로 많이 불렸습니다.倭의 대한 기원은 세가지 설로, 倭의 부수인 사람인변과 和와 委라는 글자의 뜻에서 유추, 또 현재 일본어에서 나 를 지칭하는 1인칭 대명사에서 기원했다는 설이 있습니다.마지막으로 북방민족의 지도자를 뜻하는 汗에서 파생된 汙라는 한자에서 유래했다는 설, 한민족을 포함한 동북 민족과 관련된 용어라는 설이 있습니다.첫번째 학살에 기반하면 일본인을 의미하는 和라는 한자가 倭라는 한자와 연관하여 생성되었다는 주장으로, 倭를 포함해 倭의 요소가 들어간 거의 대부분의 한자가 작은 , 구부러진, 아첨, 가식, 복종하는 등의 뜻을 갖고 있는 점을 감안 할때 이를 전용된 상태로 형성된 단어였을 확률이 높습니다.당시 고대 중국은 일본인에 대한 비하의 의도를 가지고 倭라는 명칭으로 불렸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0.29
0
0
영화제 중복 수상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화제의 성격에 따라 중복 수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컨대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출세작 펄프 픽션은 1994년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 1995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각본상을 받게 됩니다.중복 수상이 가능한 이유는 아카데미 작품상이 미국 국내 영화제 성격이 강한데 견주어 칸 영화제는 국제 영화제로서 위상이 다르기 때문입니다.다만 세계 3대 영화제로 불리는 칸, 베를린, 베니스 영화제는 같은 작품이 중복해 본선 후보에 오른 적이 없으며 이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조정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미술
23.10.29
0
0
시인 이상 선생님의 말년에 작품은 어떤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는 도쿄에서 사후 발표작인 소설 종생기, 수필 권태 등을 썼습니다.종생기는 김윤식에 의하면 날개, 동해와 더불어 남녀관계를 주제로 한 이상 소설의 삼부작 가운데 하나로, 결혼 파탄의 상황과 연관되어있으며 나아가 표제가 암시하듯이 이상 자신의 생애가 마감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이 소설은 1936년 11월 20일에 쓴 것으로 되어있으며 작가가 1937년 4월 17일 사망한 사정을 감안하면 이 소설은 그가 도쿄로 간 지 얼마 안되 쓴 것으로, 그가 자신의 생애를 조감함과 아울러 죽음을 의식하며 쓴 것이라 할수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10.29
0
0
하루가 24시간이라는 개념은 역사상 누가 만들어서 보편화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24시간의 유래에 대해서는 다양한 설이 있습니다.수메르인들의 손가락 셈법으로, 손가락 개수가 10개이므로 10진법을 사용했고 약 4000년 전 수메르인들은 손가락의 마디를 세어 더 많은 셈을 할수있게 됩니다.4000년 전 사람들이 수를 세는데 손가락 마디를 이용, 이런 셈법으로 하루는 12*2로 24가 되었다는 설과거 고대인들은 하루를 밤과 낮으로 나누고 다시 12시간으로 나누게 되면서 24시간이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0.29
0
0
호국불교라는 말은 어느시기에 나온말이며 동아시아에서 나온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시대, 남북국시대, 고려시대의 왕들은 왕즉불 사상을 개발해 왕이 곧 부처라 했고, 따라서 부처를 모시는 승려들은 왕의 병사가 됩니다.이 때문에 삼국시대에는 사찰을 수도 한복판에 거대한 규모로 지어지는데 이렇게 승려가 지배층의 세력이 되면서 호국불교의 개념이 생기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10.29
0
0
일본은 어느시기부터 일본이라는 국호를 사용하게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의 역사는 보통 일본 열도의 역사와 동일시 되나 일본 이라는 국호는 8세기 전반에 성립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0.29
0
0
과거에는 삼계탕이라는 음식이 백성들이 쉽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때 복날에 서민은 개고기를 넣은 개장국, 양반은 주로 소고기를 넣은 육개장을 먹었으나 인삼을 넣은 역사가 짧을 뿐, 삼계탕의 원조격인 닭백숙은 삼국시대부터 먹었으며 조선시대에도 존재했습니다.고기가 귀했던 시절 가정에서 그나마 자주 해먹을수 있는 요리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10.29
0
0
유럽에선 각종 식당이나 편의시설에서도 화장실이 유로인 경우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럽은 이미 오래전에 지어진 도시와 건축물이 현재까지도 형성되어있고 유지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청결한 현대식 화장실이 생긴 것도 최근의 일입니다.위생문제에 민감했던 17세기 당시 인간의 배설물은 극히 불결하게 여겼고, 때문에 베르사유 궁전에는 화장실을 만들지 않았습니다.18세기 들어 귀족 집안에 구멍 뚫린 의자가 변기로 사용되기 시작, 또 유럽의 화장실 수질때문으로 유럽은 수질속의 석회질때문에 배관의교체를 늦추면 변기가 막히게 됩니다. 그래서 수시로 변기를 청소해야 합니다.이에 화장실 증축과 관리에 필요한 청소, 배수관 교체에 필요한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유료로 운영됩니다.
학문 /
역사
23.10.29
0
0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