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70년대 각광받은 통일벼가 지금은 사라진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통일벼는 냉해에 상당히 약하다는 약점이있었고 1980년 최악의 냉해로 통일벼는 타격을 입게 되며, 1980년 쌀 생산량이 30%감소한 역대 최악의 흉년이 있었습니다.결국 1981년 통일벼 강제 정책이 폐기, 식량난이 대강 해결된 1980년대 후반때가 되자 맛이 없어 통일미는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되었습니다.결국 1991년을 끝으로 통일미의 정부 수매도 종료, 현재는 더이상 재배되고 있지 않습니다.
학문 /
역사
23.10.20
0
0
빈대와 빈대떡의 빈대가 발음이 같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빈대떡 이름에 대한 어원은 여러 설이 있는데 오래전 서울 덕수궁 뒤쪽에 빈대가 많아 빈대골로 불렸고, 이곳 사람 중 부침개 장사가 많아 이름이 빈대떡이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10.20
0
0
영국의 귀족 중에 흑인도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흑인 귀족은 12세기 특권 독점 거래권을 소유한 베니스와 이탈리아 제노바의 과두 정치 가문에서 유래했으며, 1063년 ~1123년까지 세 번의 십자군 전쟁 중 첫번째는 베네치아의 흑인 귀족의 권력을 확립하고 부유한 지배층의 권력을 강화했고 1171년 귀족계급인 흑인귀족은 베니스의 완전한 통제권을 얻었고 그 때 도제의 임명이 악명 높은 데 메디치 가문을 포함한 상업 귀족들의 구성원으로 구성된 대평의회로 알려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10.20
0
0
일본은 어떻게 하여 조총이 유입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543년 9월 23일 일본 타네가시마 섬에 표류한 중국 상선에 승선했던 포르투갈 상인에게 타네가시마 영주가 시가 2억엔 정도의 은을 지불하고 화승총 두 자루를 구입한 것이 조총의 기원이 됩니다.영주 타네가시마 도키타카는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있던 대대장이에게 이것을 복제하도록 명했고 그 대대장이가 노력 끝에 화승총을 복제해내는데 성공하면서 철포가 일본에 퍼지게 되었습니다.다른 설로는 그 일본인 대대장이가 복제과정에서 난관에 봉착하자 자기 딸들을 포르투갈 상인들에게 바치면서까지 제작법을 알아내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0.20
0
0
일본의 천황이 백제의 후손이라는말은 무슨근거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키히토 일본 천황이 2001년 한일월드컵을 1년 앞둔 68세 생일기념 기자회견에서 속일본기에 간무 천황의 생모가 백제 무령왕의 자손이라고 명백히 기록되어있는 점을 언급하면서 자신은 백제계 왕족의 후손이라 밝혔습니다.
학문 /
역사
23.10.20
0
0
그리스로마신화는 왜 그리스로마신화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리스, 로마 신화는 고대 그리스에서 발생해 로마 제국으로 이어지는 신화이기 때문입니다.로마와 건너와 그리스의 신들 이름을 로마식으로 바꾸고 내용을 발전시키기도 했으나 그리스신화가 중심이고 주된 바탕으로 서양에서는 로마라는 나라가 최초의 제국으로서 갖는 의미가 크므로 그리스,로마 신화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10.20
0
0
대한민국 최초의 드라마는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의 드라마는 1956년 6월 1일 정규방송으로 방영된 천국의 문 입니다.
학문 /
역사
23.10.20
0
0
윤동주- 길 이라는 시의 문학적 표현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윤동주 - 길은 전반부에는 상실에 처한 화자의 답답하고 절망적인 정서가 나타나나 하늘을 바라보는 것을 계기로 화자의 태도가 미래지향적으로 바뀌며 마지막에는 상실감을 극복하고 본질적인 자아를 회복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합니다.이 시는 길의 상징적 의미를 바탕으로 암울한 식민지 시대의 현실을 극복하고 본질적인 자아의 모습을 회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내는 내용으로1연에서 화자가 처한 상실의 상황과 그로 인한 무의식적인 행동을 형상화하며 2연에서 담을 끼고 길을 걸어가는 모습이 표현되는데 돌담이 화자의 안과 밖을 구분하는 경계의 역할을 하며 끝없이 연달아 있는 돌담길은 암울한 느낌을 줍니다.3연에서 담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는 통로가 있으나 그것이 굳게 닫혀 있어 답답하고 절망적인 상황임을 보여주며 5연에서 돌담을 더듬어 눈물 짓는 슬픈화자의 모습이 하늘 이라는 초월적 존재로 인해 부끄럽다고 표현하여 무능한 자신을 자책하는 심정이 나타납니다.6,7연에서 하늘이 일깨워준 희망을 가지고 현실의 고난을 극복하겠다는 화자의 삶에 대한 태도가 나타나 있습니다.이 시는 자기 성찰을 통해 진정한 자아를 찾고자 하는 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자세를 고백적이고 소박하고 평이한 시어를 사용해 표현, 길은 화자가 가야할 삶의 과정이고 본질적 자아를 회복하기 위한 과정을 의미합니다.
학문 /
미술
23.10.20
0
0
고구마가 식량대신으로 끼니를 때우는 역활을 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언제 어느시대에 들어 왔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 고구마가 들어온 것은 조선시대 후기에 해당하는 18세기 후반으로 감자가 들어온시기와 비슷한데, 고구마가 조선에 전래된 경위는 조선 영조 39년 조선통신사 조엄이 일본 쓰시마 섬에서 고구마를 목격하고 이듬해 제주도와 동래부 영도에서 이를 기르기 시작했다는 것이 정설입니다.조선통신사들이 사신으로서 일본으로 길을 향하던 가운데 군고구마 가게를 보았다는 기록과, 영조가 이를 보고받자 그럼 그 종자를 가져와서 심어보라 하고 명하여 심은 것이 시초로 여겨집니다.
학문 /
역사
23.10.20
0
0
이슬람의 교리는 누가 작성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슬람은 하나님(알라)를 유일신으로 믿고 무함마드를 신의 사도로 여기는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입니다.이슬람교의 쿠란은 이슬람의 창시자인 선지자 무함마드가 23년간 신에게 받은 계시록을 기록한 책입니다.
학문 /
역사
23.10.20
0
0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