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옛날 조상들은 떡국을 꿩고기를 넣어서 끓여 먹었다고 합니다. 언제부터 떡국을 먹기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19년 열양세시기, 1849년 동국세시기 등에 돈 같이 썬 흰떡을 장국에 넣어 끓인 것이 떡국이라 언급됩니다.
학문 /
역사
23.07.26
0
0
광주가 육전이 유명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광주에서 육전이 유명한이유는 티비 방송에 나왔기 때문으로, 2010년 12월 5일 방송된 1박 2일 촬영에서 육전을 고기처럼 쌈을 싸서 먹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당을 방문한 적이 있었기 때문에 유명해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6
0
0
미술에 대하 공부해보고싶은데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먼저 미술에 대한 역사와 시대 흐름을 알아야 합니다.미술에는 다양한 역사의 시기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가진 여러 작품들과 그 특징들이 있기 때문에 이를 먼저 파악하며 그림을 알게 되면 미술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가 더 높게 형성됩니다.
학문 /
미술
23.07.26
0
0
마누라라는 말이 조선시대에는 존경을 뜻하는 단어였다는데, 그 어원이나 쓰임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재난고의 저자이자 조선 후기 학자 황윤석은 마노라를 쓴 뒤 이는 옛말의 마립간이다 라는 주석을 덧붙이고, 사도세자를 이르면서 사도 마립간 이라 쓴 뒤 주석으로 마립간이 마노라를 뜻하는 표현임을 덧붙였습니다. 즉, 마노라를 옛 말의 마립간 과 같은 뜻으로 보았습니다.마립간이 신라에서 유래된 순 우리말 존칭인 마루한의 한자 음차인것을 고려하면 마노라 존칭은 순우리말 극존칭이라 볼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6
0
0
천리장성의 건축 목적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천리장성은 고려시대 거란과 여진의 침입을 대비하여 압록강 입구에서 도련포까지 쌓은 장성입니다.
학문 /
역사
23.07.26
0
0
사도세자는 어쩌다 뒤주에 갇혀 죽게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왕의 가혹한 학대를 견디지 못한 사도세자는 끝내 미쳐버려 대낮에 내관과 종들을 죽이거나 궁녀들을 겁탈하는 등 , 세자로서 절대 보여서는 안될 온갖 범죄를 저지르게 됩니다. 사도세자의 이러한 범죄 행각을 알고 격분한 영조는 끝내 정신병자가 된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줄 생각을 완전히 포기하고 후계자로서 모자람이 없는 손자 세손에게 왕위를 물려주기로 결심, 이에 방해만 되는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둬 죽이고 맙니다.
학문 /
역사
23.07.26
0
0
신사임당의 주요 업적과 생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초기 활동안 여성 서화가로, 호는 사임당, 시임당, 임사재이고 본관은 평산입니다. 강원도 강릉 북평촌에서 신명화와 용인이씨 사이에서 5자매 중 둘째로 태어났으며 부친은 41세에 진사에 올랐으나 조광조의 지치주의 실현에 뜻을 같이 해 1519년 기묘사화 이후 관계를 떠나 학문에 뜻을 두었습니다. 무남독녀로 외조부의 사랑을 독차지한 모친의 영향으로 학문에 상당한 조예를 이루었고 1522년 덕수이씨 이원수와 결혼해 4남 3녀의 7남매를 낳았습니다.부군인 이원수는 50세가 되어서야 종5품 벼슬인 수운판관을 시작으로 내섬시, 종부시, 주부에 이어 사헌부 감찰을 역임, 사임당은 엄격함과 자애로움, 당당함을 겸비한 주부로 집안 대도사에 소홀함이 없었고 남편은 서울에서 홀로된 모친 홍씨를 , 신사임당은 강릉에서 친정어머니를 모셨기에 이들 부부는 근 20년이나 떨어져 살았습니다.셋째 아들이 조선 성리학의 거유 이이이며 맏딸 매창과 넷째아들로 막내인 이우가 그림으로 이름을 남겼으며 신씨는 현모양처의 표상이자 교육의 사표이며 변함없는 존경의 대상으로 알려졌는데, 여러 명사제현들의 문헌에 서화가로서의 명성이 거론됩니다.전래작이 많음은 서화의 전래가 드문 조선전기로서는 의외의 사항이라 하겠으나 이들 대부분은 전칭작을 면하기 어려우며 사임당은 산수, 영모, 묵초도, 초충 등 다양한 소재의 그림 뿐 아니라 시문에도 능했으며 글씨도 잘 썼습니다.7세때부터 조선 초 최대 거장으로 근 백년 앞선 안견의 그림을 보고 산수도를 그렸다는 아들 율곡 이이의 증언과 산수화에 뛰어났다는 문헌기록이 있으나 이 화목의 전래작은 몹시 드물며, 산수화로는 율곡 이이 증손가에 있는 산수도 8폭과 금강산도, 1985년 문화재관리국으로부터 국립중앙박물관에 이관된 병풍에 있는 산수도 2점 등 11점이 알려져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6
0
0
조선시대 공주의 남편은 어떤 칭호를 받았고, 그 권한이나 역할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마도위는 임금의 사위 즉, 공주의 남편에게 주는 칭호였습니다.조선왕조의 경우 부마는 정책적으로 명예직 외에 벼슬을 할수 없어 가끔 왕명을 받아 공문서를 작성하거나 의전을 맡거나, 중국에 사신으로 가기도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6
0
0
시를 해석하기에 좋은 자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다양한 사회상와 시대상, 다양한 변화를 충분히 이해하고 납득하는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사람마다 관점이 다르듯 시를 짓는것에도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를 해석하는 입장에서도 다방면으로 이해하며 받아들이는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학문 /
미술
23.07.26
0
0
한국사에서 여왕은 언제부터 등장했나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 여왕은 선덕여왕으로, 서기 632년 진평왕이 노환으로 숨을 거두고 첫째 딸 덕만이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7.26
0
0
874
875
876
877
878
879
880
881
8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