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김홍도의 해탐노화도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해탐노화도는 과거 급제를 바라는 마음으로 그린 선물용 그림입니다.시험을 앞두고 공부를 하거나,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거나 하는 등의 사람에게 선물하는 용도입니다.
학문 /
미술
23.07.23
0
0
양녕대군이 실제로 폐위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시양은 다해필담에서 양녕대군의 폐세자 원인에 대해 세가지로 추론하는데, 첫째로 양녕과 아버지 태종의 관계에 대해 그는 양녕대군이 세자로 있을 때 태종의 뜻이 세종에게 있는 것을 알고 일부러 미친적 하고 자리를 사양하니 태종이 곧 폐하여 세종을 세웠다는 것, 둘째, 양녕대군과 동생 충녕대군의 관계에 대해 양녕대군이 세자 자리에서 폐위된 뒤 한성에서 외지로 쫓겨나 경기도 이천군에서 귀양살이 할 대 세종대왕이 몰래 양녕대군을 불러 위로했다고 합니다.그가 부왕의 뜻이 충녕대군에게 있음을 알게 된 것이 세자 책봉 직후라는 설과 세자 책봉 후 어느날 우연히 듣게 되었다는 설이 있고 부왕의 침전으로 문안차 들어가던 중 그는 문 밖에서 부왕 태종과 모후 민씨의 대화를 비밀리에 엿듣게 되었고 그에 의하면 부왕 태종은 충녕과 양녕이 바뀌어 태어났더라면, 장차 백성들이 요순의 다스림을 받아 태평성대에서 살게 될 것 이라며 한탄했고 모후 민씨 역시 충녕이 맏이었어야 할 것 이라고 아쉬워했다고 합니다.그러나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이와 다르게 기록하는데 세자의 계속된 비행으로 아버지 태종이 몇번 질책하자, 불만을 품고 태종에게 자신은 잘못이 없으며 아버지는 모든 일을 마음대로 하시면서 왜 저만 못하게 하시느냐 하는 상소를 올려 태종을 비난, 이에 분노한 태종은 세자를 폐하여 이천군으로 귀양보내고 동생 충녕대군에게 세자 자리를 넘겨주었다고 하며, 그해 5월 결국 세자에서 폐위되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3
0
0
인공지능이 인간의 상상력을 이길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공지능이라는 것이 많은 사람들의 지식과 정보를 축적해 이룬 것이므로 인간의 상상력을 뛰어 넘기는 힘들다고 봅니다.다만, 기술적으로나마 인간을 뛰어넘을 수 있는 분야들은 충분히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학문 /
미술
23.07.23
0
0
일제강점기 시대의 독립운동기구인 대한광복회는 어떤 기구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한광복회는 1913년 풍기에서 조직된 광복단과 1915년 대구에서 조직된 조선국권회복단이 합쳐진 단체로, 1915년 대구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달성공원에서 결성되어 국권을 회복하고 공화제를 실현하는 것을 창립목적으로 정하고 각 도에 곡물상과 잡화상을 열어 군자금을 모으고 친일부호들을 처단하면서 독립군을 양성했습니다.1918년 조직망이 발각되고 주요 인물들이 검거되어 조직이 크게 와해되었으나 그 후에도 일부 조직원들이 만주로 건너가 암살단, 의열단에 가입하면서 독립운동을 펼쳤고 광복회가 결성된 달성공원은 1963년 사적 제 62호로 지정되었습니다.1920년 8월 미의원단 방문을 계기로 임시정부와 연계해 의거를 계획하던 중 친일세력들에게 발각되어 큰 활동은 하지 못했고, 1945년 8월 해방이 되면서 광복회 정신을 되살려 건국사업에 참여하고자 재건 조직을 결성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3
0
0
황묘농접도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 그림은 누군가의 환겹을 축하하기 위해 그린듯하며, 이러한 내용을 따로 밝힌 바는 없습니다.예부터 고양이는 70노인을 상징, 나비는 80 노인을 상징하며 중앙에 패랭이꽃의 꽃말은 청춘입니다.그 옆에 자리한 바위는 불변의 상징, 화면 앞쪽에 있는 제비 꽃은 구부러진 꽃대의 모양새가 등긁개를 닮아 여의화라 부릅니다.이는 일흔살 여든살이 되도록 젊음을 변치 말고 장수하시고, 모든 일이 뜻하시는 대로 이루어지기 바랍니다 라고 읽혀집니다.
학문 /
미술
23.07.23
0
0
식민사관의 제2명제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식민사관은 크게 일선동조론, 정체성론, 타율성론 으로 확립되었습니다.일선동조론은 본래 한국과 일본은 같은 민족으로 한국은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일본의 보호와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주장입니다.정체성론은 한국이 여러 정치적, 사회적 변화를 겪으면서도 능동적으로 발전하지 못하였으며 당시의 조선사회가 10세기 말 고대 일본의 수준과 비슷하다고 보는 주장입니다.타율성론은 한국이 역사를 스스로의 주체적인 역량으로 전개시키지 못하고 중국이나 몽골, 만주, 일본 등 주변 외세의 간섭과 힘에 좌우되어왔다는 논리입니다.
학문 /
역사
23.07.23
0
0
역사가가 누구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탈리아의 철학자인 베네데토 크로체는 모든 역사는 현재의 역사 이다 라는 명언을 남겼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3
0
0
서얼은 능력이 있어도 과거에 등용될 수 없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경국대전에 따르면 서얼은 문과나 생원, 진사시에 응시하지 못하도록 해 양반관료의 등용시험인 과거에 응시할 자격을 박탈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3
0
0
일제강점기때 인력기가 많이 생긴 이유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제강점기 당시 도시인들은 바쁜 일상을 살았기 때문에 편하게 이용할수있는 이동 수단으로 인력거를 많이 사용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3
0
0
독서를 할 때 한권의 책을 한번만 읽는 것이 좋나요? 아니면 여러번 읽는 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책을 읽는 목적에 있어 다양한 의미나 내용을 알고 배우고자 하는 것이기때문에 아무래도 많은 양을 읽기보다, 적은 양이라도 충분히 알고 이해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양에 목적을 두는 것이 아니라, 한 권 가지고도 여러번 읽게 되면 읽을 때 마다 책의 내용이 새롭게 보이거나, 또 다른 감정이나 느낌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3
0
0
892
893
894
895
896
897
898
899
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