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ufc경기를 철창에서 하는데 권투처럼 링에서 하면 안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케이지 혹은 옥타곤이라 부르며 덕분에 기존의 사각링처럼 타격으로 상대를 구석에 몰아넣는 전술은 효용도가 매우 떨어지는 반면 레슬러가 그래플링으로 상대를 구석에 몰면 재미를 볼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시합을 참관하는 관객들 입장에서 철망으로 인해 잘 안보인다는 불만도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07.14
0
0
청일전쟁은 어떻게 우리나라를 두고 전쟁을 할수 있었던 거죠?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에 대한 내외정에 개입하던 청나라와 새롭게 조선을 노리전 일본은 동학농민혁명과 이를 진압하기 위해 요청한 고종의 청군 차병을 계기로 군대를 파병해 조선에서 전쟁을 벌였습니다.청나라는 아편전쟁 등 서양 열강에 패전을 거듭하여 영토를 상실했고 조공국이었던 베트남은 프랑스, 미얀마는 영국, 류큐는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 주변국에 위력을 행사하지 못하게 되어 이후 청나라는 재기를 위해 양무운동을 통해 힘을 모아 동아시아 패권국의 위치를 되찾기 위해 기존 주변국, 조선에 대한 내정간섭과 상업 등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었습니다.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후 급격한 발전을 이루었고 조선 침략에 회의적인 인물들도 대부분 그 의견을 접게 되면서 식민지에 대한 야욕을 드러냈고 이런 일본에게 중요한 땅은 조선과 대만이었습니다. 조선을 얻게 되면 그 육로를 통해 러시아, 청나라를 넘어 유럽으로까지 길이 닿게 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7.14
0
0
고기국수의 원조가 제주도가 맞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주도 특유의 국수 요리로 돼지고기 수육이 고명으로 올라가 고기국수라는 명칭이 붙었습니다.원래 제주도에서는 조밥을 주식으로했으며 일부 지역에서 칼국수와 수제비 중간 형태의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는 기록은 있으나 본격적인 국수라 하긴 힘들었고 일제강점기 때 제주도에 건면제조 공장이 들어오게 되었고 그러면서 제주도에도 밀국수 문화가 들어왔으며 미군정 때 원조 물품인 밀가루가 대량으로 들어오면서 보편화가 되었습니다.제주도에서 그나마 가축으로 기를 경제성이 있던 돼지를 주 재료로 해 돼지고기가 넉넉할 경우 그 부산물인 돼지뼈를 가지고 사골을 우려내고 면을 말아 돼지고기 수육을 얹어먹었고 돼지고기가 적을 경우, 제사 때 사용한 편육이 있을 경우 제주도에서 많이 잡히는 멸치로 국물을 내고 면을 말아 그 위에 편육을 얹은 형태도 먹었으며 이와같은 음식을 고기국수라고 부르게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4
0
0
제주도언어가육지하고 다른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주 방언의 유래는 11세기 이후 어느 시점에 고려에서 들어온 후기 고대 한국어 또는 초기 중세 한국어로 보며 제주어는 한국어족과 상당히 많은 기본어휘와 문법을 공유합니다.방언 이 나오는 특징적인 이유 중 하나로 제주는 섬 이기 때문에 육지와의 교류가 활성화되기 힘들었던 시절, 교통과 통신의 미발달로 인하여 방언이 나왔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4
0
0
제주도만의 특산물에는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라봉, 천혜향, 레드향, 황금향, 흑돼지, 갈치, 갈치속젓, 자리돔젓, 꽃멸치젓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07.14
0
0
비스마르크는 왜 철혈 재상이라고 불렸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철이란 곧 무기를 말하는 것으로 군대의 힘을 뜻하는 것으로 피는 병사들의 희생을 말하는 것이었습니다.프로이센의 국민들은 그를 철혈 재상이라 불렀습니다.이는 비스마르크스를 반대하던 사람들이 사실을 부풀린 것으로 비스마르크는 독일이 통일되자 평화를 위한 정책을 펼쳐 나라를 안정시키는데 힘썼습니다.
학문 /
철학
23.07.14
0
0
언어중에서 존댓말있는 언어는 어느나라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어, 독일어, 일본어, 중국어에도 존댓말은 존재합니다. 존칭은 연배가 더 높거나 격의가 있어 3인칭 단수를 사용합니다.우리말의 경우 어미 자체를 변화시켜 복잡해보이는 것뿐 외국어에도 존댓말은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4
0
0
수메르의 설형문자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집트의 상형문자가 인류최초 문자라고 알려져 있으나 메소포타미아 문명유적이 발굴되면서 수메르문자가 이집트 문자보다 먼저 발명되었다는 증거가 나와 지금은 인류 최초의 문자라고 인정되고 있습니다.이 쐐기문자는 수메르인이 발명한 것이 아니고 처음 사용된 곳도 이란 고원지대라는 주장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문화의 연속성과 환경적인 증거로 보아 수메르인이 발명한 것이라고 인정되며 기원전 4차 천년 후반에 그림문자에서 진화되어 나왔다는 것이 일반적 견해입니다.최초의 기록으로 메소포타미아 남부 우르크에서 기원전 31세기에 쓰인 것이 발견되었고 특징으로는 공형 다음다의어와 동음이의어가 많고 단음절로 구성되어있다는 저입니다.그래서 처음 표의문자를 음절문자로 전환시키는 수수께끼원리 적용이 용이했으므로 초기 때부터 수메르 쐐기문자는 표의 -음절문자로 전환되었습니다.이 수메르 쐐기문자는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 이외에 이웃에 거주하던 여러 민족의 언어 즉 엘람어, 카사이트어, 고대페르시아어, 후르리어에서 차용해 갔습니다.
학문 /
미술
23.07.14
0
0
글을 잘쓰는 방법에는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말하기는 글쓰기와 관련이 있으므로 혼자 말을 하면서 읽기 쉬운 구어체로 쓸수 있어 혼자 말을 하며 연습을 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또한 글을 쓰기 위해 다른 사람의 말을 귀기울여 들어보고, 평가, 감상 을 통해 질문을 하며, 배경지식을 쌓는 방법을 습득합니다.또한 요약을 함으로써 간단한 글이나 복합적인 글을 쓰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학문 /
음악
23.07.14
0
0
막국수의 이름이 지어진 유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메밀을 껍질 등을 거르지 않고 거칠게 갈아 면을 뽑은 것에서 비롯된 접두사 막-을 국수에 붙인 것이라는 설주문이 들어오면 바로바로 만들어서 냈다는 점에서 바로 지금의 뜻을 가진 부사 막 과 국수가 합쳐진 파생어라는 설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4
0
0
946
947
948
949
950
951
952
953
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