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 정조에 신해통공을 실시한 배경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중기 이후 농촌인구의 도시 유입으로 도시 상업의 양상이 변화하기 시작한 한편 시전상인의 도가상업에 타격을 받으면서도 꾸준히 성장해온 영세사상인층의 부단한 공세와 세궁민의 반발 및 도가상업의 폐단으로 도가상업 전체에 대한 새로운 조치가 취해지지 않을수 없었습니다. 이에 따라 당시의 좌의정인 채제공은 도가상업의 폐해를 지적하며 육의전 이외의 모근 시전에게 금난전 전매권, 즉 도가권을 허용하지 말며 설립 30년 미만의 시전은 이를 폐지할 것을 건의, 이 건의가 받아 들여지며 실시하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3
0
0
성경에는 거인족 네피림에 대한 사실이 언급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창세기 6장 4절 당시에 땅에는 네피림이있었고 그 후에도 하나님의 아들들이 사람의 딸들에게로 들어와 자식을 낳았으니 그들은 용사라고 고대에 명성이있는 사람들이었더라-민수기 13장 33절 거기서 네피림 후손인 아낙 자손의 거인들을 보았나니 우리는 스스로 보기에도 메뚜기 같으니 그들이 보기에도 그와 같았을 것이니라
학문 /
역사
23.07.13
0
0
독일의 대공위시대란 어떤 시대를 말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독일 역사상 국왕(신성 로마 황제)의 추대가 제대로 행해지지 않은 1254년 ~ 1273년을 말합니다.
학문 /
역사
23.07.13
0
0
고려시대에 몽골 침입기에 만들어진 팔만대장경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 경전입니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반야경부터 와엄경탐현기까지 총 1, 514종의 불경을 수록하고 있어 불경대백과사전이라 칭합니다.
학문 /
역사
23.07.13
0
0
몽골 침입기 고려 정부은 강화도 천도를 하는데요 현재 정확한 위치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천광역시 강화군 송해면 당산리 388-7 로, 과거 황해, 평안도- 서울을 오가는 많은 배들이 이용했던 승천포라는 포구가 있던 곳으로 1232년 강화 천도시 고종이 첫 발을 디딤으로 고려의 강도시대를 시작한 의미있는 곳입니다.
학문 /
역사
23.07.13
0
0
고려말기 최영 장군은 훌륭한 인물로 알려져 있지만 그도 권문세족 한 사람으로 봐야 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최영은 고려의 무신으로 권문세족의 대표되는 인물로 알려져있습니다.고려 공민왕시기 정치가 이므로 권문세족에 속합니다.
학문 /
역사
23.07.13
0
0
원래 경복궁은 언제 소실된 것입니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명종때 중건된지 38년만인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했고, 선조수정실록에 따르면 선조가 파천을 떠나자 도성이 아노미가 되면서 경복궁을 비롯한 궁궐들은 일본군이 입성하기도 전에 백성들의 손에 이미 모조리 불타 소실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3
0
0
조선시대에 사관의 독립성은 어느 정도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관의 일은 국왕과 신하들의 언행외에도 당시 정치나 행정에 관한 일의 득실과 관원의 잘잘못 등을 보고 들은 대로 기록하는 일을 했습니다.이들이 적은 글들은 관리, 임금도볼수없었습니다.임금이 죽고 실록을 편찬하게 될 때 사관은 일정 기한 내에서 사초를 춘추관에 납부하게 되는데 정해진 기간 안에 사초를 내지 않으면 해당 사관의 자손을 관리로 등용하지 않는 등의 불이익이 있었다고 합니다.글을 쓸때 독립성은 인정되었으나 종종 사초를 보려고 시도한 임금들도 있었으며, 다양한 불이익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완전한 독립은 힘들었을 듯 합니다.
학문 /
역사
23.07.13
0
0
인왕제색도는 그림만 봐도 생생함이 느껴지는데, 어떤 점 때문에 그렇게 보여지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름 그대로 한여름 소나기가 스치고 지나간 인왕산의 봉우리를 그린 그림으로 실제 인왕산의 봉우리는 검은색이 아니라 흰색인데 정선은 그것을 검게 그렸습니다. 이유는 비가 온 후 봉우리가 젖어 검은색으로 변하기 때문인데 이것이 눈에 보이는 대로 그리는 진경산수화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검게 칠한 바위에서 남성적인 웅장함이 느껴지며 이는 그림의 구성에서도 드러나는데 상단 봉우리 일부분은 잘려져있고 좌우 아래는 생략되어있습니다. 이는 그림을 보는 사람이 봉우리 가까이 다가선 것 같은 느낌을 주며 정선은 인왕산이 주는 압도적인 중량감을 표현하기 위해 파격적인 구도로 봉우리를 배치했습니다.
학문 /
미술
23.07.13
0
0
조선시대 왕자의 난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조는 신의왕후 한씨와의 사이에 방우, 방과, 방원 등 여섯 형제를 두었고 계비 신덕왕후 강씨와의 사이에 방번, 방석을 두었습니다.난의 발단은 태조의 후계자 책정에 있었는데 태조는 첫번째 부인 한씨 소생의 왕자들이 반발함에도 불구하고 총애하던 강씨 소생의 여덟째 아들 방석을 세자에 책봉, 산씨 소생의 왕자들은 이를 못마땅해했고 특히 정몽주를 비롯한 개국 반대세력을 제거하고 왕대비 안씨를 강압하여 공양왕을 폐위케 하는 등 조선 건국에 큰 역할을 했던 방원의 불만이 가장 컸습니다.
학문 /
철학
23.07.13
0
0
946
947
948
949
950
951
952
953
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