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고대 게르만족의 대이동이 시작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이동에 대한 직접원인이 동방의 훈족의 압박 때문이며 게르만 민족 자체의 내부사정, 특히 인구 증가에 의한 토지 부족, 로마제국의 내부사정에도 관계가 있었습니다.로마제국은 당시 이미 군사적으로 약화되어있었고, 내부적 혼란과 모순으로 몰락의 길을 걷고 있던 상황으로 이러한 여러 원인이 결국 민족대이동을 이루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7.11
0
0
꽃말이 생기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가나 시대에 따라 다르나 보통 영국의 것을 따르며 이는 18세기 영국에서 유행했습니다.17세기 오스만 제국의 이스탄불에서는 꽃에 하나님의 메시지가 담겨있다는 생각에서 각각 꽃에 어울리는 꽃말이 주어졌고 사랑하는 사람에게 의미가 있는 꽃을 선물하고 꽃을 받는 사람 또한 선물을 통해 의사를 전달하는 세렘 이라는 풍습이 생겼습니다.이것은 각각의 의미를 갖는 꽃을 조합하여 선물을 하면 편지가 되는 것이었고 18세기이던 1717년 영국의 메리워틀리 몬태규와 1727년 프랑스 출신인 오브리 드 라 모레이레이 가 각각 자신의 책에서 꽃말을 사람들에게 보급시켰습니다.특히 빅토리아 시대 때 말이나 편지보다 해당하는 뜻의 꽃을 보내는게 유행이었고 정확히 설명하자면 최초의 기원은 내연관계의 사람들이 글 같은 것을 서로 주고받았다간 흔적이 남아 덜미잡힐 우려가 있으니 티가 나지 않을 꽃에 이런저런 의미부여를 해서 주고받은 문화가 세월을 거치며 말 그대로 꽃에 여러 의미를 부여하고 이를 공식화, 유행으로 승화된 것이라 합니다.
학문 /
미술
23.07.11
0
0
자금성의 보화전, 중화전, 태화전은 어떤 역할을 하는 곳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보화전은 명나라때는 황제가 의복을 갈아입는 공간이었고 청나라때는 매년 제야와 정월 15일에 황제가 소수민족 왕공대신들에게 연회를 베푸는 용도였으며 1789년 이후에는 이곳에서 전시가 치러지기도했습니다.중화전은 태화전에서 공식 행사를 치르기 전에 잠시 대기하며 휴식을 취하거나 평소에 상소문을 읽고 처결하는 공간으로 사용, 청나라때는 황실의 족보를 7년마다 개수하는 작업을 해 그 결과물을 중화전에서 진상받았습니다.태화전은 자금성에서 가장 넓은 광장이었으므로 황제의 즉위식, 국혼, 황후 책봉, 조회 등의 국가적인 중대사 때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1
0
0
중국 북위에서 실시한 균전제는 어떠한 제도입니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가가 토지의 사유를 제한하여 대토지 소유를 억제하고 토지의 분배와 회수를 통해 농민 지배를 강화하며 세수의 안정을 꾀한 제도로 백성에게 구분전 80묘와 영업전 20묘씩을 나누어 주어 구분전은 본인이 죽으면 국가에게 반환하게 하고 영업전은 자손에게 세습하게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1
0
0
단군왕검 이야기에서 웅녀는 쑥과 마늘을 먹어서 사람이 되었다고 표현이 되어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단군신화에 고대 토테미즘의원형이 내재되어있듯 마늘과 쑥에서도 집단 무의식이 원형이 반영되어있습니다. 옛 사람들의 마늘과 쑥에 대한 인식으로, 미물인 곰이 영물인 인간이 되려면 신성한 힘이 필요하며 마늘이 그 도구인데 나쁜 기운을 쫓는 기운이 있다고 믿기 때문으로 귀신을 쫓고 역병을 막아주는 힘, 그래서 동물의 성질인 수성을 몰아내고 인간의 품성을 갖게 만드는 힘이며 마늘은 생명의 상징, 힘의 원천을 상징합니다.
학문 /
역사
23.07.11
0
0
나침반은 언제 어디서 발명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침반의 기원에 대해서 학자마다 의견이 갈리나 유력한 설은 기원전 2세기 ~ 기원후 1세기 사이 한나라에서 풍수지리적 목적으로 최초로 발명되었다는 것으로 이후 송나라 대에 고도로 발전한 형태의 나침반이 항해에 쓰이기 시작했고 이것이 중국에서 아랍으로, 다시 십자군 전쟁을 통해 유럽으로 전해졌다는 설과 인도양 무역을 통해 아랍과 유럽으로 전해졌다는 설, 중국과 관련없이 유럽에거 12세기를 전후로 독자적으로 발명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1
0
0
고려 시대 주전도감 안 어떤 성격에 주관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주전도감은 고려 숙종 때 화폐 주조를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입니다.고려에서는 이미 996년 철전을 만들어 사용하게 했는데 이전에 미, 포 등을 교환수단으로 사용해오던 가난한 일반백성들은 명목가치가 큰 철전을 사용할수 없어 큰 불편을 겪으므로 6년 뒤 1002년 다점, 주점, 식미점 등의 점포에서만 철전을 사용하고 일반 백성은 이전대로 물품화폐를 사용합니다. 그 뒤 농업, 공업의 생산력이 발전하여 상품유통이 활발해지면서 보관과 운반이 편리하고 기준이 명확한 금속화폐의 필요성이 점차 대두하고 한편으로는 송나라에 갔다온 의천이 금속화폐의 사용을 강력히 주장하자 1097년 화폐주조의 업무를 담당할 관청으로 주전도감이 설치되며, 여기에서 만들어진 화폐는 주로 동전으로 1102년 12월 해동통보 1만 5000관이 처음으로 만들어져 재추, 문무양반, 군인에게 분배되었고 이어 삼한중보, 동국통보 , 동국중보 , 해동중보 등이 만들어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1
0
0
우리나라의 역사상 최초의 금속 주전 화폐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 만든 최초의 화폐로 인정받은 것은 고려 성종 때 만든 건원중보입니다.성종 15년 발행된 건원중보는 철전과 동전 등 두 종류가 전해지며 이후 숙종 때 의천의 건의에 따라 주전도감을 설치, 해동통보, 삼한통보, 해동중보 등 동전과 활구를 만들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1
0
0
6.25때 다부동전투가 왜 유명한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천상륙작전을 통해 투입된 미군의 대대적인 반격으로 이 지역에서 북한군을 완전히 몰아내었고 이 전투에서 북한군의 공세를 막아냄에 따라 북한군은 낙동강 전선을 돌파하는데 실패, 결과적으로 북한군의 공격의도를 좌절시키는데 성공했습니다. 북한군은 이 전투에서 전력을 상당히 소진하여야 했고 이는 이후 전투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되었으며 대한민국 국군에게는 낙동강 전선을 고수할수 있다는 자신감을 부여하게 해준 결정적인 전투입니다.
학문 /
역사
23.07.11
0
0
고려시대 '임견미'라는 인물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본관 평택으로 공민왕 초 다루가치에 소속되어 공을 세우고 중랑장에 올랐습니다.1361년 나주도도병마사 때 홍건적의 난이 일어나자 왕을 호종, 1등공신이 되었으며 1368년 명나라 군대가 원나라 연경을 초위했다는 급보에 안주순무사가 되었으며 1370년 원나라 동녕부 토벌에 부원수로 참전했습니다.1374년 제주 목호의 난이 일어나자 부원수로 토벌에 나섰습니다. 1375년 심양왕 터터부카의 모자가 왕위를 노리고 입국한다는 소식에 서경상원수로 출진, 이에 대비했고 1377년 왜구가 침입하자 동강부원수 , 서해도 조전원수로서 출전, 1380년 경복흥과 그 일당을 숙청하고 1384년 문하시중이 되어 전횡을 일삼다 1388년 최영, 이성계에게 살해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1
0
0
964
965
966
967
968
969
970
971
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