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 삼포왜란은 어떠한 왜란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510년 삼포에 거주하던 왜인들이 중종의 엄격한 통제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난입니다.조선은 나라를 세운 후 무질서하게 조선으로 들어오는 왜인 통제를 위해 3포를 개항하고 왜관을 설치, 이 3포에 한하여 일본 무역선의 내왕을 허락합니다.중종이 즉위 후 엄격한 법규 시행으로 왜인들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자 이전까지 면세 등 다양한 혜택을 받아왔던 왜인들은 이에 불만을 품고 대마도주의 군사적 지원을 받아 1510년 난을 일으켰고 이들은 이 지역에서 약탈, 학살 등의 만행을 자행, 이 과정에서 부산포 첨사 이우증이 살해 되는 등 많은 백성들이 죽임을 당했습니다.이에 조정에서 즉시 황형을 경상좌도방어사로, 유담년을 경상우도방어사로 임명해 삼포의 폭동을 진압, 이 난으로 조선 측은 군민 270여명이 살해되고 일본 측은 290여명이 죽거나 사로잡혔습니다.조정은 왜란을 진압 후 피해를 입은 백성들을 진휼하는 한편 삼포에 거주하고 있던 모든 왜인들을 추방하여 이를 계기로 삼포는 통교가 끊겼으나 일본이 다시 수교할 것을 간청하며 1512년 임신약조 체결, 내이포만이 개항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9
0
0
조선후기에는 수많은 서원들이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사액서원은 어떠한 서원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액서원은 조선시대 국왕으로부터 편액, 서적, 토지, 노비 등을 하사받아 그 권위를 인정받은 서원입니다.사액을 받는 경우 조정으로부터 현판과 함께 예관이 파견되어 배향인물에 대해 치제 하는 특전이 베풀어졌고 보장된 특전은서원이 소유하고 있는 서원전 가운데 3결에 한하여 면세,사액시 의례적으로 지급되는 노비를 포함해 7명까지 노비를 둘수 있게 하는 등 입니다.
학문 /
역사
23.07.09
0
0
울릉도 독도 관련하여 공을 세운 안용복은 어떤 사람이었습니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안용복은 몰년 미상의 인물로, 1696년 일본인들이 독도 부근에서 어업 행위를 하자 이에 항의하면서 일본 호키주로 건너가 영주에게 사과를 받아낸 결과 이듬해부터 일본은 정식으로 자국민들의 울릉도 부근어업행위를 금지는데 이는 이미 당시 일본은 독도와 울릉도가 우리 영역임을 인정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학문 /
역사
23.07.09
0
0
중국 명나라에 정화는 남의 원정을 어디까지 갔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화의 함대는 동남아시아, 인도를 거쳐 아라비아 반도, 아프리카까지 항해했고 가장 멀리까지 도달한 지점은 아프리카 동해안의 말린디 인 지금의 케냐 말린디 입니다.
학문 /
역사
23.07.09
0
0
대한민국 헌법은 언제 제정공포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한민국 헌법은 대한민국의 통치구조와 국민의 권리의무를 규율한 최상위 법으로, 1948년 제정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9
0
0
제헌절은 언제부터 공휴일에서 제외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2005년 6월 30일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면서 제헌절은 2007년을 마지막으로 공휴일에서 제외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9
0
0
세종대왕이 그렇게 고기를 좋아했다는데 병은 없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종은 편식, 운동부족, 과로와 함께 각종 질병에 걸린 기록이 많습니다.세종은 비만 때문에 심각한 시각장애와 수전증을 앓고 있었으며, 질병의 원인이 당뇨라는 의견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9
0
0
'끝'을 발음하는데 있어서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끝입니다의 문장성분은 보어로, 발음은 끄십니다.끄칩니다 로 발음되며 순경음화 입니다.
학문 /
음악
23.07.09
0
0
중국은 왜 동북공정이라는 억지 연구와 주장을 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궁극적인 목적은 중국의 전략지역인 동북지역 특히, 고구려, 발해 등 한반도와 관련된 역사를 중국의 역사로 만들어 한반도가 통일되었을 때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영토분쟁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함입니다.
학문 /
역사
23.07.09
0
0
이순신장군의 사망은 아직도 미스테리가 맞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순신의 사망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니 어떤 설에도 탄탄한 근거는 없습니다.이순신은 선두에 나서서 적군을 지휘하다 적의 유탄에 맞아 사망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9
0
0
973
974
975
976
977
978
979
980
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