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마녀사냥이란 말의 어원이 중세시대 서양에서 왔다고 하던데 어떤 일들과 연관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2세기 무렵부터 유럽에서 기독교가 대량으로 자행한 학살 행위로 이름처럼 마녀로 몰린 여성들이 대량으로 희생되었는데 마녀사냥에는 남녀노소 물론 신분고하를 따지지 않았고 대략 중세 무렵부터 시작해 18세기쯤 자취를 감춘것으로 여겨집니다.
학문 /
역사
23.07.08
0
0
정조가 죽은 후에 세도정치기가 시작되었다고 하던데 세도정치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왕의 신임과 위임을 받아 정권을 잡은 특정인과 그 추종세력에 의해 이루어졌던 정치 형태 입니다.김조순은 정적인 벽파의 국정 주도 속에서도 1802년 자기 딸을 왕비로 들이는데 성공하여 국구의 지위를 얻고, 1804년 순조의 친정이 시작된 후 벽파는 조정에서 축출되고 김조순을 포함한 안동김씨 가문의 여러 인물들이 권력을 집중시켜갔지만 권력획득 과정에서 연합했던 인사들로부터 견제를 받고 순조가 국정을 주도하려 다각도로 노력함에 따라 1811년까진 절대적인 권력에 도달하지 못합니다.국왕의 국정 주도 노력이 1809년 기근과 1811년 홍경래의 난으로 실패한후 1812년 ~1826년까지 김조순이 확고한 정치 주도력을 장악, 순조 27년부터 30년 5월까지 효명세자가 부왕 순조의 명령을 받아 대리청정하면서 권력의 새로운 기반을 조성하려 하나 이른 나이에 사망, 김조순은 효명세자가 모은 정치세력을 축출하고 권력을 다시 강화했고 그가 죽은 뒤 아들인 김유근이 권력을 계승해 1834년 순조가 사망할때까지 흔들림이 없었고 순조는 죽기 전 효명세자의 장인 풍양 조씨 조만영 가문에 속한 조인영에게 헌종을 돌 볼 것을 부탁, 그리하여 헌종이 즉위해 김조순의 딸 순원왕후가 수렴청정한 1840년까지는 대왕대비의 친정인 김조순 가문 인물들과 국왕의 외가인 조만영 가문 인물들이 균형을 이룬 가운데 연합 , 정국을 주도하게 됩니다. 그뒤 1894년 헌종이 친정할때 조만영 가문이 헌종의 원조를 기반으로 권력 행사에서 유리한 입장에 있었고 헌종도 나름대로 국정 주도의 노력을 기울였지만 가시적인 성과는 없었고, 헌종이 죽자 대왕대비 순원왕후는 강화도에서 농부로 살던 왕족 원범을 국왕으로 선택, 따라서 그 재위기간에는 김좌근을 중심으로 하는 김조순 가문이 앞 시기보다 훨씬 심화된 권력 독점을 누렸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8
0
0
우리나라 최초의 목사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의 목사는감리교에서는 김창식, 김기범침례교는 신명균장로교는 서경조, 한석진, 송인서, 양전백, 방기창, 길선주, 이기풍 입니다.
학문 /
역사
23.07.08
0
0
헝가리나라는 어느 민족이 세운 나라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헝가리인의 조상은 중세 초입에 중앙아시아 서쪽에서 흘러들어온 우랄어족 핀우고르계 민족인 마자르족입니다.이 머저르라는 명칭은 머저르족을 이룬 초창기 일곱 부족 중 가장 세력이 강했던 메제르 부족에서 유래, 기원후 원년부터 우랄산맥을 넘어 서쪽으로 남하하여 남러시아의 스텝지역으로 이동했고 5세기가 돼서야 서쪽으로 이동, 그리고 4세기 동안 동쪽의 투르크계 민족들, 그중에서도 오노구르족 과 세케이족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후 896년이 되어 오늘날의 헝가리 영토인 카르파티아분지 일대로 침입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8
0
0
역사상 가장 오래전에 살았던 우리나라 새는 어떤 새 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그노토르니스 코넬리로 물갈퀴를 가진 새 였습니다.이그노토르니스 코넬리는 경상남도 사천시에 위치한 비토라는 이름의 섬에서 발견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8
0
0
칠월칠석에 견우아 직녀의 만남이야기의 유래를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칠석의 유래는 중국의 제해기에서 처음 나타나며 주나라에서 하대에 걸쳐 우리나라에 유입되었습니다.견우직녀는 문헌상 중국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기원전 5세기 경 성립된 중국의 가장 오래된 시집인 시경 소아편 소민지십에 대동이라는 시에서 베짜는 직녀와 수레끄는 견우, 그리고 은하수를 노래하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8
0
0
이탈리아 콜로세움의 움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라틴어에서 중성형 접미사 -um은 장소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많이 사용되었고 Colosseum 역시 접미사 -um이 붙어 거대한 장소, 거대한 물건이라는 의미의 명사로 바뀐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7.08
0
0
이순신장군이야기는 어떻게 전해져내려왔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난중일기는 조선 선조 시기의 무신이었던 충무공 이순신이 1592년~1598년 동안 군중에서 쓴 일기입니다.그 날의 기상변화, 군무 내용, 진중의 군정 등이 기재되어있으며 본가에 대한 걱정, 자식과 아내, 모친에 대한 그리움, 평생의 친구이자 후원자였던 유성룡에 대한 걱정, 원균에 대한 비판 등 이순신 본인의 개인적인 정서도 기록되어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8
0
0
고집이 생겨나기 시작하는 시기는 언제쯤 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9개월 정도 되면 어느 정도의 자의식이 발달하면서 자신의 좋고 싫음을 표현하며 이때부터 떼가 생기는 시기 입니다.
학문 /
철학
23.07.08
0
0
카톨릭에 성체조배라는 용어가 있는데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체 앞에서 개인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특별한 흠숭과 존경을 바치는 예배로 성체 안에 살아계신 예수님을 찾아 열렬한 존경심과 애정을 가지고 기도하며 주님과 대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학문 /
역사
23.07.08
0
0
982
983
984
985
986
987
988
989
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