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콜롬비아의 마약의 온상지였던 메데인은 현재 어떤 도시로 변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스페인의 식민지 시절 금의 개발 기지로 건설, 후에 커피 재배 중심지로 성장해 콜롬비아 커피 재배 지역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콜롬비아 최대의 공업도시로서 제철, 자동차, 플라스틱 , 섬유, 식품 등의 공업이 활발합니다.
학문 /
문학
23.12.07
0
0
임진왜란 당시 제주도는 큰 문제없이 평화로웠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임진왜란 이전 왜구가 출몰해 노략질을 하는 등 피해가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 제주도를 공격했다면 고립된 제주도는 일본에게 장기간 점거 당했을 수 있었을 것이나 소규모 왜구들의 준동과 대규모 정규군의 상륙전은 달라 일본군은 제주도에 대한 공격을 전혀 시도하지 않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7
0
0
오메기떡은 예전부터 제주도에서만 생산된 특산품인것인지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오메기떡은 제주도 특유의 떡 입니다.오메기 술을 만드는 과정에서 생겨난 부산물로, 벼 농사가 힘든 제주도에서는 조와 보리가 주식이었으므로 이를 활용한 식문화가 발달했는데 차조를 활용해 만든 오메기떡은 차조가 수확되는 가을에 주로 먹는 떡이었고 이를 잘게 부숴 누룩 가루에 버무려 보관하면 오메기 술로도 먹을수 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7
0
0
언제부터 인류는 증류주를 먹기시작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증류주는 연금술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여집니다.증류 장치가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아라비아의 연금술사가 금을 만드는 과정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7
0
0
최초의 해부학이라고 볼수 있는 해부는 어느시기에 어느국가가 진행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원전 1600년 고대 이집트의 의학서인 에드윈 스미스 파피루스에는 심장으로부터 뻗어나온 혈관, 간, 비장, 신장, 자궁, 방광 같은 장기들의 모습이 묘사, 기원전 1550년경 에베르스 파피루스는 심장에 대한 부분에 많은 연구를 했고, 혈관은 인체 전체로부터 피를 받아오거나 내보낸다고 저술했습니다.해부학이 언제부터 처음 시작되었는지 알수 없으나 인류의 역사와 같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학문 /
역사
23.12.07
0
0
고려의 광종이 도입한 과거제는 어디서 유래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제도는 중국 수나라에서 처음 시행된 제도 입니다.중국왕조에 영향을 받은 한국에서 고려시대 최초 시행되었습니다.이전에는 인재를 뽑을 때 귀족 등 신분을 대대로 세습하거나 잘 아는 사람을 추천하고 추천자가 일종의 보증을 서는 천거 방식을 이용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7
0
0
고대 동서양에서 해부학을 금기시 된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시체가 부정하다는 믿음 때문으로 시체를 다루는 해부학은 악마의 학문이나 악마의 지식 그 자체로 받아들여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7
0
0
조선왕조실록은 언제부터 작성하기 시작하여 언제 완성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왕조실록은 1413년인 태종 13년 태조실록이 처음 편찬되었고 25대 철종실록은 1865년 고종 2에 완성됩니다.
학문 /
역사
23.12.07
0
0
인도에서는 돼지고기를 사기가 쉽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도는 불가촉천민들 사이에서나 잡아먹는 돼지를 더러운 동물로 보기 때문입니다.또한 꾸란에서 죽은고기와 피와 돼지고기를 먹지 말라고 명시되어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7
0
0
강조는 고려의 반역자인가요? 고려의 충신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사에서는 그를 반역 열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정변을 일으켰고 임금을 폐위, 시해한 것이 가장 크고 목종에게 멋대로 시호, 묘호, 능호를 올린것도 문제가 되었습니다.유교를 받아들인 조선에서 삼강오륜을 저지른 그를 위인으로 우대하지 않으며 고려사에서 죽을때 비로소 목종의 혼령에게 잘못을 빌었다는 식의 서술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7
0
0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