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고대 로마의 철학자이자 시인인 루크레티우스의 철학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루크레티우스는 철저한 무신론과 유물론에 기반해 합리론적 쾌락주의 입장을 취했습니다.-그대의 사랑하는 여인이 떠나면 그 모습이 떠오르고 그녀의 달콤한 이름이 귓가에 울리리라, 그러나 그대는 그 모습으로부터 벗어나 사랑을 끊어내고 그대 생각을 다른 데로 돌려 아무 몸안에 그대의 정액을 쏟아부어라, 단 한명의 애인을 위해 즐거움을 인내하면 피할수 없는 고통과 마주할 뿐이니 고름이 양분을 먹고 자라나 만성질환이 되고 하루하루 불안이 부풀어 그대를 짓누르리라, 그러니 새로운 일에 몰두함으로써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라, 자유롭게 배회하는 베누스를 뒤쫓아 배회하며, 그대의 혼란을 다른 곳으로 돌려라.
학문 /
철학
23.12.01
0
0
환단고기에 대한 궁금증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환단고기는 1979년 이유립이 출간한 유사역사학 서적으로 한민족의 상고사를 날조해 기술한 위서 입니다.환단고기의 저자 이유립과 그 추종자들은 이 책이 1911년 계연수라는 인물에 의해 저술되었고 소위 환국이라 하는 단군 이전의 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의 역사를 모아 편찬한 귀중한 책이라 주장합니다.
학문 /
역사
23.12.01
0
0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을 죽인 전염병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을 죽게한 전염병은 천연두 입니다.그러나 천연두는 인류가 처음으로 박멸한 병이기도 합니다.
학문 /
역사
23.12.01
0
0
관포지교라는 고사성어에는 어떤 인물이 등장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관포지교에 나오는 인물은 관중과 포숙아 입니다.관중은 일하기를 함께하면서 항상 자신의 몫을 더 가져가나 포숙아는 이에 대해 관중이 자신보다 가난하다며 이해합니다.관중이 벼슬길에 세번이나 실패했을 때도 포숙아는 그를 위로하며 그저 운이 아니라 합니다.전쟁터에서 관중이 겁을 내고 도망칠때에도 포숙아는 그를 변호, 관중이 죽으면 그의 노모를 누가 돌볼것이냐고 이야기해줍니다.관중은 포숙아가 자신을 가장 잘 이해하는 사람임을 인지, 후에 관중과 포숙아가 각자 다른 주군을 모시게 되었을때 포숙아의 주운이 이기고 관중을 죽이려하나 포숙아는 관중을 재상으로 삼도록 설득합니다.관중이 죽기 전 포숙아를 후임으로 추천하려 하나 포숙아는 자신이 너무 정직하다 거절, 관중은 이를 듣고 포숙아가 큰 일을 사소한 인연으로 망치지 않는 사람임을 다시한번 인지하며 , 두친구의 사이의 끊임없는 이해와 충성, 서로에 대한 깊은 유대감을 보여줍니다.
학문 /
역사
23.12.01
0
0
우리나라에 병원이 생기게 된 역사적 과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중원은 고종의 명에 의해 1885년 4월 10일 개원한 최초의 서양식 왕립병원으로 설립 당시 이름은 광혜원이었습니다.개원 13일 만인 4월 23일 고종은 대중을 구제한다는 뜻의 제중원이란 이름을 하사해 광혜원에서 제중원으로 변경되었습니다.갑신정변이 실패 후 국가에 압류된 홍영식의 집을 수리해 부지로 사용, 당시 선교사 겸 의사였던 호러스 뉴턴 알렌을 고용해 병원을 운영했습니다.1884년 갑신정변 때 고종과 명성황후의 인척이자 측근이었던 민영익은 개화파 자객에게 피습당해 13번이나 칼에 찔려 중태, 이때 묄렌도르프가 미국인 선교사 의사였던 호러스 뉴턴 알렌을 고종에게 추전, 알렌으로부터 서양 의술로 치료받은 민영익은 목숨을 구하고 소생하게 됩니다.ㅣ이에 감복한 고종은 알렌에게 고마움을 표시하기 위해 비단옷, 부채, 도자기 등을 선물하는데 이때 알렌은 고종에게 서양식 병원 설립을 제의하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12.01
0
0
선무도라는 무술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선무도는 위빠사나라 불리는 수행법으로 안반수의경에 전하는 전통 수행법 입니다. 본래 불교금강영관이라 해 부처님으로부터 전수되어 온 수행법입니다.깨달음을 위한 실천적 방편으로 요가, 명상을 아우르는 관법수행입니다.
학문 /
역사
23.12.01
0
0
자승 승려의 소신공양처럼 역사적인 소신공양은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고종 충담스님의 경우 경기도 가평군의 감로사 근처에서 손수 좌대를 만들고 그 위에 가부좌를 틀고 불을 붙여 소신공양했습니다.베트남의 틱꽝득 또한 전세계로 보도된 가장 유명한 소신공양의 사례입니다.
학문 /
역사
23.12.01
0
0
공민왕과 노국대장공주에게 자식이 없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사에 따르면 공주를 시중들던 몽골인 내관 팔사불화가 최안도의 아들 최원에게 구타당하는 것을 보고 유산을 겪었고, 이후 오래 임신하지 못했다고 합니다.1364년 아이를 가졌으나 다음해 음력 2월 16일 난산으로 인해 승하하는 비운을 맞았으며, 태중에 있는 아이까지 세상을 뜨고 말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1
0
0
뭉크의 절규에 나온 핏빛 노을은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는 이 그림에 다음과 같은 글을 덧붙입니다.'두 친구와 함께 산책을 나갔다. 햇살이 쏟아져 내렸다. 그때 갑자기 하늘이 핏빛처럼 붉어졌고 나는 한 줄기 우울을 느꼈다. 친구들은 저 앞으로 걸어가고 있었고 나만이 공포에 떨며 홀로 서있었다. 마치 강력하고 무한한 절규가 대자연을 가로질러가는 것 같았다.'붉은 구름은 불타고있는 것처럼 공포스러운 화면 효과를 나타내며 절망적인 심리상태를 표현합니다.
학문 /
미술
23.12.01
0
0
고려당시에 발해 멸망후 생긴 정안국은 어떤 국가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안국은 발해 귀족 출신인 열만화가 938년 경 서경 압록부 지역에서 건국한 나라로, 986년 거란에게 멸망했습니다.거란의 야율아보기는 926년 발해를 멸망시키고 그 땅에 동란국이라는 괴뢰국을 세우고 태자인 야율배를 왕으로 삼아 발해 지역을 다스리게 합니다. 928년 동란국이 거란 내부 사정으로 랴오양으로 옮겨가자 발해의 옛 지역은 발해의 태자인 대광현에 의해 다스려지게 되며 이때 남경 남해부 출신의 발해 귀족 열만화는 대광현의 숙부이자 발해의 마지막 왕인 대인선의 동생을 도와 발해 태자 대광현을 밀어내고 후발해를 세우는데 큰 공을 세웁니다.이 시기 발해 귀족 등 유민들이 고려로 많이 귀순한 점으로 보아 이때 후발해에 심각한 내분이 있었던것으로 보이며 934년 발해 태자 대광현은 무리 수만명을 이끌고 고려 태조 왕건에게 귀순, 이에 왕건은 발해의 태자 대광현에게 왕계라는 성명을 하사, 왕실 호적에 올리며 함께 온 발해 관리들에게 작위를, 병사들에게 집과 밭을 하사했습니다. 938년 발해인 박승이 3000여 호를 이끌고 고려로 넘어왔고, 936년 열만화는 남경 남해부에서 서경 압록부로 이동, 938년 경 정안국을 건국합니다.열만화를 도와 정안국을 건설한 오제현의 후손으로 제 2대 왕인 오현명은 원흥 이라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 오현명 왕 때에 이르러 정안국은 송나라와 연합해 거란을 토벌하고자 하나 두 차례 걸친 거란의 공격으로 받아 986년 멸망하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12.01
0
0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