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세계 물 마시는 문화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독일 즉 유럽쪽에서는 생수는 보통 6병짜리를 한 패키지로 묶어 판매되고 있으니 유럽 쪽이 아닐까 하는 추측이 되네요
학문 /
음악
23.12.01
0
0
고려장의 역사정 진실과 배경은?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장은 설화 입니다.우리나라는 고대 문헌을 보아도 이러한 기록이 없고, 설화로 존재하던 이야기를 일제강점기 시기 일본제국에서 조선 내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제작한 조선의 동화를 다룬 동화집에 실려있는데 이렇게 설화로 여겨지던 이야기가 어느 순간 역사로 받아들여진 것으로 추정합니다.
학문 /
역사
23.12.01
0
0
삼성이라는 기업에 탄생 역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성그룹은 19398년 3월 창업자 이병철 회장이 대구에 세운 삼성상회에서 출발합니다. 삼성 상회는 당시 자본금 3만원으로 설립, 이때 주요 취급 품목은 대구 특산품인 능금과 동해의 건어물 등이었고 삼성상회는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지로 수출하는 한편 국내에서는 영남지역에 농산물을 가공, 판매했습니다.1948년 사업의 무대를 영남에서 수도권으로 확대, 같은 해 11월 서울시 종로구 종로 2가에 삼성물산공사를 창립,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무역업을 활성화하며 1950년 국내 무역업계 1위로 올라설 만큼 사업이 번창합니다.1951년 1월 무역업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 상호를 삼성물산주식회사로 변경합니다.이병철회장은 모기업인 삼성물산을 기반으로 무역업, 내수 시장을 중심으로 한 다른 업종에도 진출, 1953년 제일제당공업주식회사를 세우고 1954년 제일모직주식회사를 설립, 1958년 안국화재를 인수해 보험업계로 사업 영역을 넓혔고 1993년 12월 상호를 삼성화재로 바꿉니다.1963년 동화백화점과 동방생명을 인수, 동화백화점은 인수와 동시에 상호를 신세계 백화점으로 변경, 동방생명은 1989년 삼성생명으로 바꾸며 1964년 한국비료를 설립, 이는 당시 단일 비료 생산 설비로는 세계 최대 규모였습니다. 1964년 동양방송을 설립하였고 1965년 중앙일보를 창간, 방송과 언론 사업을 병행합니다. 같은 해 10월 신문용지를 자체 수급하기 위해 새한제지를 인수, 1968년 8월 상호를 전주제지로 바꿉니다.삼성그룹은 160년대 이미 각종 사업에 투자하여 그룹의 면모를 크게 일신, 그러나 이러한 기업의 성장에 명암이 교차되는데 1966년 9월 한국비료의 사카린 밀수는 삼성그룹으로서는 뼈아픈 고통과 반성을 요구하는 것이었고 이 사건으로 이병철 회장은 한국비료를 국가에 헌납, 삼성그룹의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나 1년 여동안 장고를 거듭한 이병철은 1968년 경영 복귀를 선언, 전자산업에 대한 계획을 갖고 수원에 대규모 공단 부지를 매입해 오늘의 삼성전자를 세웠습니다.1970년대 들어 삼성그룹은 다방면에 걸쳐 계열사를 설립, 1970년 1월 삼성 NEC를 설립, 같은 해 3월 삼성전관으로 바뀌며, 1972년 제일합섬주식회사를 설립, 1973년 제일기획, 5월 호텔 신라의 전신인 임페리얼, 8월 삼성산요파츠, 1873년 12월 삼성코닝을 설립합니다.1974년 7월 삼성석유화학, 8월 삼성중공업을 세우고 12월 반도체 사업에 뛰어들어 한국반도체 인수합니다.1975년 삼성그룹의 모기업인 삼성물산이 국내 최초로 종합상사 1호로 지정받아 국내 무역업계 대표주자로 떠올랐고 이로써 삼성그룹과 계열사의 각종 수출업무는 삼성물산으로 일원화되어 보다 큰 시너지 효과를 거둘수 있었습니다.1977년 삼성종합건설을 설립하는데 이 회사는 1993년 7월 삼성건설로 변경, 1995년 12월 모기업인 삼성물산에 합병됩니다.1977년 삼성조선은 1983년 1월 삼성중공업에 합병, 1987년 삼성정밀은 삼성항항공산업으로 상호를 변경, 코리아엔지니어링은 1991년 삼성엔지니어링으로 변경됩니다.1979년 이병철의 3남인 이건희가 삼성물산 부회장으로 승진, 그는 1987년 11월 이병철 회장이 타계 후 2대 삼성그룹 회장으로 취임, 그는 1980년대 계열사의 설립 및 인수 합병을 진행, 1980년 한국전자통신을 인수, 이 회사는 1982년 삼성반도체통신으로 상호를 변경합니다.1982년 삼성라이온즈, 1983년 삼성시계 설립, 1985년 호암아트홀 개관, 같은 해 삼성시스템을 세워 1997년 삼성SDS로 변경합니다.1986년 삼성경제연구소 발족, 1987년 삼성종합기술원 개원, 1988년 KOCA 카드사 인수, 1995년 9월 삼성카드로 변경, 1988년 5월 충남 대산단지에 삼성종합화학을, 이어 7월 삼성BP화학을 설립합니다.1990년대 들어 계열 분리를 시작하였고, 이건희 경영체제에서도 지속적으로 계열사를 설립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1
0
0
낙랑국도 독립적인 국가 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낙랑국은 원삼국시대에 한반도 북부에 있었다고 추정되는 국가입니다.위치나 이름 때문에 한사군 , 낙랑군과 어떤 관계였는지 논란중이며, 이 둘의 학설로는 고전적인 시각은 최씨낙랑국은 낙랑군으로 , 이병도 등 이설을 따랐습니다.이는 외방의 군에 살던 토착주민들이 기존의 군 체계를 뺴앗아 독립하여 최리를 왕으로 내세웠을수 있다고 말하는데 실제 낙랑국을 기록한 대무신왕 시대 중국은 왕망의 신나라가 실정을 거듭해 혼란기였으나 중앙 권력이 없을 때 낙랑군과 같은 외지의 군이 독립하고 왕국을 자칭하는 일은 개연성이 있습니다.이전의 낙랑군이 독립해 최씨 낙랑국을 세운것으로 추정합니다.
학문 /
역사
23.12.01
0
0
"백골난망"의 유래가 어떻게 되는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백골난망은 옛 중국 문헌에서 유래된 것으로 당시 농부가 소를 끌고 밭을 갈던 중 소가 갑자기 쓰러져 죽었고 농부는 소를 묻고 슬퍼하며 고인이 된 소에게 큰 은혜를 기리기로 합니다.그 후 몇년이 지나 농부는 소의 뼈가 묻힌 곳에 아름다운 꽃이 핀 것을 발견, 그 꽃의 모습에서 자신이 잊지 못할 은혜를 떠올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12.01
0
0
"백골난망"과 "각골난망"의 표현은 같은 의미 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백골이 되어 은혜를 잊지 않겠다고 하는 백골난망 역시 각골난망 과 유사하게 쓰입니다.백골난망- 죽어서 백골이 되어도 잊을 수 없다로 은혜를 입은 깊어 고마움이 죽어서도 잊혀지지 않는다는 뜻각골난망- 뼈에 새겨 잊지 않는다로 남이 베품 은덕에 대한 고마움을 마음 속 깊이 사무치어 잊을 수 없다는 뜻입니다.
학문 /
역사
23.12.01
0
0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의 가장 큰 목적은 뭘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대일로는 육지 기반의 실크로드 경제벨트로 철도를 이용해 무역을 하겠다는 것, 해상 기반의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계획으로 나뉩니다.이는 중국이 국제 사회에서 더 큰역할을 노리는 한편 철강산업처럼 중국 내 생산능력이 필요 이상으로 과다한 분야의 문제를 해소하는데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1
0
0
동로마와 서로마의 분열 원인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네, 우리가 부르는 비잔티움 제국은 동로마 입니다.이는 동로마 제국이 멸망하면서 후에 서양이 붙인 이름입니다.테오도시우스 황제는 아들인 아르카디우스와 호노리우스에게 각각 로마의 동, 서쪽을 나누어 통치하게 했는데 이는 제국의 영토가 넓어 좀 더 효율적으로 통치하기 위한 조치였습니다.그러나 각각 동쪽, 서쪽의 제국을 물려받은 이들의 생각은 달랐는데 특히 동로마의 군신들은 서로마를 낮게 보아 동로마의 안전만 최우선으로 생각, 서로마는 관심을 두지 않았습니다.때문에 서로마가 이민족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침입을 받을 때에도 구원군을 보내지 않았고, 동로마로 침입해 온 이민족을 회유해 서로마쪽으로 발길을 돌리게 만들기도 했습니다.이에 동로마와 서로마의 유대감은 사라지면서 완전한 분할로 이어지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12.01
0
0
러시아 제국이 동로마를 계승한 국가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러시아는 다른 국가들과 달리 서로마가 아닌 동로마 계승을 통해 로마 제국의 후예를 자처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1
0
0
울산에 있는 석남사의 유래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824년 도의국사가 창건한 절이며, 임진왜란을 겪은 후 1674년 언양현감의 시주로 중건되었습니다. 6.25전쟁으로 나라가 혼란한 와중 폐허가 되었다가 1959년 복원, 이때부터 비구니들의 수련도량으로 그 면모를 갖추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12.01
0
0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