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역사사극에서 보면 백성들을 민초라고 부르던데 민초의 정확한 뜻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민중을 잡초에 비유한 말로, 여기저기 그 수가 많고 하찮게 여겨지지만 밟혀도 죽지 않고 일어나는 잡초와 같은 민중들의 특성을 강조할 때 사용되는 말입니다.
학문 /
역사
23.11.28
0
0
유교는 어떻게 조선시대에 입지를 늘린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전기 정도준, 조준, 남은 등의 신진사대부는 고려를 멸망시킨 뒤 조선을 건설하면서 국가 이념으로 성리학을 채택, 이에 전국의 부, 목, 군, 현마다 1개의 향교를 겅설해 유교 이념의 전국적인 보급을 꾀합니다. 독자적인 철학의 발전은 여전히 미미했으나 전국에 양반 계층이 자리잡은 것은 후대 성리학을 지배이념으로 강고히 굳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8
0
0
검사에게 영감님이라는 호칭을 쓰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감은 令監의 한자로, 조선시대 정 3품과 종 2품의 당상관을 높여 부르던 말이었습니다. 이것이 조선시대 중기 80세 이상의 나이 많은 노인들을 영감이라 부르기 시작하면서 후대에 와서 나이든 남자 어른은 다 영감이라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8
0
0
절에가면 건물상단의 점세개 표시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법당의 점 세개는 전우주의 왕인 법신, 보신, 화신을 뜻하는 삼신을 의미합니다.
학문 /
미술
23.11.28
0
0
제주도 관광을 가면 곳곳에 돌하루방이 있는데요 유래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돌하르방의 유래에 대해 다양한 설이 있습니다.북방기원설- 몽골로부터 전파되었다는 학설로, 몽골의 훈촐로오와 연관이 있다는 것에서 유래한 학설입니다.남방기원설- 남태평양에 있는 발리 섬의 석상문화가 해류를 타고 제주도까지 전파되었다는 설로, 대만에서부터 시작된 폴리네시아계 민족들의 대항해 과정에서 제주도가 영향을 받았으리란 견해 입니다.한반도 본토 유래설- 조선 중후기, 한반도 남부 지방의 석장승 문화가 제주도를 건너가면서 변형된 형태로 제작되었다는 가설입니다.자체생성설: 말 그대로 제주도에 거주하던 고대인들이 어떤 문명의 영향도 받지 않고 독자적인 형태로 제작했다는 가설 입니다.
학문 /
역사
23.11.28
0
0
테니스선수들은 짧은 치마을 언제부터 입기 시작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지금과 가장 유사한 테니스 패션의 원존느 1949년 윔블던 대회에 첫 출전한 구지 모란이라는 선수의 복장으로 그녀는 짧은 스커트와 레이스 장식이 된 속바지를 입고 대회에 등장, 이는 첫 출전 기념으로 다양한 색상의 경기복을 입으려다 윔블던의 반대로 무산되자 생각해낸 아이디어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8
0
0
생일이면 일반적으로 미역국을 해먹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신상 풍습에서 유래된 것으로 삼신상에 올리는 음식상은 보통 미역국과 밥을 3그릇씩 차리게 됩니다.삼신상을 차림으로써 태어난 아기 및 산모가 겪을수도 있는 불운과 재앙을 예방, 복과 장수를 빌었습니다.또한 미역에는 각종 영양분이 풍부하며 요오드 성분이 많아 혈액을 깨끗하게 하고 모유 분비에 도움이 되어 우리나라는 출산 후 제일 먼저 먹는 대표적인 음식이 미역국 입니다. 미역국은 아기가 태어난 날을 상징하기도 하며 한국인의 생일에 미역국을 먹는 것도 어머니가 자식을 낳은 후 처음 먹는 국이기 때문이며 부모의 은혜를 잊지 않고 기억하며 , 어머니에게 존경하는 마음을 담기 위해 생일날 미역국을 먹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8
0
0
술을 마시면 담배가 땡긴다고 하는데요 왜 이런 증상이 일어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술과 담배가 뇌에 작용하는 기전이 비슷하기 때문으로, 둘 다 쾌락을 느끼게 하는 신경전달물질 도파민을 분비, 음주 후 도파민이 분비되면 뇌는 담배 피울때 느꼈던 경험을 떠올려 더 많은 쾌락을 느끼고자 하며, 이렇게 술, 담배 등으로 도파민이 자주 분비되면 뇌는 술과 담배의 관계를 기억하고 계속 쾌락을 느끼고자 하는 보상작용이 발생하게 됩니다.그래서 다음에 술 마실때도 계속 흡연충동이 생깁니다.
학문 /
미술
23.11.28
0
0
미술 분야에서 추상표현주의 장르는 어떤 특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뉴욕을 중심으로 일어난 추상회화의 경향을 말하며 형식은 추상이나 내용은 표현주의적 이라는 의미입니다.추상표현주의라는 용어가 미국 미술계에 적용된 것은 1946년으로 미술 평론가 로버트 코츠가 뉴요커 지에 호프만의 작품을 설명하면서 부터이며 이후 추상표현주의는 잭슨폴록, 마크 로스코, 윌렘 드 쿠닝 등의 즉흥적이고 표현적이며 감정적인 새로운 형태의 추상미술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추상표현주의 작품은 작가의 움직임이나 터치 등의 제스처를 그대로 화면에 옮긴 듯한 붓터치나 물감의 흔적을 보여주며 이런 자필적 제스퍼는 작가의 정신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 종종 바넷 뉴면의 zip 작품에서 볼 수있는 수직선과 같이 작가별로 특징적인 시그니처 스타일의 형성으로 이어졌습니다.추상표현주의 작품은 주로 평면적이고 비구상적이며, 어떤 중심적 구도나 방향성이 설정되지 않고 전체가 균일하게 표현 즉, 주나 부의 관계없이 다시점 혹은 무시점이며 화면 전체가 동일한 방법 및 강도로 그려지고 화폭의 테두리까지 가득 채우는 것이 대부분입니다.작가로는 잭슨폴록, 빌렘 데 쿠닝, 프란츠 클라인, 마크 로스코, 모리스 루이스 등이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11.28
0
0
조선시대에 남자가 결혼을 하면 상투를 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어른 대접을 받기 위해서 입니다.나이가 어려도 일찍 결혼을 하면 상투를 틀면 어른대접을 해줬고, 반대로 나이 먹고도 결혼하지 못해 상투가 없으면 어른 대접을 받지 못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8
0
0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