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항복의 상징인 흰색은 어디서 시작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사적으로 처음 백기가 항복의 의미로 사용된 것은 제 2차 포에니 전쟁 때 카르타고 군함이 하얀 천과 올리브 가지를 항복의 표시로 내걸었다는 기록입니다.서기 69년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측과 비텔리우스 측이 맞붙은 베드리아쿰 전투에서도 비텔리우스 측이 항복한다는 의미로 백기를 내걸었다는 내용이 로마의 역사학자 타키투스에 의해 기록된 바, 로마제국 시절부터 백기가 항복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23
0
0
우리나라 김장의 유래는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장의 기원에 대해 정확한 것은 없습니다. 다만 조선시대부터 이른바 품앗이 라 하여 마을 사람들이 서로의 일을 다함께 돕는 문화가 있었고 그 과정 도중 김치를 담그던 것이 오늘날의 김장 문화로 이어진 것으로 추측합니다.
학문 /
역사
23.12.23
0
0
사자성어 새옹지마의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새옹지마의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옛날 중국의 북쪽 변방에 한 노인이 살고있었는데, 어느날 이 노인이 기르던 말이 멀리 달아나버렸다. 마을 사람들이 이를 위로하자 노인은 '오히려 복이 도리지 누가 알겠소' 라고 말했다.몇 달이 지난 어느날 그 말이 한 필의 준마를 데리고 돌아왔다. 마을 사람들이 이를 축하하자 노인은 '도리어 화가 될는지 누가 알겠소' 라며 불안해 했다. 그런데 어느 날 말타기를 좋아하는 노인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 다리가 부러졌다. 마을 사람들이 이를 걱정하며 위로하자 노인은 '이것이 또 복이 될지 누가 알겠소' 라며 태연하게 받아들이는 것이었다. 그로부터 1년이 지난 어느날 마을 젊은이들은 싸움터로 불려 나가 대부분 죽었으나 노인의 아들은 말에서 떨어진 후 절름발이였기 때문에 전쟁에 나가지 않아 죽음을 면하게 되었다.
학문 /
역사
23.12.23
0
0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을 풀이하면 어떤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은 국각상에 있는 넓은 영토를 개척하고 나라를 평안하게 한, 좋고 큰 임금님이라는 뜻입니다.
학문 /
역사
23.12.23
0
0
고대 그리스는 인체를 묘사한 조각상이 유독 많은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대 그리스 문화는 인간 중심의 가치를 강조했으므로, 인간의 미적가치와 윤리적 가치를 강조했습니다.이에 인체를 자주 사용해 표현하게 되었고, 인간의 아름다움과 완벽성을 묘사하는 것이 예술과 철학에 중요한 주제로 자리잡았기 때문입니다.대표적으로 미로의 벤스, 디스쿠스 등이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12.23
0
0
통일 신라 때 설치된 국가기관인 성전이라는 곳은 어떤 역할을 수행하던 곳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전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영창궁과 왕실 사원의 건립 , 운영, 제사의례 등을 지원하던 관부입니다.성전에는 일반 관청과는 다른 장관으로 금하신, 그 이하에 상당, 적위, 청위, 황위 등 특수한 관직명의 관원들이 확인되며 성전은 영창궁 및 왕실사원의 건립을 비롯해 종 , 탑의 조성 등 각종 불사, 그곳에서 베풀어진 국가의 제사 의례를 행정적, 재정적으로 뒷받침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23
0
0
조선시대의 도승지는 어떤 임무를 수행한 직급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승정원의 육승지 중 수석 승지로서 도령이라 하며, 정삼품 당상관으로 승정원의 6방 중 이방의 사무를 관장했습니다.홍문관, 예문관의 직제학과 상서원의 정을 겸임했으며 도승지를 한번 지내면 하위직으로 내려갈수없습니다.1392년 개국과 함께 중추원에 도승지를 두었다가 1400년 중추원의 승지가 독립해 승정원이 되며 1401년 지신사로 고쳤다, 세종 때부터 승정원에 도승지와 그 밑에 좌승지, 우승지, 좌부승지, 우부승지, 동부승지 등 모두 육승지를 두며 모두 정삼품 강상관으로 정원은 각 1원이었습니다.왕이 내리는 교서나 신하들이 왕에게 올리는 글 등 모든 문서가 승정원을 거치므로 도승지는 왕의 비서장 격으로 그 임무가 매우 중대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23
0
0
도루묵이라는 말의 유래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도루묵이 언급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채무이의 둘째부인 순천 김씨의 묘에서 출토된 편지에 나오는 돌목 입니다. 이후 발음이 변해 조재삼의 송낭잡지에 도로목 이라는 차자 표기가 확인됩니다.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민담이 전해지는데피난길에 오른 어느 왕이 묵어를 먹었는데 이렇게 맛있는 생선이 이름이 너무 형편없는 것을 불쌍하게 여겨 앞으로 은어 로 부르도록했는데 후일 환궁 후 이 생선 맛이 떠올라 다시 먹어봤는데 예전만큼 맛있지 않아 도로 묵어 라고 하라 명했고 이것이 도루묵의 유래입니다.
학문 /
역사
23.12.22
0
0
고리타분하다 라는 말의 어원은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리타분의 고리는 르완다어 gorora의 과거형 goroye에서 유래한 것으로 평범하게 퍼진 지나간 시간을 의미합니다.타분은 르완다어 tabwa는 버려지다, 잃다의 뜻으로 na는 함께의 뜻을 가집니다.타분은 르완다어 tabwa+na 에서 유래한 것으로 함께 폐기된 것을 의미합니다.
학문 /
역사
23.12.22
0
0
해동성국 이름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해동성국은 발해를 바다 동쪽에서 번성한 나라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중국에서 부른 말입니다.
학문 /
역사
23.12.22
0
0
73
74
75
76
77
78
79
80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