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세금·세무
자격증
1가구 2주택에서 주택에 예외되는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세대 2주택 규정은 일시적으로 1세대 1주택자가 이사를 가기 위해 신규주택을 취득한 상황이거나 상속 등의 이유로 상속주택이 생긴 경우, 또는 이농주택, 귀촌주택 등에 대해 기존 주택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이를 1세대 1주택으로 보아 비과세해주는 규정입니다. 해당 주택의 기준시가가 1억원 이하일 경우에도 주택으로 보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이 경우에 해당되실 수도 있습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7.28
0
0
증여세관련하여 질문드려봅니다 꼭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그 금액이 사회통념상 친구 간 오갈 수 있는 금액을 넘어설 경우에는 당연히 증여세 신고대상이 됩니다.2. 아버지로부터 용돈, 일당 형식으로 주기적으로 입금하는 것 역시 사회통념상 타당한 금액이기 때문에 별 문제는 없을 것입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7.28
0
0
일시적 1가구 2주택 양도소득세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 1세대 1주택과 조정대상지역에 관한 세법이 매년 급변하고 있기 때문에 22년에는 지금과 같으리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다만 현재의 기준으로는, 조합아파트 분양권이 조정대상지역이 아니거나, 조정대상지역이더라도 공고 전에 취득한 것일 경우 신규주택의 취득일로부터 3년 이내 기존주택을 양도하면 그에 따른 양도소득은 비과세될 수 있습니다. 조정대상지역일 경우에는 신규주택의 취득일로부터 1년이내 세대전원이 이사를 가고 전입신고를 완료한 상태로 1년 이내 기존주택을 양도하였을 경우에만 비과세됩니다. 이를 참고는 하시되, 차후 법이 바뀔 수 있으니 유의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7.28
0
0
주식을 자식에게 양도하거나 증여시 세금에 유리한건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주식에 대한 증여, 양도는 우선 주식의 시가가 얼마인지가 중요합니다. 그런 뒤 증여 또는 양도 중 절세되는 방안으로 선택하시면 되는데, 우선 증여의 경우 자녀에게는 10년간 최대 5천만원의 증여재산공제가 가능하므로 시가가 2억원일 경우 1억 5천만원에 대해 증여세를 계산하며 이때의 세금은 약 2천만원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주식의 시가가 가장 낮게 될만한 시점에 증여를 하시거나, 10년을 주기로 5천만원씩 증여하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양도의 경우에는 특수관계인 간 거래이기 때문에 양도가액을 시가의 5%이상 차이나지 않게 해야하며, 실제로 대금 이체내역이 존재하여야하고, 자녀분의 경우 해당 자금의 출처 역시 증명하셔야합니다. 해당 자금의 출처가 부모로부터 증여받은 대금일 경우 이에 따른 증여세가 추징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가까운 세무사사무실에 방문하시어 상담받으셔서 최적의 절세방안을 찾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7.28
0
0
상속으로 받은 주택을 철거후 대지로 양도시 양도세율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상속받은 주택으로 인해 1세대 2주택이 된 경우 기존에 소유하시던 주택을 양도할 경우 양도소득세는 비과세됩니다. 상속주택을 먼저 양도하실 경우엔 비과세되지 않으므로 세금을 납부하셔야 하며, 상속주택을 상속개시일로부터 5년을 넘어 양도하실 경우 해당 주택이 조정대상지역에 있을 때 한하여 중과세됩니다. 철거 후 대지를 양도하여도 양도소득세는 납부하셔야하며, 이때의 양도세율은 누진세이므로 보유기간, 조정대상지역 여부, 양도차익금액에 따라 천차만별로 달라집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7.28
0
0
거래처의 갑작스런 폐업으로 세금계산서를 못받았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상대방 사업자의 사망, 폐업 등의 이유가 있을 경우 매입자가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있는 매입자발행세금계산서 제도가 있습니다. 매입자 분 께서 세금계산서 발급 시기부터 3개월 이내에 거래사실 확인신청서에 영수증 또는 무통장입금증 등 거래사실 입증자료를 첨부하여 매입자 관할 세무서장에 신청하실 수 있으며, 매입자 관할 세무서에서 해당 거래에 대한 사실관계를 검토 후 인정받을 만한 사실관계일 경우 공급자 관할 세무서장에게 송부하여 공급자 관할 세무서장이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세금계산서 발급 시기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세무서장에게 신청하시면 됩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7.27
0
0
언니가 청주직행버스터미널근처에 있는지역조합아파트를 분양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친족간의 양도는 그 양도금액을 시가의 95%를 최저로 하여 설정하여야 합니다. 그 이하로 낮출 시에는 조세를 부당하게 회피하려는 행위로 보아 시가를 양도금액으로 보고 다시 계산하게 됩니다. 또한 해당 양도자금이 실제로 이동을 하여야하며, 그 자금의 출처 또한 언니의 따님분 쪽 소득임이 확실히 증명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실제로 양도행위가 이루어졌는가를 직접 증명하셔야 하며, 이를 증명 못할 경우 증여행위로 보아 증여세를 과세하게 됩니다. 따라서 해당 자산을 어떻게든 언니 따님 분에게 주고싶으시다면 담보된 채무와 함께 증여하여 부담부증여로 하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실제 해당 자산의 취득시점, 시가 등에 따라 천차만별로 세금이 달라질 수 있으니 가까운 세무사 사무실에 방문하시어 컨설팅을 받아보심을 권해드립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7.27
0
0
자취방은 전입신고를 해야하나요? 하면 이득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소득이 있으신 경우 월세액세액공제를 받으실 수 있고, 이때에는 반드시 전입신고가 되어 있어야만 합니다. 이러한 세법적 이유 외에도 지불한 보증금에 대해 확실한 보장을 받고자 주민센터에 전입신고를 하고 임대차계약 확정일자를 받아 놓기도 합니다.
세금·세무 /
취득세·등록세
20.07.23
0
0
세금계산서는 왜 발행해야할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세금계산서나 신용카드 매출전표 모두 부가가치세 및 소득세(법인세) 계산 시 적격증빙으로 인정받습니다. 따라서 둘 중 하나만 발급가능하시며,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고 이에 따른 대금 결제를 신용카드 등으로 하신 경우에만 2장이 발급가능하며, 이때에도 둘 중 하나만 비용으로 공제가능합니다. 그러니 광고주의 사업 방식이나 선호하는 적격증빙이 세금계산서라 그런것 아닐까 예상됩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7.23
0
0
담배 한 갑에 세금은 얼마나 내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한갑에 4,500원하는 담배를 기준으로 담배소비세 1,007원, 지방교육세 443원, 국민건강증진기금 841원, 폐기물부담금 24원, 개별소비세 594원, 부가가치세 409원으로 세금 및 부담금이 총 3,318원입니다. 약 73.7%의 세금 및 부담금을 부담하시는 것이며, 전자담배의 경우에도 액상 전자담배 등에 대해 세금이 부과되고 있습니다. 관련 세금 및 부담금은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기금, 국민건강보험공단 가입자 지원, 금연교육 등에 사용된다고 합니다.
세금·세무 /
종합소득세
20.07.23
0
0
1567
1568
1569
1570
1571
1572
1573
1574
1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