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24절기중 경칩은 어떠한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2시가 넘었으니 오늘이 경칩이네요.경칩은 개구리가 잠에서 깬다고 하는 24절기 중 세 번째 절기로 계칩이라고도 합니다.보통 양력 3월 5일무렵인데요. 우수와 경칩은 새싹이 돋는 것을 기념하고 본격적인 농사를 준비하는 중요한 절기로 우리 조상님들이 소중히 생개했던 절기입니다. 경칩이 되면 날씨가 따뜻해져서 삼라만상이 겨울잠을 깬다고 하네요.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감사합니다 ^^
학문 /
역사
23.03.05
0
0
경기도 수원의 화성의 길이는 얼마나되나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수원 화성은 조선 후기 정조가 정약용에게 요청하여 마는 성곽으로 총 길이 5.7킬로미터에 달한다고 합니다.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수원 화성은 당쟁의 여파로 뒤주에서 죽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를 현재 서울 전농동 서울시립대학교 뒷산 즉 양주 배봉산에서 수원 화산(花山)의 현륭원으로 옮기고 수원읍을 팔달산 아래 넓은 기슭으로 이전하면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아요+추천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학문 /
역사
23.03.05
0
0
정약용선생의 거중기로 지어진 건축물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792년에 만들어진 수원 화성입니다.정약용이 만든 거중기는 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해 작은 힘으로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도구입니다.정조가 아버지의 묘를 참배하기 위해 들렸던 수원에 성곽 건축을 명령하자 정약용은 무거운 돌을 들 수 있는 거중기를발명했습니다. 거중기를 사용하여 화성의 완성 시기를 많이 앞당겼다고 합니다.거중기는 중국에서 들여온 '기기도설'이란 책을 참고해 만들어졌습니다.'화성성역의궤'에는 완전히 조립된 거중기의 전체 그림과 각 부분을 분해한 그림이 담겨 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3.04
0
0
절차탁마의 의미와 유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절차탁마(切磋琢磨)는 '끊을 절, 갈 차, 다듬을 탁, 갈 마'로 된 사자성어로 옥돌을 자르고 줄로 쓸고 끌로 쪼고 갈아 빛을 내다라는 뜻입니다.즉 학문이나 인격을 갈고 닦음을 이르는 말입니다.이 말의 유래는 자공과 공자가 '선명하고 아름다운 군자(君子)는 뼈나 상아를 잘라서 줄로 간 것처럼 또한 옥이나 돌을 쪼아서 사포로 갈고 닦은 것처럼 빛나는 것 같다.'라는 시경(詩經)출전(出典)의 구절에 대해 대화를 나눈 것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3.04
0
0
김은숙 작가님의 최고 작품은 뭘까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은숙 작가님 작품은 무조건 보는 일인입니다.저는 도깨비를 세번 정도 본 것 같습니다.너무 재미있게 봤구요. 미스터션샤인도 재미있었습니다. 역사적 사건과 관련지어서 재미있게 본 기억이 있습니다. 그밖에 시크릿가든, 상속자들, 태양의 후예 등도 인생 드라마입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2.27
0
0
고구려 백제에도 화랑같은 기관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구려의 교육기관은 삼국 중에서 가장 먼저 발달한 관학으로 태학이 있었고, 사학으로는 경당이 있습니다태학(太學)은 372년(소수림왕 2년)에 관리를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유학 교육기관입니다.태학이 상류층의 자제를 모아 유학을 중심으로 교육하는 관학(官學)인 데 반해, 고구려 후기에 설치된 경당은 일반 평민층이 그들의 자제를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 여기에서는 경전(經典)과 궁술(弓術)을 가르쳤으며 평양 천도 이후 경당은 각처에 설치되어, 문무를 겸비한 인재를 양성하였다고 합니다.백제는 오경 박사 제도가 있었습니다. 오경 박사 제도가 한(漢)나라에서 비롯된 것을 고려하면 백제의 교육기관도 한나라와 마찬가지로 태학(太學)이라고 불렸을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질문에 '좋아요' 와 답변에 ‘추천’과 ‘좋아요’ 은 아하 커뮤니티를 더욱 발전 시킬수 있습니다.그래서 저는 제가 답변하는 질문에는 '좋아요' 누르고 있습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2.23
0
0
무궁화는 어떻게 우리나라 국화로 선정된건가요?
안녕하세요. 무궁화는 1964년 대한민국의 국화로 지정되었습니다. 무궁화는 대한민국의 지리적 특성과 함께 살아가는 역사의 흔적으로서도 중요합니다. 대한민국은 지리적으로 바다와 산이 많아서 자연 환경이 여러 가지로 다양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무궁화는 산과 바다, 그리고 도시와 농촌 등 다양한 장소에서 자생하며 대한민국의 풍요로움을 상징합니다.이홍직은 “무궁화는 구한국 시대부터 우리나라 국화로 되였는데 국가나 일개인이 정한 것이 아니라, 국민 대 다수에 의하여 자연발생적으로 그렇게 된 것이다. 우리나라를 옛부터 ‘근역’ 또는 ‘무궁화 삼천리’라 한 것으로 보아 선인들도 무궁화를 몹시 사랑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라고 하여 조선 후기인 개화기를 거치면서 다시 무궁화를 우리나라의 상징화로 인식하게 되었다고 합니다.질문에 '좋아요' 와 답변에 ‘추천’과 ‘좋아요’ 은 아하 커뮤니티를 더욱 발전 시킬수 있습니다.그래서 저는 제가 답변하는 질문에는 '좋아요' 누르고 있습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3.02.23
0
0
미술사의 초현실주의란 어떤예술인가요?
안녕하세요. 초현실주의는 20세기 초에 유럽에서 발생한 예술 운동으로, 꿈과 상상력, 무의식적인 요소를 중시하는 현대미술의 한 양식입니다. 초현실주의 예술가들은 꿈이나 상상력에서 영감을 받아 현실적이지 않은 이미지를 표현하며, 흔히 일상적인 사물이나 현상을 왜곡하고 변형시켜서 표현합니다. 살바도르 달리의 작품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프로이드는 인간의 무의식을 중요한 개념으로 보았으며, 살바도르 달리 역시 무의식과 꿈에서 영감을 받아 그림을 그렸습니다.'살바로드 달리'에서 시계가 녹아내리는 모습은 시간의 흐름과 인간의 무의식을 연결짓는 상징적인 요소로 이해됩니다. 프로이드는 인간의 무의식이 정신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주장했으며, 이를 '자유연상'이라고 했는데 이는 무의식의 내용을 자유롭게 연상하면서 끊임없이 생각을 이어나가는 것으로, 살바도르 달리의 작품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그려졌다고 합니다. 또 인간의 정신적 상태에 대한 불안과 불확실성을 강조하는데, 이 역시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에서 다루는 주제 중 하나로 그는 인간의 정신적인 불안과 불확실성이 무의식의 충동과 충돌에서 비롯된다고 보았으며, 이와 같은 주제를 살바도르 달리의 작품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질문에 '좋아요' 와 답변에 ‘추천’과 ‘좋아요’ 은 아하 커뮤니티를 더욱 발전 시킬수 있습니다.그래서 저는 제가 답변하는 질문에는 '좋아요' 누르고 있습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3.02.23
0
1
병자호란때 끝까지 싸웠다면 이길수 있었을까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사에 만약은 없지만 병자호란 때 인조가 항복하지 않고 끝까지 싸웠다면 일반 백성들의 피해가 저 크긴 하겠지만 우리나라 민족성 상 아마 끝내는 이기지 않았을까 하는게 제 생각입니다.임진왜란 때도 수많은 의병과 승병들이 자진해서 왜군들과 싸웠던 것처럼 병자호란 때도 아마 끝끝내 이겼을 것으로 생각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2.22
0
0
조선시대의 농법인 직파법이라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요즘은 논에 모를 심을 때 못자리의 모를 논에 옮겨 심습니다. 이를 이앙법이라고 하는데 벼농사를 하려면 못자리를 만들어 따로 모를 길러야 하며, 모내기를 위해서 물을 담수 처리할 수 있는 조건이 구비되어야 합니다. 이런 이앙법에 의한 모내기 농사법이 널리 보급된 것은 조선 중기 이후로 그 전에는 대부분 밭을 갈아 바로 종자를 뿌리거나 논에 물을 대고 논바닥을 고른 다음 종자를 뿌리는 직파법이 실시되었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2.20
0
0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