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밤하늘을 쳐다보면 별들만 있는것이 아니구 움직이는 것도 있던데요?
안녕하세요. 우리가 거실에서 편하게 먼 나라에서 열리는 월드컵을 관람할 수 있는 이유가 바로 인공위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인공위성이란 사람이 인공적으로 지구 궤도를 돌도록 만든 장치입니다.로켓을 통해 지구 밖으로 올려진 인공위성은 일정 기간 지구 궤도를 돌면서 카메라로 지구의 모습을 촬영하고 그 정보를 지구로 전송합니다.인공위성은 지구궤도에 안착하기만 하면 주위를 계속해서 도는데 뉴턴의 관성의 법칙과 지구의 중력으로 인해 특별히 에너지가 필요 없다고 합니다.최초의 인공위성은 1957년 러시아가 개발한 스푸트니크 1호입니다. 러시아어로 ‘여행의 동반자’란 뜻으로 대기에 관한 여러 자료를 기록하고 전송할 수 있는 라디오 송신장치를 실은 위성이라고 합니다.이 러시아의 스푸트니크 위성의 성공은 전 세계 국가들의 우주개발의 의지를 앞당겼고 1969년 미국이 인간을 최초로 달에 보내는 데 자극제가 되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2.12.02
0
0
우리나라 첫 수입차는 어느나라 였나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최초의 수입차로 1903년 조선 제26대 왕인 고종황제가 탔던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고종황제의 즉위 40주년을 맞아 미국 공사였던 알렌이 미국산 자동차 한 대를 가지고 왔다는 얘기가 있습니다.이 최초의 수입차의 차종은 ‘포드’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정확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지만 1903년은 포드와 캐딜락이 설립된 그다음 해였다고 합니다.현재 이 차는 남아있지 않습니다. 1904년 러일전쟁 이후로 사라졌다고 하네요.그 후 1911년에 고종황제의 전용 자가용으로 영국의 다임러에서 만든 리무진이 순종황제의 전용 차로 미국 GM이 만든 캐딜락 리무진이 수입되어 들어왔다고 합니다.우리나라가 최초로 수출한 차는 버스라고 하네요.1966년 브루나이에 수출한 ‘하동환 자동차’의 버스 ‘HDH R-66’이라고 합니다.하동환 자동차는 쌍용자동차의 전신으로 한국전쟁 후 미군 트럭을 개조해 버스를 만드는 회사였다고 합니다.하지만 이는 비공식적인 기록이고 공식적인 우리나라 최초 자동차 수출 기록은 1976년 에콰도르에 수출한 ‘현대자동차’의 ‘포니’였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2
0
0
똥구녕이 찢어진다고 표현은? 무엇을 먹었기에?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똥구멍이 찟어진다는 몹시 가난한 살림살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아마도 우리가 소화하기 쉬운 쌀밥 등은 먹지 못하고 보릿고개 때 소나무 껍질 등을 끓여 먹어 소화를 제대로 시키지 못해 생긴 말인 듯합니다. 너무나 힘들었던 시절을 표현한 말인 것 같습니다.미흡하나마 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2
0
0
안중근 이토히로부미 일제강점기에 관해서
안녕하세요. 안중근 의사의 이토히로부미의 사살로 인해 우리나라의 민심이 환희에 달아오르며 민중에게 독립 의지를 고취시켰다고 합니다. 또한 우리나라, 중국 등 일본 제국주의 국가의 침략을 받고 있던 약소민족은 안중근의 의거를 통해 일본의 팽창 정책이 저지당할 것이라 기대했다고 하네요.그 당시 온건파였던 이토히로부미의 암살로 한일합병 방침을 정해놓고 기회를 엿보던 일본의 강경파는 합병을 추진하여 강제적인 한일합방을 체결하게 되었습니다.하지만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해 좌절에 빠진 상황에서 안중근의 의거는 이런 좌절을 극복하는 발화점 역할을 했고, 1910년대뿐만 아니라 식민지 시대 내내 독립운동의 좌표가 되었다고 합니다.초대 내각총리대신이었던 이토 히로부미가 암살된 후 제2대 내각총리대신은 구로다 기요타카가 되었다고 합니다. 그는 중앙정부의 수뇌부로서 도쿄에 기거하며 강화도 조약(한일수호조약)을 조인하기도 했다고 하네요.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2
0
0
요동 주변에 우리 조상들이 만든 저수지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고려가 요동을 정벌하려고 하긴 했으나 실제 요동 주변을 차지한 적은 없습니다.요동정벌은 고려 우왕때 있었던 일입니다.중국 원나라 세력을 몰아내고 명나라를 세운 주원장은 고려에게 무리한 조공을 요구했습니다.공민왕의 아들인 우왕 때에는 철령 이북 지방은 원래 원나라 땅이니 내놓으라고 했다고 합니다.철령 이북 지방은 공민왕이 이성계의 활약으로 되찾은 땅으로 최영은 명나라의 황당한 요구에 이성계에게 요동정벌을 하자고 했고 우왕의 명령으로 요동 정벌을 하러 가지만 요동 지방을 가던 중에 압록강에 있는 위화도라는 섬에 군대를 돌려 서경으로 돌아오게 됩니다.이 사건이 '위화도 회군'이라고 하며고려가 몰락하고 조선이 건국하는 계기가 됩니다.미흡하지만 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2
0
0
고려와 고구려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네.....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고구려 시대 사람들은 자신의 나라를 '고려'라고 불렀다고 합니다.고구려의 국호는 초기엔 고구려, 구려, 고려 등의 여러가지로 불렸는데 장수왕 대부터 고려(高麗)로 고정되어 사용됐다고 합니다.왕건이 세운 고려는 국호는 고(구)려의 국호를 그대로 따랐습니다. 고구려를 계승한다는 의미라고 하네요.그런데 현대에 와서 고구려를 그 시대에 널리 사용되던 '고려' 대신 '고구려'라고 부르는 이유는 뒤의 왕건이 세운 고려와 구분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그리고 김부식이 지은 '삼국사기'에 고구려라고 적혀 있기 때문입니다. 궁예가 세운 후고구려 역시 당시의 국호는 '고려'였다고 하네요. 이후에 왕건이 세운 고려와 구분하기 위해 궁예의 고려는 후고구려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2
0
0
볼링에서 스트라이크 3번이면 터키 4번이면 포베가 어디서유례된건가요?
안녕하세요. 볼링에서는 스트라이크를 연속으로 칠 때마다 호칭이 달라집니다.1차 투구 시 10개 핀을 모두 쓰러트렸을 경우는 ‘스트라이크’스트라이크를 두 번 연달아 쳤을 경우는 ‘더블’스트라이크를 세 번 연달아 쳤을 경우는 ‘터키’스트라이크를 네 번 연달아 쳤을 경우는 ‘포베가’라고 합니다.다섯 번은 ‘파이브베가’, 여섯 번은 ‘식스베가’라고 하는데 4~6번까지는 숫자 뒤에 베가를 붙여준다고 합니다.‘터키’는 칠면조를 일컫는 말이라고 합니다.원개 터키 나라를 일컫는 영어 'tuekey'에서 온 것인대요. 터키가 칠면조의 원산지가 아닌대도 터키라고 한 이유는 당시의 유럽에서는, 동방으로부터 전래된 것은 모두 터키(turkey cook)라고 했다고 하네요.인디언들이 세 마리의 칠면조를 한 발의 화살로 쏘아잡은 데서 유래했다고도 합니다.볼링이 미국에서 성행할 때 스트라이크를 세 번 연속으로 친 손님에게 칠면조를 대접했다고 하네요.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2
0
0
나마스테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요?
안녕하세요. 나마스테(नमस्ते)는 산스크리트어로 인도와 네팔 등에서 만날 때나 헤어질 때 주고받는 인사말이라고 합니다. 공식적인 형태로 나마스카르(नमस्कार)가 있습니다.나마스테는 ‘반갑습니다, 좋은 아침입니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대요.‘나마’는 존중을 ‘스테’는 당신에게라고 해석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당신을 존중합니다’라는 의미로 해석 될 수도 있습니다.보통 손바닥을 서로 붙여 가슴에 모으고 머리를 숙이며 ‘나마스테’라고 말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철학
22.12.02
0
0
2022년 12월 현재, 중학생이 볼만한 청소년소설 추천받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이미예 작가의 '달러구트 꿈백화점' 재미 있습니다.김호연 작가의 '불편한 편의점', 박현숙 작가의 '구미호 식당', 이꽃님 작가의 '세계를 건너 너에게 갈게'추천드립니다.재미도 있고 베스트셀러이고 몇권은 2권도 나올 정도로 인기도 있는 책입니다.방학동안 공부하는 중간 보면 좋을 듯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음악
22.12.01
0
0
우리나라에 전기가 들어오기전에는 음식을 어디에 보관했나요?
안녕하세요. 과거 풍족하지 못했던 시절에는 사실 음식을 남겨서 보관할 정도로 풍족하게 음식을 할 수 없었기에 남아서 보관할 음식이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바로 만들어서 그 때 다 소진하기에 따로 보관할 음식이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곳간과 같은 곳을 그늘지고 서늘한 곳에 만들어 쌀이나 말린 고기 등이나 말린 야채 등을 보관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1
0
0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