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보험
자격증
지금 왜 원화의 가치는 낮아지고 달러는 높아지나요?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여러 이유가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기준금리' 입니다.각 국가들은 기준금리 조절을 통해 통화량을 조절하는데, (시중에서 도는 통화량에 따라 화폐가치는 반비례) 미국은 기준금리 인상, 우리나라는 기준금리 동결이라는 결정이 나와 미국의 달러는 (통화량 축소로 인해) 가치가 상승하고, 우리나라는 (통화량 축소 중단으로 인해) 화폐 가치가 상대적으로 하락한 것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2.25
0
0
주식 용어 중 PBR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PBR 이란, 주가와 주식 한 주당 순자산가치를 비교해서 나타낸 비율 수치로서, 현 주가가 적정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여러 지표 중 하나입니다.보는 방법은 증권사 프로그램(HTS/MTS) 에 들어가셔서 재무정보 쪽을 보시면 되는데, 제가 사용하고 있는 키움증권 영웅문S 기준으로는 종목을 선택 후 => e기업정보 => 재무정보 에 들어가셔서 아래로 쭉 내리면 '투자지표' 항목에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2.24
0
0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어떤 용어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스태그플레이션을 쉽고 간단히 정의하자면, 불경기인 상태에서 물가가 동시에 오르고 있는 상황을 뜻합니다.이 단어는 경기침체를 뜻하는 스태그네이션과 물가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서, 이중고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2.23
0
0
은행은 사기업일까요 공기업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은행은 공기업과 사기업 모두 있습니다.예를 들어 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한국은행, 산업은행 등은 공기업이며 이와 반대로 사기업은 신한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등이 있습니다.작성자님께서 언급하신 것은 문맥상 시중은행, 즉 사기업으로 보이는데, 엄밀히 법적으로 따지자면 사기업이 맞지만 공적인 성격도 어느 정도 띄고 있긴 합니다.(왜냐하면 IMF 외환위기 사태 때 정부가 공적 자금으로 금융권을 살렸기 때문에, 그 후로 금융권에선 사기업으로서 영리추구 행위에만 집중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2.21
0
0
국내 증시 왜 오르고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증시는 기본적으로 선행지표로 볼 수 있습니다.따라서 언급하신 지표들이 현재 부정적인 수치인 것은 맞습니다만, 투자자들 사이에선 이보다 더 나빠질 수가 없다고 판단하며 이젠 좋아질 일만 남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증시에서 반등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물가 상승률을 잡기 위한 기준금리 인상 기조도 이제 곧 끝나고 동결 혹은 인하로 갈 것이라고 예상하는 투자자들이 늘어나는 것)
경제 /
경제동향
23.02.20
0
0
인터넷 은행은 대출 이율이 낮나요?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내용이 맞습니다.시중은행 대비 상대적으로 운영에 필요한 비용이 낮기 때문에, 인터넷 은행들은 예금 금리(수신) 과 대출 금리(여신) 에 있어서 비교적 우위를 갖고 금리를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꼼꼼히 잘 알아보시고 활용하신다면 가계자금 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2.19
0
0
M&A 라는 단어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M&A 란, Mergers and Acquisitions 의 약자로서 기업의 합병과 인수를 뜻합니다.(통상적으론 인수를 먼저 하고 합병을 하기 때문에, 영어단어로는 합병과 인수지만 호칭은 인수합병 이라고 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2.18
0
0
예대금리차는 어떤것을 의미하는단어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예대금리차란, 예금과 대출의 금리 차이를 줄인 말입니다.은행은 기본적으로 고객들에게 예금 서비스를 통해 자금을 확보하고, 그 확보한 자금을 통해 자금을 필요로 하는 수요자들에게 여신(대출)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데, 이 둘 사이의 갭으로 인해 최근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2.17
0
0
비둘기파와 매파는 어떤 의미로 사용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쉽고 간단히 말하자면, 기준금리를 놓고 내리자는 입장과 올리자는 입장으로 나뉘는 것을 동물에 빗대어 표현한 것입니다. 먼저 평화를 상징하는 비둘기(파)라는 표현은, 기준금리 인하를 통해 시중에 돈을 풀어서 경기를 안정시키고 부양하자고 주장하는 사람들을 가리킵니다.반대로 날카로운 이미지의 매(파)는, 기준금리 인상을 통해 통화량을 줄여서 물가를 안정시키자고 주장하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2.16
0
0
공모주 따상하는 이유가 무엇잇가요?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먼저 첫 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공모주의 따상은 일반 주식의 가격(주가) 가 오르는 것과 같습니다. 현재 가격보다 더 오를거라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짐으로써 수요가 증가한 것입니다. 즉, 한정된 공급 하에 수요가 증가함으로써 균형가격이 오르게 된 것입니다.다음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일반 주식과 다르게 공모주라고 해서 따로 영향 받는 것은 없습니다.마지막으로 세 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일반적으로는 일반 주식과 마찬가지로 경제가 호황일 때 더 상승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2.14
0
0
10
11
12
13
14
15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