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국이 조선 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유는 무엇때문에 그런가요
미국은 전 세계에서 노동비용이 가장 비싼 국가 중 하나로 조선업은 여전히 노동집약적인 산업인데, 선박을 만드는 데 필요한 용접, 철판 가공, 배관 등의 수작업 공정은 자동화가 어려운 산업입니다. 이런 구조에서 한국, 중국, 베트남 등 저비용 구조의 아시아 국가들과 가격 경쟁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미국은 상업용 조선업에 대해 정부 차원의 산업정책을 거의 펼치지 않았고,우선순위도 방산, 항공우주, 반도체에 집중돼 있어 조선은 전략 산업에서 밀려난 상태가 지속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Q. 미국이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수입을 자제하라고 하는것에 반기를 들자 수입관세를 25% 부과한다는 데 인도의 배짱 이유가 궁금합니다.
인도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은 원유를 수입하는 나라로, 자국 경제를 유지하기 위해 안정적이고 저렴한 에너지원 확보가 필수입니다.러시아산 원유는 서방 제재 이후 '할인된 가격'에 공급되고 있으며, 인도는 이를 통해 정유 마진을 극대화하고, 국내 연료비를 낮추는 효과를 얻고 있습니다.이런 상황에서 미국의 요구를 수용하면 국민경제와 산업기반에 큰 충격이 오기 때문에, 쉽게 물러설 수 없을 것입니다. 또한 2024년 총선에서 승리한 모디 총리는 ‘국익 우선주의’를 내세워 강한 민족주의 기반의 리더십을 구축하였기 때문에 미국의 압박에 굴복할 경우, 국내 지지층으로부터 “굴욕 외교”라는 비판을 받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일 것입니다.
Q. 우리나라가 주로 수출하는 나라는 어느나라인가요 탑3를 알고 싶네요
25년 현재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 대상국은 중국, 미국. 베트남의 순입니다. 중국의 경우 전자부품(반도체, 디스플레이 패널 등), 석유화학제품, 기계류 등이 주된 수출품으로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중국 공장에 반도체 부품을 보내거나, 중국 IT업체에 납품하는 구조가 크기 때문에 수출 비중이 높습니다.
Q. 반도체 관세를 100%를 부과하는 경우에 우리나라 반도체 회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떻게 될까요?
한국 반도체 기업, 특히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미국에 상당한 양의 반도체를 수출하고 있고 100% 관세가 부과된다면 가격 인상이 전가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만, 미국에 생산시설을 가진 기업은 예외라고 밝힌 만큼,삼성전자가 미국 텍사스에 파운드리 공장을 운영 중이며,SK하이닉스도 미국 내 투자계획이 있어 완전한 피해는 피할 수 있다는 분석도 존재합니다.장기적으로 미국이 자국 내 반도체 생산을 강화하고, 외국 의존도를 줄이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므로,한국 기업은 미국 내 생산시설 확대, 기술 이전, 현지 고용 유도 등의 정치적 요구에 더 많이 직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이는 기업 입장에서 비용 부담은 늘고, 정책 리스크는 커지지만,동시에 정치적 수혜 기업으로 분류되어 우대받을 기회도 열릴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