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철학
2024년 10월 1일 작성 됨
Q.
무솔리니가 헌실 정치에 구현했던 파시즘은 어떤 사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파시즘은 파쇼 즉 국가권력을 강조한 전체주의 사상으로 국가사회주의라 불립니다. 광신적 애국주의의 또다른 이름이기도 합니다.
철학
2024년 10월 1일 작성 됨
Q.
실존주의 철학이 현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실존주의는 20세기 반이성주의 비합리주의를 표방하고 나온 사상으로 제1차 제2차 세계대전과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인간소외 인간성상실 비인간화되어 가는 것에 대해 인간의 주체성회복을 강조한 사상입니다. 유신론적 실존주의자인 키르케고르 야스퍼스 등과 무신론적 실존주의자인 하이데게 사르트르 카뮈 니체 등이 있습니다. 실존주의 사상은 현대사회의 산업화 기계화로 인한 인간소외로부터 인간성을 회복시키고자 한 주체성 회복의 사상이라는 점에 의미가 있습니다.
철학
2024년 9월 29일 작성 됨
Q.
철학이 가져다 주는 메시지와 현대 사회와 맞지 않는 경우에는 어떻게 생각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철학은 지혜에 대한 사랑으로 사람들이 행복하게 사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현대사회에서는 내면의 충만함보다는 물질적인 것 즉 돈 주택 자동차 등과 같은 것에서 만족감을 느끼며 삽니다. 시대가 변하여 물질적 가치를 중시하고 있으나 변하지 않는 내면의 세계 신 자유 영혼 등과 같은 정신적 가치에는 여전히 철학이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철학
2024년 9월 26일 작성 됨
Q.
소크라테스의 악법도 법이다라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소크라테스는 청소년을 현혹시키고 세상을 혹세무민했다는 죄명으로 구속되어 독배를 마시고 죽음에 이르게 됩니다. 그의 친구인 크리톤과 메논이 국외탈출을 권유했으나 옆집에서 닭 한 마리를 빌려먹었으니 갚아달라는 말을 남기고 죽음에 이르게 됩니다. 이 약속은 지켜야 한다는 말을 후세의 위정자들이 자신들의 권력을 위해 악법도 법이다라는 말로 호도한 것입니다. 악법이 법이면 독약도 약이 됩니까? 독약이 약이 아니듯이 악법은 법이 아니고 바꿔져야 하는 것입니다. 소크라테스의 저서는 현존하는 것이 없으며 그의 제자인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소개되고 있습니다.
철학
2024년 9월 26일 작성 됨
Q.
공자는 어디에서 태어난 사람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공자는 춘추시대에 노나라에서 태어났습니다. 서기전 11세기-서기전 256년까지 존속했던 나라로 수도는 곡부이고 국성은 희이며 지금의 산둥성 일부지역에 위치해있었습니다. 공자는 사회혼란의 원인을 도덕적 타락에 있다고 보고 도덕성(인) 회복을 역설하면서 제자들과 세상을 주유하였으나 자신의 뜻을 받아주는 제후가 없자 노나라에 돌아와 노나라의 역사서인 춘추를 집필하는데 주력하였습니다.
철학
2024년 9월 26일 작성 됨
Q.
죽은 다음의 세계는 정말로 영혼처럼 존재할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해 과학적으로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종교에서는 현실적 상황을 고통으로 보고 구원을 받아 절대자유와 평화의 경지인 이상적 상황으로 갈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그곳이 기독교에서 말하는 천국이고 불교에서 말하는 극락입니다.
철학
2024년 9월 26일 작성 됨
Q.
왜 철학을 지혜의 학문이라고 말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철학의 어원적 의미가 Philos(사랑)+Sophia(지혜)=Philosophia(지혜에 대한 사랑)에서 Philosophy(철학)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철학을 지혜의 학문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철학
2024년 9월 23일 작성 됨
Q.
불교공부를 해야하는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불교는 범신론적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기독교는 유일신 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는 직선적 역사관에 바탕을 두고 있으나 불교에서는 누구나 부처(깨달은 자)가 될 수 있다고 보는 순환적 역사관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개인의 수양을 통해 깨달음에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철학
2024년 9월 23일 작성 됨
Q.
동양 철학과 서양 철학의 주된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동양 사상은 통합적 종합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반면 서양 사상은 분석적 논리적 사고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철학
2024년 9월 23일 작성 됨
Q.
계몽사상의 뜻이 뭔가요??? 이해하기 쉽게..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18세기 서양의 계몽주의는 구질서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질서를 세운다는 의미로 나온 사상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1935년에 발표된 심훈의 상록수라는 소설을 계몽소설이라고 합니다. 이같이 계몽은 구습이나 미신을 타파하는 개혁사상을 의미합니다.
21
22
23
24
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