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록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전문가입니다.
김록희 전문가
감초한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약·영양제
한약
2025년 6월 15일 작성 됨
Q.
등에 부황을뜨는 이유가 먼가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한의원에서는 침치료와 함께 건식부항 습식부항을 겸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음압을 이용해 혈류개선을 시키게 되는데 그러면 뭉친 근육의 통증이 해소되게 됩니다.건강보험적용이 되는 항목이라 비용부담은 별로 없습니다
한의학
2025년 6월 15일 작성 됨
Q.
발바닥이 아픈데 침을 맞으면 좀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발바닥과 아킬레스건 종아리 비복근의 피로를 풀어주는 스트레칭을 해보세요 족욕도 좋습니다.통증이 있으신 정도라면 한의원에서 침치료 받으시면 좋아지십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5년 6월 15일 작성 됨
Q.
배출관장에 대해서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글리세린은 대변을 묽게 하고 장벽을 자극해 배변을 촉진하는 주요 성분이며, 생리식염수는 장 운동을 자극하는 역할을 합니다. 두 성분을 1:1로 섞어 배출 관장을 시행하는 것이 임상에서 흔히 쓰이는 방법입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5년 6월 15일 작성 됨
Q.
kcl의 투여경로에 대해 궁급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KCl을 NS와 섞어서 L-tube(위관)로 투여하는 것은 가능합니다.너무 빠르게 주입하지 말고, 천천히 주입하는 것이 안전합니다.정맥(IV) 투여와 달리, 위관 투여는 혈중 칼륨 농도가 급격히 오르지 않으므로, 도지로 천천히 주입하는 것과 같은 엄격한 제한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5년 6월 15일 작성 됨
Q.
그..여자가 살찌면 남성호르몬이 많이 분비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여성의 경우 남성호르몬이 많아지면 체모가 굵어지거나 많아지는 현상(다모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등 내분비 질환과도 관련이 있습니다.비만한 여성은 남성호르몬이 활성화되어 체모가 굵어지거나 많아질 수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5년 6월 15일 작성 됨
Q.
귓볼에 딱딱한 누르면 통증생겨요 병원질문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귓볼 위쪽에 딱딱한 것이 만져지고, 누르면 아프며 3달째 지속된다면 표피낭종(피지낭종)이나 염증성 피부 질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피부과에 가 보시는것이 좋습니다
한의학
2025년 6월 15일 작성 됨
Q.
기립성저혈압,갑상선기능저하증,고도비만이 기력이 쇠할때 한약말고 먹을수있는게 뭐가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땀이 윗쪽으로만 많이 나고 몸이 차갑다는것은 자율신경실조증으로 보입니다.한의학적으로 보면 수승화강이 안되는것입니다.이런 상황에서는 경옥고를 드시는것은 괜찮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5년 6월 15일 작성 됨
Q.
메디키넷이랑 항불안제 과다복용 부작용은 영구적인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메디키넷 과다복용은 올해만 잠깐 과다복용했다가 내년에 적정량으로 줄이면, 대부분의 부작용은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항불안제 병용은 장기간 고용량 복용은 피하고,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여 점진적으로 줄여야 합니다. 갑자기 끊으면 금단 증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5년 6월 15일 작성 됨
Q.
두돌아기인데 페인트 노출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페인트 성분이 검출된 물을 장기간 사용했다면, 특히 아기와 어린이는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물탱크 청소와 수질 재검사가 우선입니다.아기와 가족 모두 증상이 있거나, 걱정된다면 병원에서 납 등 중금속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두통 등 증상이 계속된다면 신경과 또는 가정의학과 진료를 받으세요.
기타 의료상담
2025년 6월 15일 작성 됨
Q.
가끔 침만 삼켜도 속이 쓰릴 때가 있는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공복에 커피를 마셨을 때 속이 쓰린 것은 커피의 카페인과 산성 성분이 위산 분비를 촉진하고 위 점막을 자극하기 때문이며, 시간이 지나도 위가 예민해져 침만 삼켜도 속이 쓰릴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이 반복된다면 공복 상태에서 커피를 피하고, 식사 후에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76
77
78
79
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