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그래 라는 말은 참 정답기도하고 차갑기도 한거 같은데 한글의 위대함은 이런걸 예측하고 만든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그래'라는 말은 세종대왕이 만든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쓰는 한국어는 우리 민족의 태동과 같이 발전해왔고,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만들기 전 부터 우리말은 존재해 왔습니다. 따라서 '그래'라는 말은 그전부터 사용되어져 온것이고, 그 말을 쓰는 문자를 세종대왕께서 만든 것이죠. 말과 문자를 구별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언어마다, 한 단어가 함축하는 의미의 뉘앙스가 다르게 존재하는 것은 똑같습니다. 가령, 영어의 'yes'나 중국어의 '是'도 맥락, 상황, 화자의 태도, 억양에 따라, 차갑거나 따듯하게 혹은 무심하게 느껴 질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Q. 언어학은 어떤식으로 실생활에 활용되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우선 언어학의 하위 언어학들을 알아보고 각각이 어떤 역할을 하며, 어떻게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지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심리언어학: 언어 습득, 언어 처리, 언어 사용과 관련된 심리적 과정을 연구.-적용분야: 언어치료(실어증, 발달성 언어 장애와 같은 언어 관련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이론적 배경 제공, 뇌 손상부위와 언어의 기능 연관성을 파악, 재활 프로그램 개발에 응용, 신경언어학의 도움 포함).응용언어학: 언어학 이론을 실제 언어 문제 해결에 적용.-적용분야: 외국어 교육, 번역학, 사전학 등. 코퍼스언어학(=말뭉치 언어학): 대규모 언어 자료(코퍼스=말뭉치)를 전산적인 방법으로 이용, 분석하여 언어 현사ㅣㅇ을 연구.-적용분야: 광고 및 마케팅, 사회 조사, 언어 발달과 언어의 공시적(사회적) 연구, 사전의 예문 작성 등에 적용. 인지언어학: 인간의 인지적 능력과 과정을 언어 습득과 사용에 접합하여, 둘의 상호과정을 연구.-적용분야: 문학 작품속 인물이나 화자의 심리 분석, 각 사회나 국가의 언어적 차이점을 각 사회나 문화의 인지적 차이점과 연관지어 연구.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의 관계를 연구.-다중언어 사용, 방언(방언학), 언어 변천과 변이, 언어 태도 등에 적용. 법정언어학: 법정에서 증거자료로 사용되는 언어를 연구.-적용분야: 음성 분석을 통해 범인 식별, 필적 감지, 협박 편지나 익명의 글의 작성자 분석, 계약서나 법률 문서의 의미 해석에 적용. 전산언어학: 컴퓨터를 이용하여 언어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연구. 자연어 처리와 밀접한 연관.-적용분야: 현재 AI연구의 핵심(특히 자연어 처리(NLP)의 응용분야로 음성 인식, 기계 번역, 대화형 AI(챗봇), 텍스트에서 정보 캐기 등)에 적용. 이 외에도, 언어 학의 하위 갈래(음성학,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들이 위에서 언급한 많은 적용 분야의 핵심 도구로써 이용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Q. 세익스피어의 희극작품들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셰익스피어 작품의 신분위장과 오해의 요소가 어떻게 웃음을 유발하는지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신분위장을 통해 다른 사람의 행세를 하는 경우, 관객은 그 상황을 알고 있지만 해당 인물(속이는 인물)를 제외한 다른 등장 인물들은 그것을 모르고 있는 상황이 되어 관객이 우월한 위치에서 등장인물들을 바라보는 입장이 됩니다. 이는 우월성에 입각한 하나의 웃음 요소가 되며, 극이 끝나고 갈등이 해결되면서 한 층더 깊은 웃음을 선사합니다. 「십이야」의 남장한 비올라가 그 예가 되겠습니다. 또한, 신분 위장을 한 등장 인물은 본인의 실제 감정이나 의도를 본인의 입장에서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못하고 돌려서 표현하거나 말장난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는 중의적 의미를 전달하여 관객에게 웃음을 제공합니다. 「한 여름 밤의 꿈」 에서 요정들이 인간에게 마법을 사용할 때 나누는 대화의 언어유희나,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페트루키오의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마지막으로, 모든 신분위장의 경우에는 예측불가능성과 반전이 항상 뒤따르므로, 이 또한 웃음의 요소가 되겠습니다. 이제, 사회적 메시지의 관점을 들여다 보겠습니다. 우선, 신분과 계급의 허위성을 드러낸다는 관점입니다. 이는 신분이라는 것이 인간의 본질적 가치나 본성과 무관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도구로서 신분위장이 이용됨을 말합니다. 「자에는 자로」에서 빈센티오 공작이 변장하여 민중들사이로 들어가, 그들의 문제를 이해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그리고, 성적 고정관념을 깨는 매시지를 전달하기도 합니다. 「베니스의 상인」에서 여성인 포샤가 남장을 하고 친구의 남편을 변호하는 모습은, 여성도 남성 못지 않게 훌륭한 역할을 할 수 있고, 그동안 여성이 사회적으로 억눌려 왔음을 폭로해줍니다. 또한, 모든 신분위장과 오해의 레퍼토리는 모두 소통의 부족과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내포한다고 생각해 볼 수도 있습니다.감사합니다.
Q. 수능 영어 문법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간접의문문은 의문사+주어+동사의 형태로, 의문문을 명사절로 전환하여 문장에서 명사자리(주어, 타동사의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 보어)에 쓰여집니다. 따라서 '의문사+주어+동사'는 문장의 한 부분(명사역할로 쓰이는 종속절)으로 반드시 주절이 필요로 됩니다.말씀주신 문장은 '2026 EBS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7강 1번에 나온 문장으로, 원문은--children may focus on how many numbers or columns the problem contains---입니다.위 문장에서 주절은 "children(주어)+may focus(자동사)+on(전치사)"이고 전치사는 명사 상당어구를 목적어로 필요로 하므로 간접의문문(명사절)이 목적어의 역할을 할 수 있어, 전치사 on의 목적어 자리에 들어간 것입니다.따라서, 주절(children may focus on) + on의 목적절로 쓰인 간접의문문(how many numbers or columns the problem contains)의 구조가 쓰인 문장이 되겠습니다.열심히 공부하시고, 위 문장의 다른 의문점이나 다른 의문점도 질문 주시면 열심히 답변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동남아 국가 지역을 알고싶어서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동남아시아의 지리적 의미는 '북쪽으로 중국을 접하고, 서쪽으로 인도와 인도양을 마주하며, 남쪽으로 태평양과 호주를 대하는 지역'으로 이야기합니다. 말레이반도와 말레이 제도로 나누어지는 지역입니다. 이 지역 국가들은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아세안-을 결성하고 있는 나라들이며, 베트남, 타이(태국), 이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부루나이, 총 10개국이 아세안을 구성합니다.각 나라들이 속한 지역으로 나누어 보면, 인도차이나반도에는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이 속하고, 말레이제도에는 말레이시아, 동티모르, 브루나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필리핀이 속합니다. 이를다 합하면 총 11개국이 동남아시아에 속한다 보면 되겠습니다. 당연히, 인도네시아도 동남아시아에 포함이 되겠습니다.여담으로, 동남아시아라는 지역적 구분은, 다른 지역들과 마찬가지로(극동, 동아시아, 중앙아시아 ), 서구적 관점으로 만들어진 지리적 구분으로, 2차 세계대전이후 굳어진 말이라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