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19세기 러시아 문학 작품을 보면 유난히 습하고 어두운 날씨에 대한 묘사가 많이 나어는데요. 이유가 무엇인가요? 러시아 날씨의 특징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 위에 언급하신 작가들의 작품의 배경이 되는 도시의 묘사가 습하고 춥고 바닥은 진창으로 되어있는 것의 이유는 복합적인 이유때문으로 보입니다. 소설의 배경이 되는 러시아 서부 도시들(상트 페테르부르크나 모스크바)이 위치한 장소는 지리적으로 겨울기 길고 추운 지역입니다. 눈이 많이 오기때문에 봄에 눈이 녹는 과정에서 길이 진창이 되는 일이 많고, 강과 습지가 많아 습도가 높고안개가 끼는 경우도 잦습니다. 또한 19세기 러시아 도시들의 상황도 고려해야합니다. 러시아는 상대적으로 서구 유럽에 비해 근대화가 늦어졌고, 아주 늦은 시기까지 농노제가 유지된 국가입니다. 따라서 당시 도시의 주거 환경이나 위생 상황, 배수 시설등은 상당히 열악하였고, 그러한 상황이 소설속의 묘사애 영향을 준것으로 보입니다. 위에 언급한 사항들과, 작가가 등장 인물들의 우울하고 비극적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한 묘사들이 더해져서 한층 소설속 분위기를 우울하고 어둡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Q. 현대문학에서의 자아의 정체성 표현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 현대 문학에서 '자아 정체성'은 굉장히 중요한 소재이자 개념으로, 고정된 실체가 아닌 변동과 해체의 과정을 거쳐 재구성되는 유동적 표상으로 제시됩니다. 과거 문학 작품에서는 집단적 사고나 규범, 가치 안에서 확고한 자아를 찾아가던 모습으로 표현되어 이와는 대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우선, 현대 문학에서 '자아'는 예전 문학에서 처럼 명확한 답을 내릴수 없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변화의 과정 그 자체'로 묘사됩니다. 이는 현대사회의 복잡성과, 개인 경험의 다양성, 익명성등의 요소들이 서로 결합하여 만들어낸 양상이라 생각됩니다. 또한, 각 사회나 문화권이 겪는 변화와 역사적 슬픔, 급속한 산업화나 디지털화로 인한 비인간화 등이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모습들도 묘사됩니다. 그리고, 예전 문학과 다르게 인물의 심리묘사에 치중합니다. 사건이나 인물의 행동보다는 인물의 내적 갈등과 불안 심리, 소외감, 흘러가는 의식들을 세밀하게 서술하는데, 이는 독자의 공감을 끌어내고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는 기능을 수행하게 됩니다. 몇가지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한강의 「채식주의자」에서, 주인공은 폭력적인 사회(세계)에 대한 거부감으로 육식을 포기하게되고, 그로 인하여 주변 사람과의 갈등을 겪게됩니다. 이는 폭력적 사회로부터의 스스로 선택한 분리이며, 진지한 저항입니다. 이로써 작가는 폭력적인 사회에서 희생당하며 파편화된 현대인의 자아(정체성)를 드러내어 줍니다. 이문열의 「금시조」에서, 주인공 고죽은 어린 시절부터 장년에 이르기까지 예술지상주의적 면모를 보이며, 스승인 석담선생(예술의 기본 바탕은 기교가 아니라 도[道]라고 맏음)과 갈등을 빚습니다. 이는 예도(藝道)논쟁, 매죽(梅竹)논쟁들을 거치며, 고죽이 스스로를 스승과 구별짓고 자신만의 정체성을 따르게 되는 것으로 마무리 됩니다. 그러나 스승의 죽움이후 고죽은 스스로를 부정하며 자신의 작품을 태우고 죽음을 맞이합니다. 이는 정체성이 고정된 것이 아니고 변화하는 것임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라하겠습니다. 또한 스승과 의절이후 스스로의 호를 '외로울 고(孤)'에서 '옛 고(古)'로 바뀌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는 스승을 부정하고 스스로의 정체성을 세우는 와중에도 자신의 정체성이 흔들리고 있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모습(개인적 평가입니다)이라 하겠습니다.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에서, 주인공(에밀 싱클레어)은 이성과 감성이라는 두 세계에서 번민하며 진정한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데, 이는 당대(현대인들에게도 적용) 사람들의 보편적인 정체성 위기를 보여주며 그 탐색과정 또한 깊이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반면에, 과거의 문학에서는 전형적인 인물들(충신, 효자 등)의 사회적 역할 수행과 그 과정에서의 그들의 치열함과 충실함이 보여집니다. 이는 집단적 이데올로기에 의해 만들어진 정체성이며 이를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습니다. 따라서 그 집단이 바라던 정의와 가치를 실현하는 인물이 그 역할을 잘 수행하는 것이 정체성을 찾는 과정이었고, 그 가치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겪는 고난이 바로 정체성의 위기가 되는 것입니다. 하여, 주인공이 위기를 극복하고 대의를 실현하는 모습은 개인이 스스로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것이 아닌 사회가 설정한 이념적 정체성을 따라가는 것이라 하겠습니다. 이는 과거 대부분의 영웅소설이나 민담(심청전[효], 형제투금[우애], 박씨전과 아서왕 이야기[충])에서 잘 드러납니다. 종합하면, 과거 문학에서의 정체성은 고정된 이데올로기적 정체성(주인공도 그것을 찾아가도록 고정)이고 현대 문학에서의 정체성은 여러 요인들로 인한 갈등, 해체, 번민, 불안 등이 결합된 변동성이 그 핵심이라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Q. 중세국어에서 짝대기 같은 거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 반치음(ㅿ)아래에 있는 점모양의 글자(ㆍ)는 아래아 라는 글자로 현재 한글 발음인 'ㅏ'와 소리가 비슷하여 '아래아'라고 부릅니다(이설도 존재함). 질문에 나온 글자는 반치음(ㅿ)에 아래아(ㆍ)가 있고 받침으로 순경음 비읍(ㅸ)이 들어간 단어 입니다. 실제 발음을 알 수 없으므로 추정하건데, 현대국어의 'ㅓ[ʌ]'와 비슷한 소리라는 설이 그나마 유력합니다. 또한 제주 방언에 그 음가가 [ɒ]의 형태로 남아있다고 합니다(예-ᄆᆞᆷ국). 16세기와 18세기에 걸쳐 점점 다른 모음(ㅏ, ㅜ, ㅡ)으로 바뀌면서 소실되었고, 19세기와 20세기 초까지 문헌상에 표기로 남아 있다가, 1912년 완전히 폐기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Q. 사람들의 삶은 주는대로 받거나 받는대로 다시 돌려준다고 하는데, 좋은것도 있고 그렇지 않는것도 있는데, 사필귀정이란 말은 어떻게 해서 생겨난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사필귀정이라는 한자성어는 정확하게 유래를 알 수 없습니다. 동양의 일반적인 철학과 사상이 합해져서 만들어진 말로 볼 수 있겠습니다. 중국 고전에 등장하지 않고, 일본에서도 흔히 쓰이는 말이 아니라고 합니다. 추론해보자면, 예전에는 일반 백성들이나 사람들이 억울한 일을 당하거나 부당한 처우를 받게 되더라도, 국가나 사회에 억울함을 호소하거나 부당한 일을 바르게 되돌려달라고 할 마땅한 장치가 없었고, 설사 호소를 하더라도 그것을 되돌리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을 것입니다. 따라서, 많은 시간이 지나서야 억울함이 해소되고, 부당한 일이 옳게 해결되었을 경우가 많았을 것입니다. 이러한 일들이 많았을 것이므로, 그런 일들을 겼은 사람들에게서 사필귀정과 같은 말들이 생겨나게 되었을 것입니다. 어려운 일을 당해도 바로, 그때 해결 할 수 없었던 예전 사람들의 애환이 담긴 말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고, 모든 것이 시간이 지나면 밝혀질 것이라는 동양적, 불교적 철학도 가미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문학 공모전에 도전해 보고 싶은데 어떤 주제나 형식이 경쟁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우선 어떤 공모전을 준비하시는지에 따라 어떤 주제나 형식이 경쟁력이 있을지가 결정될 것 같습니다. 만약 추리/미스테리/스릴러등을 주제로 한 공모전이라면 내용상의 반전과 글의 여기저기에 흩어진 단서들을 하나로 모으는 치밀한 구성이, 연속된 사건들의 유기성등이 가장 큰 무기가 될 것입니다. 혹은 응시 분야가 환타지, 공포, 오컬트쪽이라면 세밀한 자료조사에 따른 소재의 다양성과 세계관의 설정, 진부하지 않은 인물들의 묘사등이 큰 장점이 되겠습니다. 준비하시는 분야가 순수 소설 부분이라면, 가정 중요하게 생각 할 수 있는 것은 주제성입니다. 모든 문학 장르가 그러하듯, 소설도 사람들이 살아가는 과정속에서 서술되어가는 것으므로 현 인류, 현 한국인들이 직면한 문제, 아픔, 고통, 문제의식등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하겠습니다. 만약 주제의식 없이 무의미한 대화나 사건만이 나열된다면 아무 의미 없는 글이 되겠습니다. 물론 재미적인 요소도 소설의 큰 부분이겠으나 현재 한국 문단에서 등단에 관해서는 재미는 큰 요소는 아닙니다. 또한, 주제성에 뒤지지 않게 중요한 요소는 문장입니다. 아무리 주제성이 뛰어난 글이라 한들, 문장이 지루하고 어색하다면 그 주제성을 부각시킬 수 없을 것입니다. 같은 의미를 가지더라고 문장력이 좋고 표현이 참신하다면 더욱 좋은 평가를 받을 것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문장력을 기르는 좋은 방법은 다독과 다작입니다. 기성 작가들의 작품들을 찾아 읽고, 좋은 점들을 흡수하는 것은 독서의 힘이고, 글런 것들을 본인의 것으로 만드는 것은 작문의 힘이되겠습니다. 더불어, 기존 문학상에서 수상한 작가들의 모음집이 많이 출판되어 있습니다. 신춘문예, 이효석 문학상, 이상문학상, 현대문학상, 한겨레문학상 등에서 수상한 작가들의 모음집 있고, 각 문예지(창비, 문지, 문학과 사상 등)와 계간지(창비)들에도 각각의 잡지에서 수상한 작가들의 작품이 게재되어 있습니다. 가장 좋은 본보기이니 필히 참고 하시어 현재 한국 문학의 트렌드에 대한 감을 유지하기시를 바랍니다. 참고로 현재 대한민국 소설의 주류 트렌드는 소외의 문제, 불평등과 폭력에 대한 문제, 개인과 사회의 관한 문제, 그리고 성 다양성(불평등)과 AI정도가 되겠습니다. 정진하시어 좋은 글로 세상을 밝히는 작가가 되시길 진심으로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