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성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성현 전문가입니다.
김성현 전문가
한화솔루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2년 11월 21일 작성 됨
Q.
근로기준법 상 교육기간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성현 노무사입니다.1. 근로를 시키는 사람 즉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첫 출근 주에는 교육 기간의 명목으로 7일 일주일 내내 출근을 시킬 권리가 있는게 사실인가요?→ 근로기준법 등 노동관계법령은 관련 규정을 두고 있지 않습니다. 2. 그리고 그렇게 될 경우 원래는 주5일 출근이라고 할 경우면 주에 원래 일해야 하는 일수보다 이틀 더 일하는 건데 그 이틀에 대한 급여는 지급을 안해도 되는 것도 맞는건가요?→ 사용자에 의해 참여가 강제되는 교육이라면 근로기준법에 따른 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11월 13일 작성 됨
Q.
5인미만 주6일 월급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성현 노무사입니다.귀하의 유급주휴 포함 월 유급근로시간은 225.95(52*(365/12/7))시간입니다. 월 유급근로시간에 2022년 최저시급인 9160원을 곱하면 2,069,724원이 계산됩니다. 월 급여가 최저임금에 미달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11월 12일 작성 됨
Q.
대체휴일근무시휴일근무수당발생여부
안녕하세요. 김성현 노무사입니다.상시 사용하는 근로자 수가 5인 이상인 회사의 경우 근로기준법 제55조 제2항에 따라 공휴일(대체공휴일)을 유급휴일로 보장해야 합니다. 따라서 해당일에 근로를 제공하셨다면 근로기준법 제56조에 따라 휴일근로수당을 청구하실 수 있습니다.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11월 12일 작성 됨
Q.
알바비 계산 공휴일도 포함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성현 노무사입니다.1. 상시 사용하는 근로자 수가 5인 이상인 회사는 근로기준법 제55조 제2항 소정의 공휴일(대체공휴일)을 유급휴일로 보장해야 합니다. 즉 공휴일에 근로제공을 하지 않은 근로자에 대해 임금(통상시급*1일 소정근로시간수)을 지급해야 하는 것입니다. 2. 상시 사용하는 근로자 수가 5인 미만이라고 하셨으나, 아르바이트생 또한 상시 근로자 수 계산 시 포함시켜야 하고 사실관계에 따라서는 프리랜서 또한 근로기준법상 근로자가 될 수 있음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2022년 11월 12일 작성 됨
Q.
사직 종용후 그만두면 해고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성현 노무사입니다.사용자의 퇴직을 종용하고 귀하가 그 퇴직을 승낙하여 근로관계 종료된 이른바 합의퇴직에 해당하는 사례라 보입니다. 근로자의 의사에 반하여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근로관계를 종료시키는 해고로 보기는 힘들 것입니다.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36
37
38
39
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