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다이어트 최고의 운동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윤경 영양사입니다.유산소 운동은 편안한 호흡을 지속하면서 할 수 있는 운동입니다.유산소 운동의 종류로는 산소를 많이 소모하는 걷기 운동이나 조깅 및 런닝 머신 등의 운동을 유산소 운동이라 합니다.유산소 운동의 특징은 비만의 원인이 되는 체지방을 효과적으로 소모시켜 줍니다.유산소 운동의 효과는 최소 20분 정도 이내에는 탄수화물이 소모되며 그 이상이 경과 하면서 체지방을 태우게 됩니다.유산소 운동이 다이어트 빠른 효과를 주는 원리는 숨이 차지 않으며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할 수 있는 운동으로 몸 안에 최대한 많은 양의 산소를 공급 시킴으로써 심장과 폐의 기능을 향상 시키고 강한 혈관 조직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유산소 운동을 장기간에 걸쳐 규칙적으로 실시하면 운동 부족과 관련이 높은 성인병을 예방하고 비만 해소와 노화 현상을 지연 시킬 수 있습니다다이어트를 한다는 것은 지방을 몸에서 태워 없앤다고 볼 수 있는데 에너지원으로 체내 지방이 이용되는 과정은 좀 더 복잡한 에너지 대사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유산소 운동을 하게 되면 운동을 시작한 후 5분 정도가 되었을 때 산소 요구량과 공급량이 거의 일치하게 되며 이때 산소가 공급되면서 산소를 사용해 에너지를 발생하게 됩니다. 일정 시간 이상 계속해서 운동을 지속하게 되면 소비 열량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높아지게 됩니다.일정시간 이후부터는 지방 조직에서 유리 지방산이 녹아 나와서 혈액을 타고 운동하는 근육에 가서 에너지원으로 쓰이는 것입니다.결국 유산소 운동을 통해 체지방을 감소 시키고자 할 때는 최저 20분 이상의 오랜 시간 동안 운동할 필요가 있습니다. 유산소운동의 종류조깅, 달리기, 수영, 자전거 타기, 에어로빅 댄스, 크로스 컨트리, 마라톤 운동을 심하게 하지 않으면서도 근육을 적당히 수축 ·이완 시켜 최대의 효과를 거두려면 운동 강도, 운동 지속 시간, 운동 빈도 등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운동 강도는 최대 운동 능력의 60 ~ 80% 이내의 범위에서 실시하도록 하도록 합니다.정상인이라면 최소한 일주일에 3회 ~5회 정도는 운동을 해야 다이어트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최대 운동 능력이 낮은 사람은 1회 운동 시간을 5분 정도로 하여 하루에 3∼4회 정도로 나누어서 하는 것이 좋습니다.다이어트 빠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운동 빈도를 주 5회 이상으로 할 경우 걷기, 달리기 등 체중 부담을 안고 하는 운동과 수영, 자전거 타기 등 체중 부담이 없는 운동을 번갈아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다이어트에 효과를 주면서 완전 식품인 콩과 콩가공 식품, 저지방 우유와 유제품, 계란 및 알류, 포화 지방산 함량이 낮은 닭가슴 살, 등푸른 생선등 과 섬유질 과 각종 비타민 및 미네랄이 풍부한 녹, 황색 채소류 , 구근류 식품, 해조류 등을 항상 골고루 섭취해 주시면 효과적이고 건강한 다이어트를 하시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식이섬유가 풍부한 식품으로는 브로콜리, 양배추, 고구마, 해조류인 다시마, 미역등, 단호박, 양파, 알로에, 견과류, 곶감, 아보카도, 귀리, 사과, 콩류, 아마씨, 버섯, 샐러리, 바나나, 딸기, 오이, 곤약 등이 있습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버튼과 답변 채택 꼭 좀 부탁 드리겠습니다.
Q. 자랑스러운 우리 한국인은 과연……?!
안녕하세요. 김윤경 영양사입니다.된장찌개의 유래는 있지만 김치찌개의 유래는 기록되어 있지 않은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조선시대에 궁중음식 이었단 사실이 기록으로 남아 있다고 합니다. 김치의 유래는 엄청 깊습니다. 몇천년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된장찌개가 우리 고유의 전통 음식이라면 그 원료인 된장은 동북아시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음식 재료다.일본에는 일본식 된장인 ‘미소’가 있고, 중국에도 콩으로 만든 된장인 ‘황장(黃醬)’ 혹은 ‘두장(豆醬)’이 있다.그렇지만 한국과 중국, 일본 사람들이 모두 즐겨 먹는 음식 재료인 된장은 원래 우리나라에서 가장 발달했다고 한다.조선 정조 때의 사학자 한치윤이 쓴 역사책인 해동역사(海東繹史)에는 중국의 역사책인 신당서(新唐書)를 인용해 발해(渤海)의 특산물로 발해의 수도인 책성(柵城)의 ‘시(豆支)’를 꼽았다.서기 200년경에 나온 설문해자(說問解字)라는 사전에는 ‘시(豆支)’를 콩과 소금을 혼합해 어두운 곳에서 발효시킨 식품이라고 표현해 놓고 있다.‘시(豆支)’가 된장인지 청국장인지 혹은 그냥 싼 맛의 메주 덩어리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중국의 기록에는 ‘시(豆支)’가 발해의 특산물이라고 했고, 또 고구려 사람들이 발효식품을 잘 만들었다는 기록이 등장한다.된장은 콩을 발효시켜 만든 음식이다.콩의 원산지는 중국 동북지방으로, 들판에 있는 야생 콩을 작물로 재배한 시기는 약 4,000년 전으로 추정된다.원산지인 중국 동북지방은 지금의 만주 지역이다.이 지역은 예전 고구려의 영토였던 만큼 콩을 발효시켜 만든 ‘된장’이 고구려와 발해의 특산물로 꼽히게 된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농경 문화가 발달한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 된장이 발달한 것은 영양학적으로 의미가 크다.육류에서 섭취하지 못하는 필수 영양소를 콩을 발효시켜 보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터 된장이 발달했는지는 확실하지는 않지만 학자들은 최소 삼국시대 이전부터 일 것으로 추정한다.기록으로는 삼국사기에 처음 등장하는데 신문왕 3년, 서기 683년에 폐백 품목으로 장(醬)과 시(豆支)를 꼽았다.이 기록으로 보아 이때 이미 우리나라에서는 간장과 된장을 따로 만들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려사지(高麗史志)에는 1018년 거란족이 침입했을 때 지금의 의주 지방인 홍화진 백성들이 굶주리고 있어, 조정에서 옷감과 소금, 된장을 지급했다고 적혔다.또 이규보(李奎報)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도 여름에는 된장이, 겨울에는 김치가 있어야 한다고 기록돼 있어 된장은 고려시대 때 이미 우리의 식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식품으로 자리잡았음을 알 수 있다.한편 된장 담그는 법은 조선시대 명종 9년인 1554년에 편찬된 구황섭요(救荒攝要)에 잘 나타나 있다.구황섭요는 된장 담그는 법을 상세히 기록한 고전이며 모두 8가지의 된장 제조법이 실려 있다.어쨌든 된장 제조 기술은 역사적으로 우리나라가 가장 발달했던 것만큼은 분명한 것 같다.중국에서는 고구려 사람들을 보고 발효식품을 잘 만든다고 하면서 우리의 된장 냄새를 ‘고구려 냄새’라는 의미로 ‘고려취(高麗臭)라고 불렀다고 한다.또 일본 된장인 ‘미소’는 8-9세기 무렵 한국의 된장인 미장(未醬)이 일본으로 건너가 변형된 것으로 보고 있다.일본에서는 처음에 된장을 ‘미소’ 혹은 ‘고려장(高麗醬)’이라고 불렀다고 하며 ‘미소’라는 발음도 우리나라의 ‘미장(未醬)’에서 유래됐다는 것이다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버튼과 답변 채택 부탁드립니다.
Q. 식사를 자주 거르고 식품을 주로 마시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윤경 영양사입니다.음식물을 섭취하면 입안에서 치아를 이용하여 음식을 잘게 씹어서 아밀라아제를 분비하여 섞어서 위로 내려 보내어 집니다. 그런데 믹스하여 갈아서 넘기면 제대로 효소의 작용을 못하게 되고 너무 빠른 속도로 위장에 도달하게 되므로써 소화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수도 있고 점점 소화 기능은 떨어 질수 있기 때문에 씹는 과정을 거쳐서 천천히 소화기관을 거치는 정상적인 음식 섭취를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규칙적인 식사 시간과 필수 영양소를 골고루 갖춘 식단으로 식사를 해주시는 것이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골다공증이나 뼈건강에 도움을 주는 음식은 무엇이 있는지 알려 드리겠습니다.콩이나 콩을 가공한 두부, 표고버섯, 브로콜리, 블루베리, 아로니아, 미역, 다시마, 멸치, 치즈, 우유나 우유가공품, 견과류 등푸른생선등이 있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버튼과 답변 채택 부탁 드리겠습니다.
Q. 이 안좋으신 노인분께 좋은음식 어떤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윤경 영양사입니다.치아 건강이 나쁘시다니 영양죽이나 선식 같은걸 권해 드리고 싶은데 어머니께서 죽도 싫어 하신다니 야채류는 찌거나 삶아서 드시도록 하시고 감자나 고구마, 호박등, 당근도 삶아서 어깨어서 샐럿으로 만들어 드시거나 부드럽고 영양이 풍부한 두부으깬것과 시금치를 같이 버무린 나물류도 좋고 비지찌개에 다진고기를 넣어 드리거나 계란찜에 야채를 잘게 다져 넣어서 조리하거나 등의 방법으로 부드럽게 섭취할수 있도록 잘게 다지거나 삶고 익혀서 만드는 조리법의 음식을 드려야 할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구요, 좋아요 버튼과 답변 채택 부탁 드리겠습니다.
Q. 저탄고단 식단을 하며 간 손상 위험이 있다는데 식단 짜는 방법?
안녕하세요. 김윤경 영양사입니다.단기간에 몸을 만들기 위해 하는 다이어트 식이는 건강을 해칠 우려가 크니 음식을 골고루 드시고 몸속 체지방을 분해하여 체외로 배출시켜 줄수 있는 식품으로 식단을 구성해서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단백질을 분해 흡수 시키는 작용을 콩팥과 간에서 담당하기 때문에 너무 과도한 량의 섭취는 위나 소화기관 전체에 무리를 줄수 있습니다. 소화 흡수를 도와주는 영양소와 같이 섭취를 해주셔야 소화기관에 무리를 주지 않습니다. 체지방을 분해하고 배출해 주어 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되고 질병을 예방하고 치유해 주는 식품은 무엇이 있고 이런 식품에는 어떤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어서 그런 작용을 해주는지에 관해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1. 미역미역에 함유되어 있는 알긴산은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의 배출에 도움을 주고 혈액속 지방과 염분의 배출을 도와 주어 혈관계의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해 주는 작용을 하여 줍니다.2. 녹차 녹차에 함유된 카테킨 성분은 몸속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막아주고 배출을 촉진시켜 주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줍니다. 또한 지방분해효소인 리파아제의 활성화를 도와 섭취한 지방질의 소화를 돕고 체외로 배출시키는 것을 도와 줍니다.3. 고추고추에 든 캡사이신은 체지방을 태워 연소시켜주고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고 지방 분해를 촉진시켜 줍니다.4. 검은콩검은콩에 풍부한 단백질은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생성을 억제하고 펩타이드 성분은 체중 감소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함유된 레시틴 성분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해주어 혈관내 지방을 흡착해 배출시켜주고 천연토코페롤 성분이 함유되어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의 탄력을 유지 하는데 효과가 있습니다.5. 양파케르세틴이라는 성분이 항산화 작용을 하여 동맥경화와 혈관계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해 주며 노화방지에도 효과가 있으며 체지방을 분해하는 효소의 활성화를 도와 체지방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 입니다.이외에도 견과류, 토마토, 양배추, 다시마와 해조류, 고구마, 호박, 블루베리 , 아로니아 등도 체지방을 줄이는데 효과를 주는 식품들 입니다.다이어트에 효과를 주면서 완전 식품인 콩과 콩가공 식품, 저지방 우유와 유제품, 계란 및 알류, 포화 지방산 함량이 낮은 닭가슴 살, 등푸른 생선등 과 섬유질 과 각종 비타민 및 미네랄이 풍부한 녹, 황색 채소류 , 구근류 식품, 해조류 등을 항상 골고루 섭취해 주시면 효과적이고 건강한 다이어트를 하시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버튼과 답변 채택 꼭 좀 부탁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