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전문가입니다.
김지훈 전문가
바른삼성정형외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성인이 되어서도 키가 크는사람은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부모나 가족중에 성인이 되어도 키가 크는 경우가 있는 경우 유전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드물게 성인기에도 성장 호르몬이 과다 분비되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아코드로플라시아또는 성장호르몬 과다증 관련될 수 있습니다일부 사람들은 골 연골의 성장판이 폐쇄되는 시기가 늦어져 성인이 되어서는 키가 클수있습니다일반적으로 성장은 성장판의 성장으로 이루어지며 남성은 대개 18~21세 여성은 16세에서 19세 사이에 성장판이 폐쇄합니다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성장이 완료되면 줄어들게 되며 이는 키성장에 영향을 미칩니다성인이 되어도 키가 클수있는 경우는 드물지만 유전적요인이나 호르몬 변화등으로 인해 가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성장판이 폐쇄되면서 더이상 키가 크지 않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퇴행성 관절염은 주로 어느 부위에 많이 발생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무릎관절은 체중을 지탱하는 주요 관절로 퇴행성 변화가 자주 발생합니다 특히 비만인 경우 더욱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고관절 역시 체중을 지탱하는 중요한 관절로 나이가 들면서 퇴행성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손의 작은 관절 특히 손가락의 기저관절과 중간관절에서 퇴행성 관절염이 흔하게 발생합니다척추의 관절에 퇴행성 변화가 발생하여 통증이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디스크 문제와도 관련이 있습니다발의 관절 특히 엄지발가락의 관절에서도 퇴행성 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퇴행성 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퇴행성 관절염주로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며 관절의 연골이 마모되고 손상되어 생기는 질환입니다 과사용 비만 유전적요인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통증 뻣뻣함 붓기 등이 나타나며 특히 활동 후에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보통 한쪽관절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진행이 느리며 관절의 구조적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류마티스 관절염자가면역질환으로 면역시스템이 자신의 관절 조직을 공격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양쪽 관절에 대칭적으로 나타나며 통증 붓기 뻣뻣함 있으며 휴식 후 아침에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전신증상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며 관절 손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퇘행성관절염은 주로 노화와 특정관절 느리게 진행 관련류마티스는 자가면역 반응 대칭적으로 여러관절 빠르게 진행됩니다
정형외과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양반다리가 신체에 안좋은 영향을 끼치나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양반다리를 오래하면 골반이 한쪽으로 틀어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척추의 정렬이 불균형해지고 허리통증이나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양반다리는 무릎과 엉덩이 관절에 압력을 가할 수 있어 장시간 유지할 경우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습니다양반다리를 자주 하고 오래 하면 다리에 불균형이 생길 수 있으며 이는 오다리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성장기에는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양반다리를 지속적으로 하면 특정근육이 과도하게 사용되고 반대쪽 근육은 약해질 수 있어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장시간 양반다리를 하지 않도록 하고 다양한 자세를 번갈아 가며 취하는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오다리를 영구적으로 교정 할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오다리는 여러 방법으로 교정할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 운동 교정기구 또는 수술적인 방법이 있습니다 각각의 방법에 따라 효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교정 후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꾸준한 운동을 병행하면 오다리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교정후에도 유지관리가 중요합니다교정 후에는 다리근육을 강화하고 유연성을 높이는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는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교정효과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올바른 자세와 걷기 습관을 유지하는것도 중요합니다 잘못된 자세가 다시 오다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사람마다 뼈와 관절의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교정 후 재발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성장기나 체중변화가 큰 경우에는 주의해야 합니다
336
337
338
339
340
카카오톡
전화 상담